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원하우스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낙원하우스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낙원하우스

2.1Km    2024-07-31

서울특별시 마포구 백범로17길 47-6 (대흥동)
010-6629-2264, 0507-1342-2268

서울 마포구 대흥동에 위치한 낙원하우스는 2023년 8월 전체 리모델링을 하며 깨끗하고 아늑한 공간을 제공한다. 방 2개, 욕실 1개, 주방, 거실로 구성되어 있고, 빔프로젝터, 세탁기, 스팀다리미가 비치되어 있어 장기 숙박을 하기에도 좋다. 조용한 주택가에 위치해 일상에서 벗어나 충분한 쉼을 누릴 수 있고, 인근에 편의점, 세탁소, 감성카페 등도 있다. 지하철을 타고 광화문, 서울역, 홍대 등 주요지역으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키즈돌핀 서대문DMC점

키즈돌핀 서대문DMC점

2.1Km    2025-05-22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수색로 102 (북가좌동, DMC요진아파트)

키즈돌핀 서대문 DMC점은 친환경 해수풀 어린이 레슨 전문 수영장이다. 1:4 소수정예 레슨으로 정확한 영법과 자세를 배울 수 있으며, 어린이 각자 개별특성과 눈높이에 맞는 수업을 진행한다. 어린이들의 신체발달과 더불어 사회성, 인성, 리더십 함양에 중점을 두고 교육하고 있다. 또한, 철저한 담임제 운영으로 담임 선생님들 및 전문 보조선생님이 직접 탈의, 샤워, 화장실, 수영수업까지 안전하게 수영을 배우고 집 앞까지 케어하는 올케어시스템(All Care System)이다. 수영장의 수온은 31℃~33℃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겨울에도 따뜻하며 어린이에게 맞는 수심으로 안전하게 수영을 배울 수 있다. 어린이 전용 샴푸, 바디워시를 사용하고 샤워 후 전용 로션까지 보조 선생님이 케어해 준다. 또한, 기다리는 부모님들을 위해 카페 스타일의 아늑한 관람석이 있고 방문하지 않아도 수업 현장을 인터넷 또는 스마트폰으로 생중계하여 아이들의 수업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웅파이 망원점

웅파이 망원점

2.1Km    2025-05-21

서울특별시 마포구 망원로2길 62 (망원동)

웅파이는 뉴질랜드에서 10년간 외식업 경험을 쌓은 두 자매가 한국에 설립한 정통 미트파이 전문점이다. 망원동 본점을 시작으로 여러 지점을 운영하고 있으며, 뉴질랜드에서 즐기던 본토의 미트파이 맛을 그대로 재현해 합리적인 가격과 높은 품질로 선보이고 있다. 정통 미트파이의 맛과 더불어 푸짐한 양으로 간식이나 한 끼 식사로도 손색이 없는 곳이다. 메뉴로는 비프파이, 치킨파이, 보스파이, 양송이파이, 시금치파이, 소세지롤 등이 있으며 미트파이가 인기 메뉴이다. 미트파이는 다양한 고기와 채소를 넣어 만든 진한 고기 스튜를 고소한 페이스트리에 담았다. 신선한 품질을 중요시하는 만큼 하루 한정 수량만 판매하고 있다. 매장 인테리어와 포장에도 귀여운 시그니처 캐릭터와 감각적인 디자인을 적용해 젊은 층 사이에서도 인기이다.

절두산 순교성지

절두산 순교성지

2.1Km    2025-03-17

서울특별시 마포구 토정로 6

절두산은 원래 누에의 머리와 비슷하다고 하여 잠두봉이라 불렀다고 한다. 1866년 2월 프랑스군함이 천주교탄압을 문제 삼아 한강을 거슬러 양화진과 서강까지 진입하였다. 이에 격분한 대원군은 수많은 천주교인들을 잠두봉에서 목을 베어 참수케 한다. 그 뒤로 머리를 잘랐다 하여 절두산(切頭山)이라는 지명을 얻게 되었다. 한국 천주교회에서는 병인박해(1866년) 순교 100주년을 기념하여 1967년 10월 순교 기념관을 개관하였다. 현재 절두산성지 내에는 한국 천주교회 관련 사료와 유물·유품전시관, 28위의 성인유해를 모신 유해실, 순례성당, 순교자 교육관을 비롯하여, 야외 전시관이 있다. 절두산 순교 성지는 생명을 바쳐 믿음을 증거 한 한국 천주교회 신앙 선조들의 순교정신이 살아 숨 쉬는 뜻깊은 성지이다.

한국천주교순교자박물관

한국천주교순교자박물관

2.1Km    2024-12-06

서울특별시 마포구 토정로 6

한국천주교순교자박물관은 1866년 병인박해 때 순교한 천주교인의 신앙과 얼을 널리 알리기 위하여 개관한 박물관이다. 절두산 순교성지 안에 있는 곳으로 병인박해 100주년을 맞아 1967년 10월 순례 성당과 박물관을 포함하여 절두산순교기념관을 개관하였고, 2008년 8월 한국천주교순교자박물관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한국천주교회사와 근현대사의 관련 사료와 순교자 유품 등의 유물 5000여 점을 전시를 통해 공개하고 있으며 건립 당시의 원형을 복원하고 내부를 재단장한 한국천주교순교자박물관은 2022년 [서울특별시 건축상] 우수상을 받기도 했다.

마포아트센터

마포아트센터

2.1Km    2024-09-02

서울특별시 마포구 대흥로20길 28

마포아트센터는 홍대, 신촌, 서강대 등 대학가에 둘러싸인 복합 문화예술공간이다. 마포아트센터에서 운영하는 [아트홀맥]은 1,004석 규모의 종합공연장이다. 서울특별시 건축물 대전에서 은상을 수상할 정도로 훌륭하고 멋진 외관을 자랑하고 있으며, 현대식 최첨단 시스템을 갖추어 다양한 장르의 공연을 소화할 수 있는 전문 공연장이다. 인형극, 독주회, 어린이공연 등 소규모 공연장인 [플레이맥]은 교육적이고 수준 높은 어린이 공연을 비롯해 소규모 콘서트 및 음악회를 선보이고 있으며 소규모 공간에서 지역 주민 및 동아리들의 다채로운 공연과 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전시 작품 감상뿐만 아니라 체험을 결합한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인 [갤러리맥]은 그림, 사진 전시는 물론이고 공간 활용 방식에 따라 디자인, 공예, 아동미술의 프로그램도 가능한 공간이다. 그 외에도 아카데미와 수영장, 체육관, 휘트니스, 골프클럽을 갖춘 스포츠센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옥상 [파크맥]에서는 자연과 함께 숨 쉬는 휴식 공간 및 텃밭이 조성되어 있다.

엄마손떡볶이

엄마손떡볶이

2.1Km    2025-01-1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증가로10길 37

증산역과 가좌역에서 차로 7분 정도 거리에 있는 40년 전통의 떡볶이 전문점이다. 명지대학교 정문 건너편 샛길로 들어가면 왼쪽 모퉁이에 위치해 있다. 대표 메뉴는 떡볶이로, 이 외에도 순대와 어묵, 라면, 쫄면, 냉면 등 다양한 분식 메뉴를 맛볼 수 있다. 넓고 정겨운 분위기의 내부에서 식사가 가능하다. 차량으로 15~20분 거리에 망원시장과 망원한강공원 등이 있어서 관광하기 좋다.

망원정지

망원정지

2.1Km    2025-01-02

서울특별시 마포구 동교로8안길 23

합정동에 위치하고 있는 정자로서 서울시 기념물로 1989년 10월 복원되어 관리하고 있다. 세종6년(1424년)에 효령대군이 별서를 지었는데 이듬해 세종이 서교에 농정을 살피러 왔다가 정자에 들렀을 때 단비가 내리어 "희우정"으로 이름지었다고 하며, 성종 15년(1484년)에 월산대군이 정자를 크게 고치고, 망원정으로 이름했다. 연산군 12년 7월 1천여명이 앉을 수 있게 확장하고 수려정으로 고쳤으나, 그해 9월 중종반정으로 다시 망원정으로 변경하였다. 1925년 을축대홍수과 한강개발로 자취를 감추었던 것을 한강변 문화 유적 복원 계획의 일환으로 1988년 6월에 기공하여 1989년 10월 준공하였다. 근처의 망원동은 바로 이 정자에서 딴 동네 이름이다.

램랜드

램랜드

2.2Km    2025-01-16

서울특별시 마포구 토정로 255

램랜드는 양고기전문점으로 신선한 양고기 등심을 갈비뼈를 따라 하나하나 잘라낸 삼각갈비는 소고기보다 육질이 연하고 지방이 적어 담백하고 고소한 맛이다. 2년 미만의 새끼 양을 사용하여 특유의 냄새를 없앴다.

서대문자연사박물관

서대문자연사박물관

2.2Km    2025-07-0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로32길 51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은 서울 도심 속 안산 자락에 위치한 공공 자연사박물관으로, 2003년 7월 10일에 개관하였다. 이 박물관은 공공기관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시민들에게 자연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특히 꿈 많은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다양한 생물과 지질, 환경에 대한 정보를 직접 보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박물관은 전시뿐 아니라 교육 프로그램과 체험 활동을 통해 자연에 대한 지식과 흥미를 동시에 제공한다. 또한 지역 주민들에게는 문화 활동 공간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은 도시 생활 속에서도 생명과 자연의 가치를 체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