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Km 2025-07-30
인천광역시 계양구 병방시장로 3
임학공원은 인천광역시 계양구에 위치한 자연 친화적인 공원이다. 넓은 면적을 자랑하며, 다양한 식물과 나무들이 자생하는 생태공원으로, 산책로와 자전거 도로가 잘 조성되어 있어 시민들이 여유로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 또한, 어린이들을 위한 놀이시설과 운동시설이 갖추어져 있어 가족 단위 방문객에게 적합하다. 공원 내에는 연못과 작은 폭포도 있어 자연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으며, 계양산과 가까워 등산 후 휴식을 취하기에도 좋은 장소이다. 또한 이곳에서는 계양구청이 구내 여러 공원과 지역 주민들을 위해 실시하는 운동사업의 일환으로 걷기 교실을 운영하고 있다. 걷기 교실은 계양산 둘레길을 따라 매주 화요일과 목요일에 운영되고 있으며 계양주민은 누구나 이용할 수 있고 참가비도 무료이다.
6.9Km 2025-03-17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흥로316번길 38-3
032-516-0655
부평종합시장은 오랜 역사를 가진 전통재래시장이다. 일제 강점기 시기에 부평역 일대가 개발되고 인구가 늘어나면서 생겨난 노점 골목이 그 시초이다. 본격적인 시장의 모습을 갖춘 것은 6·25 전쟁 이후다. 인근 미군 부대에서 흘러나온 군수품들이 이곳에서 거래되면서 도깨비시장 또는 양키시장이라 불리며 규모가 점차 확대되었다. 이후 1970년대에 청과물 도매시장이 생기면서 인천은 물론 김포, 영등포 등에서도 장을 보러 올 정도로 상권이 커졌다. 인천 최대의 전통시장이라는 타이틀에 걸맞게 부평종합시장에는 없는 것이 없다. 400여 개에 달하는 점포들이 모인 이곳엔 농수산물과 과일, 채소, 잡화 등 다양한 품목들이 진열되어 있으며 제품 회전율이 높아 언제나 신선한 식재료를 구입할 수 있다. 저렴한 가격에 푸짐하게 먹을 수 있는 손칼국수와 닭강정은 꼭 맛봐야 할 명물 주전부리다. 시장 내에 방향 표시등이 설치되어 있어 길 찾기가 쉬우며 명절 때에는 다목적 광장에서 문화 공연도 펼쳐진다. 워낙 상권이 큰 지역이라 지금은 일반적으로 인접한 진흥종합시장과 자유시장, 부평모두몰 (부평지하상가)를 모두 묶어 부평종합시장이라 부른다. (출처 : 인천투어)
6.9Km 2025-03-27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흥로316번길 38-3
부평시장은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에 위치한 전통적인 재래시장이다. 이 시장은 오랜 역사를 자랑하며, 지역 주민들의 일상적인 쇼핑과 문화가 살아 숨 쉬는 공간이다. 부평시장 지하도 상가를 중심으로 6 거리가 형성되어 있는 부평종합상가 뒤편에 부평시장이 형성되어 있다. 부평동, 부개동, 산곡동이 시장 주변에 모여 있는 부평의 최대 상권지이다. 부평 깡시장이라고도 불리는데 시장터가 만들어진 전통 재래시장이 아닌 골목길에 여러 노포들과 가게들이 성업하면서 시장 길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6.9Km 2025-03-17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
부평 해물탕거리에는 해물탕 전문점들이 모여 있다. 삼삼오오 무리 지어 문을 연 해물탕거리는 매일 아침이면 싱싱한 해산물을 담은 트럭이 영업을 알린다. 1980년대 초 전 3곳으로 시작한 해물탕거리가 현재는 10여 곳으로 늘어나 성업 중이다. 바지락, 소라, 조개류, 낙지, 굴, 홍합, 새우, 주꾸미, 꽃게 등 다양한 해물과 함께 미나리와 콩나물의 향이 어울려 한 상 차려진다. 집집마다 진하고 깊은 육수의 맛이 조금씩 다르다. 어떤 집은 칼칼하고 얼큰한가 하면 어떤 집은 시원하고 담백한 육수의 맛을 자랑한다. 미나리와 콩나물은 그 향만 우러날 정도로 조금 들어가고 해물이 대부분이다. 또한 아귀찜, 꽃게찜, 꽃게탕 등 싱싱한 해산물을 주재료로 한 찜과 탕도 취급하고 있다. 80년대 역시 지금처럼 차가 많아 길이 막히지 않을 때는 서울 손님이 현지 손님보다 더 많을 정도로 잘 알려진 해물탕 거리였다. 이곳의 해물이 신선한 이유는 매일 아침 가락동시장 등에서 재료를 사 오는데 또 주인만 아는 육수의 맛도 해물탕 맛의 비결이다. 맵게 먹고 싶은 사람은 음식을 주문할 때 맵게 해달라고 말하면 되고 해물류의 탕과 찜이 전문이며 어떤 집은 해물과 누룽지탕을 혼합한 ‘해물 누룽지탕’ 등을 개발해 새로운 입맛에도 끊임없이 도전하고 있다.
6.9Km 2024-06-17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양산로134번길 18
2004년 개관한 계양도서관은 만남, 발견&감동이라는 슬로건 아래 양질의 최신 정보를 제공하고 유익한 독서프로그램을 개발하며 다양한 평생학습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사업으로는 책 읽는 도시, 인천 만들기 / 독서 확산 프로그램 운영 / (독서특화) 동화구연 체험관 운영 / 평생학습 프로그램 운영 /초등학력 인정 문해교육 글오름학교 / 마을교육공동체 지원사업이 있다. 특색사업으로는 생태·환경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기후 위기 대응 생태 환경교육, 계양산 숲 생태 아카이빙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