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행복전통마을(성곡동재사)(전통 리조트 구름에-성곡동재사)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재)행복전통마을(성곡동재사)(전통 리조트 구름에-성곡동재사)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재)행복전통마을(성곡동재사)(전통 리조트 구름에-성곡동재사)

13.0 Km    6     2020-03-16

경상북도 안동시 민속촌길 190
054-823-9001

전통리조트 구름에는 융합과 통섭의 가치를 생활문화에 반영한 신개념 휴양지이다. 숙박시설과 부대시설을 긴밀히 연계하여 육체적인 휴식은 물론 내면의 충전까지 가능하도록 하였다. 유서 깊은 안동의 고택들을 전통미와 편의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고품격 객실로 단장하였다. 구름에의 시작부터 개발까지 모든 과정은 안동 지역주민들과의 합작품이다. 구름에 운영을 위한 주요 일손 및 자원은 안동에서 충당하며 구름에의 이익은 다시 지역 사회로 환원된다.

(재)행복전통마을(칠곡고택)(전통 리조트 구름에-칠곡고택)

13.0 Km    2     2023-01-11

경상북도 안동시 민속촌길 190
054-823-9001

공간 속의 공간, 문을 열면 또 다른 문이 열린다. 퇴계선생10대손인 이휘면 (치암 이만현 의 부)의 고택으로1831년 건립되었고 주손은 이장환이다. 이 고택은 도산면 원촌리의 원호정사아래 안동댐 수몰지역 내에 있었으나 2006년 안동시에서 지금의 성곡동 고건축 박물관 경내로 이건하였다.이휘면의 조부는 형조 참판이 귀운이며 아버지는 아산현감 용곡 이정순이다. 용곡 이정순은 형제 우애가 지극하여 동생 이주순이 결혼 후 요절하여 후사가 없자 자신의 막내아들 이휘면을 양자 보내어 청상에 홀로된 제수를 이 집에서 모시게 했다. 앞쪽에 정면 6칸, 측면 1칸 크기의 ㅡ자형 사랑채를 두고, 뒤쪽에는 ㄷ자형의 안채를 배치한 트인 ㅁ자형태의 살림집이다. 사랑채는 좌로부터 광과 문간, 사랑, 대청, 작은사랑 등이 배치되어있고, 안채는 2칸통의 안방과 마루를 중심으로 좌측에는 부엌과 광을, 우측에는 상방, 고방, 작은방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월영교

13.0 Km    37449     2024-05-09

경상북도 안동시 상아동
054-821-0649

월영교란 명칭은 시민의 의견을 모아 댐 건설로 수몰된 월영대가 이곳으로 온 인연과 월곡면, 음달골이라는 지명을 참고로 확정되었다. 낙동강을 감싸듯 하는 산세와 댐으로 이루어진 울타리 같은 지형은 밤하늘에 뜬 달을 마음속에 파고들게 한다. 천공으로부터 내려온 달을 강물에 띄운 채 가슴에 파고든 아린 달빛은 잊힌 꿈을 일깨우고 다시 호수의 달빛이 되어 아름다운 기억으로 남아 있으려 한다. 월영교는 이런 자연 풍광을 드러내는 조형물이지만, 그보다 이 지역에 살았던 이응태 부부의 아름답고 숭고한 사랑을 오래도록 기념하고자 했다. 먼저 간 남편을 위해 아내의 머리카락으로 만든 한 켤레 미투리 모양을 이 다리 모습에 담았다. 그들의 아름답고 애절한 사랑을 영원히 이어주고자 오늘 우리는 이 다리를 만들고 그 위에 올라 그들의 숭고한 사랑의 달빛을 우리의 사랑과 꿈으로 승화시키고자 한다.

겨울여행지 추천. 느린 만큼 매력적인 곳, 1박2일 안동 여행 코스

겨울여행지 추천. 느린 만큼 매력적인 곳, 1박2일 안동 여행 코스

13.0 Km    6     2023-08-11

새해 맞이 여행 하셨나요? 북적이는 새해 첫 여행지로 일년 전 겨울에 여행했던 안동을 다시 찾았습니다. 누군가는 같은 곳을 여행하면 감흥이 떨어진다고 하지만 다시 걸을수록 기억이 쌓여 더 좋아지는 곳이 있습니다. 안동이 그렇답니다. 느린 만큼 매력 있는 안동에서 보내는 새해는 편안하고 여유로웠습니다.

안동시 월령빠지

안동시 월령빠지

13.0 Km    2     2024-04-03

경상북도 안동시 석주로 202 (상아동)
010 2529 0888

헛제사밥까치구멍집

헛제사밥까치구멍집

13.0 Km    21158     2023-11-10

경상북도 안동시 석주로 203
054-855-1056

까치구멍집이라는 독특한 이름을 갖고 있는 경북 안동의 헛제사밥까치구멍집은 예전부터 양반촌이라는 이미지를 살려 대청마루가 쭉 둘러져 있어 마치 드라마 세트장이나 안동의 어느 양반집에 들어온 기분을 느낄 수 있다. 헛제사밥의 유래는 안동에선 전통적으로 조상들을 기리는 제사가 많아서인지 제삿밥이 맛있어서 일반 손님들에게 제사 음식으로 손님을 대접하는 경우가 많아 헛제사밥이라 유래된 듯하다. 제사 음식이라 상차림이 화려하진 않지만 밥과 국, 나물, 그리고 전과 구이류 등이 차려져 나오는데, 조미료의 맛을 최소화하고 천연재료를 주로 사용하고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음식 제조 방법을 써서 그런지 정갈하고 담백한 맛이 일품이다.

헛제사밥(맛50년)

헛제사밥(맛50년)

13.0 Km    27708     2023-03-21

경상북도 안동시 석주로 201
054-821-2944

국내에서 크게 유행하는 헛제사밥을 상품화한 사람으로 헛제사밥의 "원조"라고 할 수 있다. 예전엔 안동댐 민속박물관 내 야외 민속박물관(초가)에서 운영하다 2001년 집을 신축하여 현재의 자리에서 운영하고 있다. 작고하신 시어머님에 이어 현재는 며느리까지 전수받아 3대에 걸쳐 50년 이상을 식당 운영에만 전념하고 있으며, 큰 아들은 무형문화재 69호인 하회별신굿 탈놀이의 기능보유자(인간문화재)로 세계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정재종택[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정재종택[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13.1 Km    8864     2023-10-24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경동로 2661-8
054-822-6205

300여 년의 시간을 안고 안동시 임하호수가 내려다보이는 곳에 자리한 정재종택은 퇴계 이황의 학문을 계승한 정재 류치명 선생의 종택이다. 기단과 나무 기둥, 툇마루, 기와 등에 고스란히 묻어나는 세월 덕에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차분해진다. 종택은 대문채, 정침, 행랑채, 사당, 정자로 구성되어 있는데, 특히 정자 ‘만우정’은 류치명 선생의 강학지소로 숙박도 가능하다. 송화주 빚기와 타락만들기 체험, 가야금이나 민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때때로 작은 음악회를 열기도 한다.

구름에 [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구름에 [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13.1 Km    1032     2023-04-13

경상북도 안동시 민속촌길 190
054-823-9001

안동 민속촌길에 위치한 구름에리조트는 수몰 위기에 놓인 1600년대~1800년대 고택들을 옮겨 온 국내 최초의 전통 한옥 리조트이다. 전통적인 한옥의 미는 살리면서도 내부는 현대식 욕실과 화장실, 실내온도조절기를 갖춰 편안하게 머무를 수 있다. 객실 안전을 위해 첨단 보안 시스템도 설치하였다. 그 외 주변에 한옥 북카페와 다이닝 레스토랑, 전통체험 공간, 야외광장 등이 있어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