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십리 고미술상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답십리 고미술상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답십리 고미술상가

답십리 고미술상가

10.1 Km    24200     2024-05-23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미술로 39

답십리 고미술상가는 고서화, 고가구, 도자기 등의 고미술품과 독특하고 다양한 생활용품을 판매하는 상점이 밀집한 곳이다. 답십리 고미술상가는 청계천 8가, 이태원, 아현동 등지에 흩어져 있던 고미술상점들이 1980년대 중반부터 답십리 일대에 모여들기 시작하여 형성되었으며 현재 140여 개의 점포가 밀집해 있다. 고미술품은 물론 나무 촛대, 괘종시계, 오래된 액자 등과 같은 오래되고 독특한 소품들이 많아 볼거리가 풍성하다. 일반 상점에서는 보기 힘든 특이한 물건들이 많아 한국인은 물론 외국인들도 자주 찾는다. 일반적으로 인사동이 질 좋고 값비싼 고미술품들을 주로 판매한다면 답십리 고미술 상가는 몇천원부터 시작되는 작은 소품들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수도권 지하철 5호선 답십리역 1, 2번 출구 바로 옆에 있으며 답십리 로데오거리와도 인접해 있어 같이 둘러보기 좋다.

비바라비다

비바라비다

10.1 Km    0     2024-03-29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110-15 (권농동)
0507-1376-5157

비바라비다 인생만세는 서울 종로구 창덕궁 바로 앞에 위치한 감성 한옥 게스트하우스로, 오직 한 팀만을 위해 독채로 운영된다. 숙소는 침실 2개, 주방, 마당, 테라스, 외부 화장실로 구성되어 있고, 마당의 풀숲은 하루의 피로를 풀어주는 힐링 스팟이 되어 준다. 웰컴 드링크로 와인을 제공하고 다도도 세팅되어 있으며 우동도 제공한다. 창경궁, 창덕궁, 종묘가 도보거리에 있고, 북촌한옥마을, 광장시장 등 주요 관광지도 인접해있다.

북촌의날

북촌의날

10.1 Km    0     2024-02-06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길 37
02-741-1033

북촌의날은 북촌의 이웃과 문화자원을 연계한 지역문화축제의 활기를 되찾고 엔데믹 시대의 역동성을 담고자 한다. 서울공공한옥 북촌문화센터는 한옥과 전통, 북촌의 문화 속에서 또 다른 확장 가능성이 발아될 수 있도록 축제를 연다.

호심

10.1 Km    0     2024-03-23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 33 (가회동) 1층 호심(HOSIM)

-

목포산꽃게찜

목포산꽃게찜

10.1 Km    2     2021-03-15

서울특별시 성동구 마장로 325
02-2292-1270

한국 미식 프로그램에 자주 소개된 매장이다. 대표메뉴는 꽃게찜이다.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남해굴국밥

남해굴국밥

10.1 Km    1     2021-03-09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46길 11
02-764-4858

서울특별시 동대문역 부근에 있는 한식당이다. 매일 통영에서 배송받은 굴로 요리하는 집이다. 대표메뉴는 굴국밥이다.

600년 역사의 재미난 스토리가 흐르는 골목

600년 역사의 재미난 스토리가 흐르는 골목

10.1 Km    3896     2023-08-10

북촌을 제대로 보려면 북촌 8경을 따라 보는 것이 좋다. 북촌길 동쪽 끄트머리쯤의 원서빌딩 앞 제 1경 포토스폿에서 동쪽을 바라보면 창덕궁 기왓골과 오래된 회화나무의 휘어진 나뭇가지를 감상할 수 있다. 궁담장을 따라 옛 빨래터부터 락고재 한옥체험관 주변으로 서울 옛 중심 문화의 흔적과 고풍스런 길들의 멋스러움을 걸어보자.

늘봄해물찜&손칼국수 답십리본점

늘봄해물찜&손칼국수 답십리본점

10.1 Km    0     2024-01-16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로 39

늘봄 해물찜&손칼국수 답십리 본점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답십리동에 위치하고 있다. 전용 주차장이 없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게 편리한데 지하철 5호선 4번 출구에서 가깝다. 동네 맛집으로 소문나기 시작하면서 이제는 전국구 맛집이 되었다. 다수의 TV 프로그램에 맛집으로 소개되었고 그 이력들은 매장 입구에 전시돼 있다. 갈비해물찜과 아귀찜 등의 찜메뉴와 바지락칼국수, 해물낙지칼국수, 들깨칼국수, 팥새알죽 등의 식사류도 맛볼 수 있다. 식당 주변에 답십리공원, 간데메공원, 장평근린공원이 있어 식사 후 가벼운 산책을 즐길 수 있다.

북촌문화센터

북촌문화센터

10.1 Km    62093     2023-12-07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길 37

북촌문화센터는 1921년 지어진 등록문화재 [서울 계동 근대 한옥]으로 구 민형기 가옥으로 알려졌다가 최근에 민형기의 부인인 유진경 가옥으로 고증이 진행되고 있다. 북촌 내에서는 흔히 [민재무관댁] 또는 [계동마님댁]으로 불리었다고 한다. 원래 안채, 바깥채, 앞행랑채, 뒷행랑채, 사당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한옥 개보수 기준 조례에 따라 최대한 한옥 원형을 보존하고 복원하는 데 중점을 두어 개보수 되어 현재는 <북촌가꾸기 사업>의 일환으로 주민커뮤니티 및 방문객 안내센터 역할을 하고 있다.

청운문학도서관

10.1 Km    10     2023-07-27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36길 40

서울 종로구와 서대문구에 걸쳐 있는 인왕산은 조선시대 수도 한양을 둘러싼 4개의 산 중 하나로, 조선의 대표적인 화가 겸재 정선(1676~1759)의 진경산수화에도 자주 등장하는 아름다운 산이다. 그래서인지 옛 한양도성의 성곽을 따라 조성된 성곽길 구간 중에서도 인왕산 구간은 특히 인기가 많다. 인왕산 구간의 한쪽 시작점인 창의문을 출발하여 성곽길을 걷다 보면 얼마 지나지 않아 인왕산 자락에 들어서 있는 한옥의 기와지붕이 눈에 들어오는데, 바로 한 장 한 장 장인의 손으로 구워 만든 청운문학도서관의 기와지붕이다. 청운문학도서관은 인왕산의 경사 지형과 자연 경관을 고려하여 설계된 공공 도서관이다. 도서관은 지하층과 지상층 총 2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콘크리트 구조로 만든 지하층을 기초로 삼아 지상층에 한옥을 지어 올리고 넓은 마당을 조성하였다. 주변의 경사 지형을 거스르지 않고 건물을 앉힌 덕분에 지하층의 남쪽 입면이 겉으로 드러나 있는데, 이 입면에 만든 창을 통해 내부 공간으로 햇빛이 풍부하게 유입되며, 그 입면 전체를 모두 전 벽돌로 마감하여 외부에서 볼 때 지상층의 한옥과 조화를 이룬다. 콘크리트 구조의 지하층 위에 올려진 한옥은 지하층에서 대여한 책을 읽을 수 있는 열람실 역할을 하는데, 한옥의 대청마루, 누마루, 툇마루에 앉아 남쪽으로 탁 트인 경관을 바라보면, 한옥의 안마당과 인왕산 자락의 푸른 숲, 저 멀리 도심의 빌딩 숲이 한눈에 담겨 자신이 잠시 도시의 복잡한 삶에서 벗어나 자연 속에 묻힌 공간에서 쉼을 얻고 있음을 깨달으며 여유를 느끼게 된다. 한옥 본채 곁에 있는 작은 연못 위에 지어진 아담한 크기의 정자에서는 옛 선비들이 즐기던 풍류를 떠올려 볼 수 있다. 작은 물길을 따라 흘러내리는 맑은 물 소리, 주변을 둘러싼 나무에서 들려오는 새소리, 연못 위로 반짝이는 햇살이 어우러진 정자에 들어앉아 책을 읽노라면 어느새 시간의 흐름을 잊고 독서에 몰두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