백두대간 봉자페스티벌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백두대간 봉자페스티벌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백두대간 봉자페스티벌

백두대간 봉자페스티벌

16.8 Km    0     2024-02-06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춘양로 1501
054-679-0519

‘봉자페스티벌’은 평소에 만나기 어려운 자생식물을 활용한 우리꽃 축제로 ‘봉화 자생꽃 페스티벌’의 줄임말이다. 우리 산야에서 자라는 다양한 자생식물을 만날 수 있고, 백두대간 정체성 및 ESG 가치를 반영하는 문화행사와 볼거리가 가득하다. 특히 지역농가에서 직접키운 꽃으로 축제장을 연출하여 지역소득창출 및 지역상생을 도모하고 있는 착한 축제다. 방문자센터에서부터 레트로 컨셉의 '봉자네 사진관'과 연구개발 상품을 특별전시하는 '봉사장의 만물상회'가 배치되어 있다. 전시원 내부에서는 'AR보물찾기'와 가을자생꽃'스탬프'투어가 준비되어 있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그림 KIT'를 대여해 완성한 본인의 작품을 전시할 수도 있다. 잔디언덕에서는 '꽃멍DJ 이 노래를 틀어줘'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피크닉돗자리에서 사연과 노래를 신청해 가을분위기를 즐길 수 있다.10월 6일 야간개장을 통해 꽃마숲공연장에서 '봉자夜 놀자'프로그램이 진행되며, 10월 7일 제1회 '백두대간 가든하이킹'이 진행된다. 마지막으로 가족, 연인과 축제를 함께 즐긴 사진은 '해시태그 모자이크 월'에 붙히며, 관람객들과 함께 즐기는 축제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춘양목송이마을

춘양목송이마을

16.8 Km    19232     2023-12-06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골마길 3

춘양목송이마을은 농담 삼아 강원남도라고도 부르는 경북의 최북단에 있는 마을이다. 산으로 둘러싸인 마을로 4월에도 눈을 볼 수 있는 마을이다. 춘양목과 송이로 유명하고, 운곡천과 두내약수터 등이 있는 깨끗하고 고즈넉한 산골 마을이다. 골골이 흐르는 맑은 샘물과 산에서 불어오는 시원한 바람, 소박한 사람들의 정겨운 웃음과 넉넉한 인심, 맑은 공기가 있는 천혜의 청정지역이다. 마을의 주 특산물은 가을철 솔향기 가득한 송이와 사과, 블루베리, 표고버섯, 호두, 잡곡, 고랭지 배추가 있으며, 특용작물로는 천궁, 황기 등 고랭지 약초가 있다. 지대가 높고, 일조시간이 긴 고랭지 지역 특성 때문에 더 맛있고, 품질 좋은 농산물이 지어진다. 마을 체험 프로그램으로는 춘양목 솔숲 체험, 춘양목 한옥레고체험, 춘양목 나무공예체험, 블루베리 따기 체험 등이 있다. 이 밖에도 마을 내 펜션에서 숙박이 가능하다. 숙박 비용에는 숙소뿐만 아니라 숲길 탐방과 바리스타 체험 비용이 포함되어 있다.

만회고택[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만회고택[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17.2 Km    4539     2023-11-30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바래미1길 51
010-8079-7939

경상북도 봉화 바래미 마을에 자리한 만회고택은 3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국가 지정 중요 민속문화재이자 독립운동의 거점 역할을 한 명가이다. 고택의 누각 ‘명월루’ 에서는 약 1,000편의 시가 쓰여졌다고 한다. 객실은 7개로, 안방에는 서까래가 드러난 다락방이 있고, 명월루실과 서낭실을 제외한 다른 객실에는 개별 화장실을 설치해 편리함을 더했다. 민속놀이를 포함한 다양한 유료․무료 전통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토향고택[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토향고택[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17.2 Km    11510     2023-02-14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바래미1길 43
010-8575-9036

토향고택은 입향 후 11대째 후손들이 대대로 살아온 곳으로, 과거와 현재의 모습이 조화롭게 어우리진 경상북도 봉화의 명품고택이다. 안채는 입향 전 지어진 건물로 350년 이상으로 추정된다. 정원에는 연꽃 연목과 산책길, 도자기 장작가마, 꽃밭 등이 있고, 후원에는 야생화 언덕과 함께 전통 그네, 널, 제기, 투호, 제기차기 등을 즐길 수 있는 민속놀이터가 있다. 특히 도자기체험은 토향고택만의 특별한 자랑이다.

남호구택 [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남호구택 [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17.4 Km    6     2023-04-25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바래미길 21
010-2311-3488

봉화 남호구택은 140년의 역사를 지닌 경상북도 문화재로, 전 재산을 독립군 자금으로 제공한 남호 김뢰식 선생의 구국 정신이 깃든 조선시대 고택이다. 양질의 자재로 지어져 변형의 흔적이 거의 없고, 공용화장실을 현대식으로 바꿔 편의성을 높였다. 너른 마당에서는 투호, 널뛰기, 제기차기 등 전통놀이를 즐길 수 있다. 봉화역(영동선)이 도보 15분 거리에 있고 마을에 시내버스 정류장도 있어 이동에 편리하다.

소강고택[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소강고택[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17.4 Km    5313     2023-06-01

경상북도 봉화군 바래미길 22
010-9189-5578

소강고택은 경북 봉화 바래미마을에 자리한 100여 년 된 한옥으로, 독립운동가 남호 김뢰식 선생이 둘째 아들 소강 김창기를 위해 춘양목으로 정성스레 지은 집이다. 객실은 사랑방부터 어사방까지 총 6개로, 사랑방은 두 칸 방에 사랑 대청마루를 함께 쓸 수 있고, 선비방은 아침에 가장 먼저 해가 드는 방이며, 도령방은 고택 유일의 황토 온돌방이다. 모든 방에 에어컨을 두었고, 방문을 열만 꽃나무가 핀 정원이 인사한다.

일월산황씨부인당

17.5 Km    0     2023-11-01

경상북도 영양군 청기면 일월산길 675

경북 영양 일월산에 자리 잡은 황 씨 부인당에는 전설이 서려 있다. 조선 순조 때 황 씨 부인은 남편과 금실 좋게 살았다. 하지만 딸만 9명을 낳아 시어머니의 학대가 심했다. 황 씨 부인은 아들을 낳지 못하는 죄책감 때문이었는지 아홉째 딸이 젖 뗄 무렵 자취를 감췄다. 이 무렵 심마니가 일 원 산에 자신이 지어 놓은 거처에 갔더니 황 씨 부인이 소복을 입고 앉아 있었다. 심마니는 겁이 나 돌아서려는데 황 씨 부인이 심마니를 붙잡았다. 그러고는 시어머니, 남편, 딸들의 안부를 묻고는, 황 씨 부인이 여기 있다는 말을 아무에게도 알리지 말아 달라고 부탁했다. 심마니는 황 씨 부인의 부탁을 들어준다 했지만, 그 길로 황 씨 부인의 남편에게 달려가 이야기를 전했다. 이에 남편은 곧장 황 씨 부인이 있는 곳으로 갔다. 남편이 “여보!”라고 외치며 황 씨 부인의 손을 잡으니 부인은 사라지고 백골과 재만 남았다. 이후 남편은 탄식하면서 백골을 거두어 장사 지내주었고, 마을 사람들이 황 씨 부인의 한을 풀기 위해 그 자리에 당을 지어 주고 황 씨 부인당이라 이름 붙였다. 76년에 당집 옆에 산령각을 지었다. 요즘도 촛불을 밝히고 마을의 안녕을 빌고 있다.

봉화 계서당 종택

17.6 Km    27373     2024-06-10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계서당길 24

봉화 계서당 종택은 춘향전 이몽룡의 실제 인물로 알려진 성이성 선생이 1610년 건립하여 문중 자제들의 훈학과 후학 배양에 힘쓴 곳으로, 가평리 계서당으로 불리기도 한다. 성이성은 창녕 사람으로 남원 부사를 지낸 부용당 성안의 아들로, 1627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이후 진주부사 등 6개 고을의 수령을 지내고 4번이나 어사로 등용된 인물로 근검과 청빈으로 이름이 높았던 인물이다. 가평리 계서당은 정면 7칸, 측면 6칸의 입구 자(口) 형으로 되어있다. 팔작지붕의 사랑채와 중간 문으로 이어져 있다. 사랑채의 오른쪽 뒤편으로 방형의 토석 담장을 두른 사당이 위치하고 있다. 안채의 경우는 다른 고택에 비해 규방을 많이 둔 점이 특징적이다. 전체적으로는 경북 북부 지방 [口] 자 형 주택의 옛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어 주택 발달사 연구에 좋은 자료이다.

봉화 금강송 숲 사이를 거닐다

봉화 금강송 숲 사이를 거닐다

17.6 Km    3854     2023-08-11

봉화는 금강송이 유명하다. 곧은 금강송 사이를 거닐다 보면 절로 가벼워지는 몸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봉화는 지극히 온화하고 따뜻한 시골마을이다. 이지역의 춘양장과 고택체험을 빠뜨릴 수 없다. 정이 넘치는 춘양장과 고스란히 보존되어 있는 사대부 안채를 거닐어보자.

오계서원

오계서원

17.7 Km    1392     2023-06-16

경상북도 영주시 평은면 천상로500번길 133-19

오계서원은 1570년(선조 3)에 이덕홍(李德弘)이 학문 연마와 심신수련을 위해 건립한 「오계정사」의 후신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으로 인하여 소실(燒失)되었으나, 1595년(선조 28)에 쌍계(雙溪) 언덕으로 이건(移建) 하였고, 1636년(인조 14)에 홍수로 유실되는 등, 여러 차례 이건과 중건을 거쳤다. 사림의 공론으로 1665년(현종 6) 10월 2일에 도존사(道存祠)를 建立하고 이덕홍(李德弘)의 위패를 봉안한 후 1691년(숙종 17) 오계서원으로 승격되었다. 1699년과 1707년의 대홍수로 물길이 바뀌어 서원이 침수 피해가 있자 1711년(숙종 37)에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으며, 1724년(경종 4)에 그의 장자 이시(李蒔)를 배향하였다. 1871년(고종 8)에 훼철되었다가 1919년에 복향하였고 1978년에 道存祠를 재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