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악코스텔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산악코스텔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산악코스텔

산악코스텔

18.9Km    2024-07-08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기린면 내린천로 3924-72 (기린대아파트)

인제 산악코스텔은 인제군 기린면에 위치한 숙박시설로 군 복지 및 편의 시설이다. 군장병이나 군간부들이 사용할 수 있는 가성비 좋은 숙박업소로 한 건물 내에 콘도형 객실, 식당, 카페, 인터넷방, 편의점 등이 있다. 이곳은 군인과 군인 가족들이 이용 가능하며, 주로 면회 온 가족들이 머무른다. 2인실, 4인실이 있고 한실 양실도 있으며 야간에는 무인으로 운영된다. 근처 군인아파트 내에 PX가 있어서 생필품을 살 수 있다. 주변에 산과 녹지가 많고 공기가 맑고 깨끗해서 산책할 곳이 많다. 예약은 육군복지시설 예약시스템인 육군 휴 드림에서 하면 된다.

팔랑골캠핑장

팔랑골캠핑장

19.1Km    2025-01-16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바랑길 34-94

양구군 동면 팔랑폭포 주변 울창한 숲과 연계된 새로운 체류형 관광지로 조성된 곳이다. 자연 그대로 모습을 간직한 팔랑폭포와 주변 울창한 숲을 기반으로 카라반 3동, 글램핑 텐트 6조, 야영 데크 15면, 놀이터 1곳, 관리사무실 1동, 샤워실, 세척실, 화장실 2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이들이 뛰어놀기 좋은 놀이터, 물놀이하기 좋은 대형 수영장이 있어 가족단위로 여행 가기에도 좋은 곳이다. 동면 송원회관앞에서 먼나식당 옆으로 우화전하는게 지름길이다. ※ 반려동물 동반불가

수인리낚시터

19.3Km    2023-07-01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양구읍 웅진리 332

소양댐의 건설로 생긴 소양호 주변의 낚시터로 계곡이 깊어 갈수위에는 넓은 지역이 드러나 만수 상태보다는 갈수 상태에서 매력있는 지역이다. 조황은 향어, 붕어, 잉어, 빙어 등이며, 골 자리를 노리면 장어낚시가 양호한 조황을 보인다. 가족 동반 또는 직장 단위로 찾았을 때는 드러난 풀밭 자리에 자리를 잡으면 된다. 봄~여름까지는 수심에 따라 2칸~2칸반 대를 사용하며 가을에는 수온이 낮아짐에 따라 서식지가 깊어져 2칸~4칸대를 사용해야 한다. 주변 명소로는 양구선사박물관,제4땅굴,을지전망대,통일부양구북한관,팔랑폭포,직연폭포,후곡약수터, 마을관리휴양지(천미계곡,월명계곡,웅진계곡, 광치계곡,두무계곡(수입천), 낚시터(소양호,파로호),양구팔랑민속관이 있다. (출처 : 강원도청)

동국대학교 만해마을

동국대학교 만해마을

19.3Km    2024-06-19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 만해로 91
033-462-2303

동국대학교 만해마을은 민족운동가이자 한국의 대표적 시인인 만해 한용운 선생의 정신이 깃든 공간으로, 강원도 인제군 내설악과 동해안이 만나는 쾌적한 자연환경 속에 있는 몸과 마음의 휴식 공간이다. 객실은 온실, 침실이 있어 선택이 가능하다. 그밖에 만해문학박물관, 님의침묵광장, 문인의집, 만해학교, 서원보전, 북카페, 산책로와 연못 등이 잘 조성되어 있어 만해 한용운 선생의 정신을 기리며 캠퍼스같은 마을을 거닐어보기를 추천한다.

고향집

고향집

19.4Km    2025-03-16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조침령로 115

인제에 있는 고향집은 매일 새벽 인제의 콩으로 직접 만든 두부 요리 전문점이다. 백종원의 삼대천왕에 나와서 유명해졌는데, 아침부터 만석으로 웨이팅이 있는 곳이다. 인기 메뉴는 무쇠 철판 위에 들기름을 넉넉히 두르고 직접 구워 먹는 두부구이와 콩비지찌개다. 얼큰하게 끓여 먹는 두부전골도 밥도둑으로 많이 찾는 메뉴이다. 메뉴를 주문하면 강원도식으로 감자볶음, 비지 샐러드, 김치볶음, 장아찌 등의 밑반찬이 함께 나온다. ◎ 한류의 매력을 만나는 여행 정보 - 예능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출연진이 연신 감탄하며 식사를 즐겼던 고향집은 자연 속에서 난 재료로 만든 건강한 음식을 맛볼 수 있는 곳이다. 출연진이 두 번이나 방문할 정도로 좋아했으며, 특히 이광수는 너무 맛있어 화가 날 정도라고 극찬했다.

만해문학박물관

만해문학박물관

19.4Km    2025-07-10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 만해로 91

만해문학박물관에는 만해 한용운 선생의 저서와 유품 등이 전시되어 있다. 연대별, 주제별로 구성된 전시를 통해 선생의 일대기와 더불어 미술, 사진, 시화 등 문예작품도 감상할 수 있어, 그의 문학성과 자유사상, 민족사상을 엿볼 수 있다. 만해마을은 시인이자 불교의 대선사이며 민족운동가였던 만해 한용운 선생을 기리기 위해 조성된 수련 공간이다. 주요 시설로는 만해문학박물관을 비롯해 문인의 집, 만해학교, 심우장, 서원보전, 님의 침묵 광장, 님의 침묵 산책로 등이 있다. 만해마을은 다양한 용도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인을 위한 문인의 집, 단체 MT나 연수에 적합한 설악관, 단체 수련과 집중 학습을 위한 금강관, 만해문학박물관, 사찰 체험이 가능한 서원보전, 식당과 휴식 공간인 북카페, 그리고 자연을 느끼며 공연을 즐길 수 있는 님의 침묵 광장이 있다. 또한 주변에는 우리나라 근현대 시집을 체계적으로 전시하는 한국시집박물관, 그리고 근현대 한국 서예사의 거장 여초 김응현 선생의 문화재급 서예 작품과 유품을 전시한 여초서예관도 함께 둘러볼 만하다.

만해마을 수련원

만해마을 수련원

19.4Km    2025-03-21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 만해로 91
033-462-2303

인제에 위치한 만해마을 수련원은 내설악의 쾌적한 자연환경 속에서 몸과 마음을 편히 쉴 수 있는 지유와 휴식의 공간이다. 한국문학사의 대표적 시인이자 불교의 대선사, 민족운동가로 일제 강점기 암흑시대 겨례의 가슴에 영원히 꺼지지 않을 민족혼을 불어 넣어 주신 만해 한용운 선생의 문학성과 자유사상, 진보사상, 민족사상을 높이 기리고 선양하기 위한 실천의 장으로 설립되었다.

만해마을

19.4Km    2025-08-04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 만해로 91

만해마을은 강원 인세군 북면에 위치한 마을로 그 설립 배경과 정신문화가 깃든 숭고한 곳이다. 한국문학의 우뚝 선 시인이자 독립운동가인 만해 한용운 대선사의 치열한 오도(悟道)의 수행공간이자 시집 님의 침묵을 집필한 백담사를 배경으로 2003년에 만해마을이 조성되었다. 주요 시설로 만해의 저서, 유품 등이 전시된 만해문학박물관과 강연이 가능한 세미나실, 청소년수련시설, 숙소, 운동장 등이 갖추어져 있다.

팔랑폭포

팔랑폭포

19.6Km    2025-07-30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동면 팔랑리

팔랑초등학교 인근 앞산 기슭 깊숙이 자리한 팔랑폭포는 높지는 않지만 수량이 풍부해 시원한 물줄기를 자랑한다. 폭포 옆 암벽에는 300년 이상 된 소나무 한 그루가 우뚝 서 있어 폭포의 경관을 더욱 돋보이게 하며, 이곳을 찾은 문인과 나그네들이 시 한 수를 읊으며 쉬어갔던 곳으로 전해진다. 이 소나무는 높이 18m, 밑동 둘레 3.2m에 이르는 웅장한 자태를 지니고 있으며, 신목 또는 당산할머니라 불리며 마을 수호신으로 섬겨지고 있다. 맑은 물이 암벽 사이를 타고 쏟아지는 폭포는 한여름에도 시원함을 느낄 수 있어 자연 속 힐링 장소로 손꼽힌다. 전해지는 이야기처럼 신선이 목욕을 했을 법한 청정한 자연경관이 지금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한국시집박물관

한국시집박물관

19.7Km    2025-07-07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 만해로 136

한국시집박물관은 우리나라 근·현대기의 시집(詩集)을 체계적으로 전시하고 교육하는 국내 유일의 전문 박물관으로,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에 자리하고 있다. 총 9,459㎡의 부지에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로 건립되었다. 지상 1층에는 관람객들이 자유롭게 시집을 대여해 읽을 수 있는 작은 도서관, 다양한 체험학습이 가능한 교육·체험 공간, 안내실 등이 마련되어 있다. 지상 2층은 ‘근·현대 시기(1900~1970년대)’의 한국 시집을 연대기별로 전시한 상설 전시실, 시를 직접 짓고 낭송해 볼 수 있는 체험실, 그리고 특별전 등을 열 수 있는 기획 전시실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시집박물관은 국내외 많은 시인들과 소장가들이 기증한 기증 시집을 소장하고 있으며, 그중에는 오뇌의 무도, 해파리의 노래, 육사 시집 등과 같이 일반에 잘 알려지지 않은 1950년대 이전에 간행된 희귀 시집들도 다수 포함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