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풍산)한지공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안동(풍산)한지공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안동(풍산)한지공장

안동(풍산)한지공장

12.0 Km    2708     2023-11-03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나바우길 13

닥나무를 사용해 전통방식으로 한지를 생산하는 공장
안동한지는 우리 조상들의 전통적인 생활양식과 문화가 가장 잘 보존되어 있는 안동 하회마을 입구에 위치하고 있다. 소비자의 수요에 맞게 좋은 질의 한지 생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한지에 관한 모든 것을 보고 느끼며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너무도 유명한 안동 하회마을 여행 코스

너무도 유명한 안동 하회마을 여행 코스

12.0 Km    8446     2023-08-08

안동 하회마을은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대부분 들어봤을 만큼 널리 알려진 여행지다. 구체적으로 안동을 다 여행하려면 이 코스가 적당할 듯하다. 안동의 한지체험과 탈박물관은 기본이고 사림파 학문의 전당인 병산서원을 거쳐 하회마을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부용대까지 거치면 완성이다.

800년을 이어온 신명 나는 탈판

800년을 이어온 신명 나는 탈판

12.0 Km    710     2023-08-09

하회별신굿탈놀이는 하회마을 사람들이 고려 때부터 해온 탈놀이다. 별신굿은 ‘별난 굿’을 뜻하는데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5~10년에 한 번씩 큰 굿판을 벌였기에 붙은 이름이다. 느긋한 걸음으로 화회마을을 둘러보라. 흙과 돌로 반듯하게 쌓아 올린 담장과 미로처럼 이어진 골목, 정겨운 초가, 수령 600년에 이르는 삼신목, 강변에 자리한 만송정, 절벽 위에서 마을을 굽어볼 수 있는 부용대 등 볼거리로 가득하다.

삼귀정

삼귀정

12.0 Km    24170     2023-01-17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지풍로 1975-1

소산마을 입구 야트막한 언덕에 세워진 삼귀정은 안동김씨 소산 입향조 혁의 11세손 영천공(1439∼1522)이 지례 현감으로 있을 때 88세 노모(1409∼1496)인 예천 권씨를 즐겁게 하려는 효심에서 그의 아우 영추, 영수와 함께 1495년 연산군 원연(燕山君 元年)에 건립한 정자이다.정자 뜰에 3기의 고인돌이 있는 것이 마치 거북이 세 마리가 엎드린 것 같다고 해 삼구정이라 이름 붙였다. 당호는 이곳에 거북이 모양의 돌이 3개가 있어 붙인 것으로 거북이는 십장생중의 하나이므로 자기 어머님이 거북이처럼 오래 살도록 기원하는 뜻이 포함되어 있다. 그간 몇차례 중수한 것으로 보이나 1947년에 대대적으로 보수하였다.송림이 둘러싸인 운치가 뛰어나다.

안동한지

12.0 Km    31590     2023-11-03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나바우길 13

우리 조상들의 전통적인 생활양식과 문화가 가장 잘 보존되어 있는 하회마을 입구에 위치하고 있는 안동한지는 우리 고유의 멋과 얼이 간직된 전통 한지 생산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 조상들의 숨결이 살아 숨쉬고, 학생들에게는 학습의 장(場)으로 이용할 수 있고,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는 안동한지는 안동의 관광명소로 발돋움하고 있다. 안동한지의 특징은 풍산의 풍부한 물과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닥나무를 원료로 하여 노련한 기술자의 투철한 장인정신이 결부되어 순 한지(純紙)를 전통의 방법으로 생산하여 우수한 지질(紙質)과 최대의 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주요 생산품목으로는 서예용으로 쓰는 국내 백닥화선지, 일반화선지, 문 바를 때 쓰는 창호지, 중지, 운용지, 벽지용 피지, 미사라시 운용지, 족자에 배접할 때 쓰는 배접지, 장판지, 책 만들 때 쓰는 책지, 고급 인테리어용으로 쓰는 요철지, 전문화가가 쓰는 100호, 120호, 한지 공예품 만들 때, 또는 포장지로 쓰는 색한지 등 60여종을 들 수 있다.

소백산하늘자락공원

12.0 Km    0     2024-05-21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내지리

소백산 하늘자락공원은 용문면 매봉 자락 해발 730m에 위치한 공원이다. 양수발전소 상부댐 조성으로 만들어진 호수 [어림호] 주변에 조성한 것으로 전망대와 야외공연장이 있다. 전망대까지는 데크로 이루어져 휠체어나 유모차도 오를 수 있도록 경사면을 잘 만들어 접근성이 좋으며. 높이 23.5m의 전망대도 계단 없이 나선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망대에 오르면 소백산 자락이 360도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전망대에서 산의 능선을 따라 어림호 호수를 한 바퀴 돌아볼 수 있는 둘레길인 [치유의 길]은 3.5km 길이로 약 1시간가량 소요된다. 봄이면 4만 2300㎡에 조성된 참꽃 군락지에 진달래, 철쭉이 만개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인근 관광지로는 고택과 돌담이 가득한 전통마을인 금당실마을과 용문사가 있다.

길풍

길풍

12.0 Km    1     2021-03-10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나바우길 8
054-841-9967

한국관광공사에서 선정한 깨끗하고 맛있는 집으로 안동의 향토음식을 맛볼 수 있는 곳이다. 대표메뉴는 안동찜닭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 전문점이다.

예천 백두대간 파워스팟

예천 백두대간 파워스팟

12.4 Km    0     2024-06-03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용문사길 285-30

예천 백두대간 파워스팟(Power spot) 이란 힐링, 명당, 기 체험의 공간의 의미로 예천 용문면 백두대간 권역의 체험 테마 관광지로 ‘금당실전통마을’, ‘용문사’, ‘명봉사태실’, ‘예천 하늘자락공원’ 등의 관광지를 말한다. 장수, 부귀, 자손 번영 등의 의미를 부여한 명당으로 관광객에게 좋은 기운과 힐링을 할 수 있는 숨은 여행지를 추천하고자 하는 의미에서 만들었다. ‘금당실 전통마을’은 전형적인 배산임수의 명당으로 고택마을과 초간정, 200년 된 소나무 숲이 있는 전통 농촌마을로 경상북도 문화재 및 국가 보물이있는 곳으로 마을 구경과 고택 숙박체험이 가능하다. ‘용문사’는 고려 왕건의 전설로 유명한 고찰로 수 많은 불교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불교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템플스테이를 운영한다. ‘명봉사’ 신라의 두운선사가 창건하게 된 전통사찰로 소백산맥의 백운봉 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문종과 사도세자의 태실이 있던 곳이다. ‘하늘자락공원’ 은 700m 위치에 있는 공원으로 저수지와 그 주변에 조성된 치유 산책길, 하늘 전망대가 있는 진달래 군락지로 봄이면 소백산 전경과 발밑에 펼쳐진 분홍 진달래꽃 장관을 볼 수 있는 명소이다.

May Bloom

May Bloom

12.4 Km    0     2024-02-07

경상북도 영주시 용주로 492

May Bloom은 경상북도 영주시 장수면 성곡리에 있다. 5월에 오픈을 해서 May Bloom이다. 여러 가지 식물이 자라는 온실 안에 좌석을 배치한 온실 카페다. 포토존도 마련돼 있다 대표 메뉴는 아메리카노며, 카페라테, 아인슈페너, 아이스티, 눈꽃 아몬드 팥빙수 등과 함께 다양한 베이커리도 맛볼 수 있다.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영주IC에서 가깝고, 인근에 국립산림치유원, 무섬마을이 있다.

용문사(예천)

12.4 Km    30120     2023-11-10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용문사길 285-30

용문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직지사의 말사이다. 870년 (신라 경문왕 10년) 두운 선사에 의해 창건된 것으로 전해지며 고려 태조 왕건이 신라를 정벌하러 내려가다 이 사찰을 찾았으나 운무가 자욱하여 지척을 분간치 못했는데, 어디선가 청룡 두 마리가 나타나 길을 인도하였다 하여 용문사라 불렀다고 한다. 고려 명종 때 용문사 창기사로 개명했으나 조선 세종대왕의 비 소헌왕후의 태실을 봉안하고 성불사 용문사로 다시 고쳤고, 정조 때 문효세자의 태실을 이곳에 쓰고 소백산 용문사로 바꿔 오늘에 이르고 있다. 경내에는 대장전, 응진전, 명부전, 진영당, 일주문, 자운루, 성보 박물관이 있으며, 성보 박물관에는 우리나라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윤장대를 비롯해 성보문화재 10여 점이 있다. 또한 조선 숙종 때 조성된 목각탱화는 우리나라에서 제일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팔만대장경판을 보관한 윤장대를 돌리면 번뇌가 소멸되고 공덕이 쌓여 소원이 성취된다고 해 예로부터 참배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