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애선사유적전시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마애선사유적전시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마애선사유적전시관

마애선사유적전시관

8.3Km    2024-11-05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풍산단호로 388

마애선사유적지는 2007년 안동시에서 ‘마매솔숲 문화공원’ 조성사업 시 매장문화재 발굴조사에서 발견되었다. 이 유적은 낙동강 상류에 속하는 하안단구 지층으로, 마애마을 북쪽의 야트막한 구릉의 말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안동지역에서는 3~4만 년 전 후기 구석기시대로 추정되는 유물이 처음으로 발견된 곳이다. 이곳에서 발굴된 유물과 문화층은 안동지역의 구석기시대 문화상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출처 : 안동시 문화관광)

의성 최치원문학관

의성 최치원문학관

8.4Km    2025-01-15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길 241

최치원문학관은 신라 말기 지성인으로 손꼽히는 고운 최치원 선생의 사상과 문학을 기리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최치원 선생의 삶을 담은 영상물과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전시 관람뿐만 아니라 세미나실과 공연장이 있다. 등운산의 수려한 경치로 문학관 특유의 편안함을 느낄 수 있으며, 인근 고운사와 고운사까지 가는 천년 숲길은 한국관광공사가 선정한 21년 비대면 안심 관광지 25선 중 한 곳이다.

돈꼬쭈까

돈꼬쭈까

8.4Km    2021-03-10

경상북도 안동시 마들6길 5
054-822-0022

안동 현지인들이 자주 찾는 숨겨진 맛집이다. 대표메뉴는 뼈다귀 전골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 전문점이다.

김정순명인의집

김정순명인의집

8.5Km    2025-01-17

경상북도 안동시 마들6길 3 (용상동)
0507-1441-2590

경북 안동에 위치한 김정순명인의 집은 한식대첩 시즌 1의 우승자인 김정순 명인의 민물고기 요리를 맛볼 수 있는 곳이다. 찜, 매운탕, 조림, 튀김 회 등 민물고기로 만든 다양한 음식이 준비되어 있다. 민물고기 특유의 잡내가 나지 않아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 없이 즐길 수 있으며 밑반찬 또한 정갈하다. 또한 저렴한 가격에 돌솥밥을 추가할 수 있다. 개별룸 시설도 완비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에도 좋다.

옛날돼지국밥

옛날돼지국밥

8.5Km    2021-03-11

경상북도 안동시 경동로 1010-2
054-821-3700

다양한 종류의 국밥을 먹을 수 있는 곳이다. 대표메뉴는 돼지국밥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왕짬뽕

왕짬뽕

8.7Km    2021-03-12

경상북도 안동시 숲쟁이길 5
054-823-5989

다양한 중식 요리를 맛볼 수 있는 곳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중식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짬뽕이다.

산수정

산수정

8.7Km    2024-10-28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마애길 70-31

산수정은 호봉 이돈(1568∼1624) 선생이 관직을 떠나 고향에 돌아와 학문연구와 후학양성에 전념하기 위해 지은 정자이다. 건립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1610년경 지어졌을 것이라 추정된다. 건물 규모는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로 이루어져 있다. 건물 정면은 낮은 기단위에 자연석 덤벙주초를 놓고 두리기둥을 세우고 두리기둥 사이를 난간으로 처리하여 정자 건축의 멋을 돋우고 있다. 평면구성은 가운데 어칸의 대청을 전면의 3칸 툇마루와 이어서 우물마루를 깔았고, 전면의 툇마루는 측칸을 한칸으로 넓히고 툇마루 좌우측면으로 판벽과 두짝 밖여닫이 골판문을 설치하여 배면의 두짝 골판문과 함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치암고택

치암고택

8.8Km    2024-12-20

경상북도 안동시 퇴계로 297-10
054-858-4411

경상북도 안동에 위치한 치암고택은 조선 고종 때 치암 이만현의 고택이자 경상북도 민속자료이다. 객실로 안채, 사랑채, 대문채, 별당채, 별채를 이용할 수 있고, 사랑채의 사랑방과 호도재를 함께 예약하면 독채를 예약한 듯 오붓하게 묵기 좋다. 대문채에서는 주변의 경관과 고택의 아름다움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각종 화초가 핀 정원과 자연과 조화를 이룬 고택을 둘러보며 고즈넉한 정취를 느껴보기를 권한다.

경광서원

경광서원

8.9Km    2024-11-04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금계3길 131-24

금계리 동편 사천 위에 옛부터 ‘유정사’라는 절이 있었는데, 사림에서 선조 1년(1568)에 경광서원을 건립했다. 이어서 현종 3년(1662) ‘경광정사’라고 이름을 바꾼 뒤 백죽당 배상지, 용재 이종준 두 선생의 위패를 봉안했다. 인조 27년(1649) ‘춘파이사’를 창건하여 용재 이종준, 경당 장흥효 두 선생을 모셨다. 숙종 12년(1687) 서원으로 승격되어 경당 선생의 위패를 옮겨서 백죽당, 용재 두 선생과 함께 제향 했다. 대원군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873년 단소를 설립하여 향사해 왔다. 1978년 현재의 모습으로 복설 되어 매년 9월 중정일에 제향하고 있다.

원주변씨간재종택 및 간재정

9.0Km    2025-03-18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풍산태사로 2720-30

* 간재 선생의 혼이 묻어있는 곳, 원주변씨 간재종택 *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에 위치한 간재종택은 16~18세기에 걸쳐 창건 및 중수된 건물로서 원형이 잘 보전되고 있다. 그리고 관련 인물이 고려 충신의 후예이자 임진왜란의 공신이었다는 역사적 측면과 건물들의 독특한 공간 배치로 문화재적 가치가 인정되고 있다. 작은 산이 병풍처럼 골짜기를 이룬 자리에 정침 및 별당, 사당, 정자를 아래에서부터 위로 자연지형에 순응하면서 각각 적합한 곳에 터를 잡았다. 사대부 가의 공간 영역을 갖춘 단독 종택은 동성마을의 유형으로 발전한 한국 종가사에 흔치 않은 곳으로서 조선 선비들의 입지 및 정주관을 살펴볼 수 있는 주요 가거지로 써 가치가 있으며 현재 이곳에는 30가구 90여 명이 살고 있다. 전통문화 보고, 지붕 없는 박물관으로 불러지는 안동문화권, 그중에서도 간재종택과 정자는 하회, 내앞마을 등과 함께 또 하나의 작은 문화권을 이루며 양반 유림의 문화를 잘 간직하고 있는 우리 민족의 중요한 문화유산 중의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