뱃길조각공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뱃길조각공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뱃길조각공원

뱃길조각공원

17.5Km    2025-05-02

경기도 김포시 고촌읍 신곡리

뱃길조각공원은 김포에서 인천 정서진을 잇는 경인아라뱃길 남쪽 길에 조성된 조각공원이다. 공원에는 ‘국민과 함께하는 아라뱃길 문화 만들기’ 라는 취지로 서울시립대ㆍ성신여대ㆍ중앙대 학생들이 참여하여 제작한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탁 트인 잔디밭에 친근하고 상상력 가득한 작품들을 통해 아라뱃길을 찾는 사람에게 문화예술을 즐길 수 있는 여유를 제공하기 위해 2013년 8월에 김포시가 조성한 공간이다. 조각공원에는 작품명 '로봇'을 비롯하여 Revival Gorillaㆍ아라바이크ㆍ물길바람 등 다양한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어 멋진 일몰과 함께 예술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신간짬뽕

신간짬뽕

17.5Km    2025-05-02

경기도 김포시 돌문로61번길 14 (사우동, 칠성연립)

김포 사우동 행정복지센터 부근에 있는 신간짬뽕은 파주에 본점을 둔 辛간짬뽕의 체인점이다. 국물이 적고 불맛이 나는 매콤한 비빔 짬뽕으로 매운맛 1단계부터 3단계까지 취향에 맞게 주문할 수 있다. 주문 후 즉시 조리를 시작해 약 15분 정도 기다려야 한다. 미리 전화로 음식을 주문하고 방문하면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다. 간짬뽕에는 오징어, 홍합, 바지락이 가득 들어 있고 불향이 물씬 묻어나서 입맛을 돋운다. 주차는 매장 앞에 2대 정도만 가능해서 주변 공터나 길가에 주차해야 한다. ※반려동물 동반 불가(단, 안내견은 가능)

소리체험박물관

소리체험박물관

17.5Km    2025-03-13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해안남로474번길 11

소리체험박물관은 악기의 발달사를 전문으로 보여주는 곳으로 악기, 음향기기를 과학교육의 도구로 활용하는 체험을 제공한다. 이 박물관에는 자연의 소리, 소리 과학관, 악기 박물관, 축음기 박물관 등 4개의 전시관이 있다. 1관 ‘자연의 소리’에서는 예전 라디오방송국에서 사용하던 효과 악기를 가지고 비, 바람, 천둥, 파도 소리 등 자연 소리를 연주해 볼 수 있다. 2관 ‘소리 과학관’은 토끼 귀, 나팔입, 호스 전화기, 소리굽쇠 등 소리와 관련한 기구를 직접 실험하고 체험할 수 있는 곳이다. 3관 ‘악기 박물관’에서는 보기 힘든 봉고, 젬베, 발라폰 등 희귀 악귀를 직접 연주해 볼 수 있고, 4관 ‘축음기 박물관’에서는 에디슨의 축음기, 벨의 전화기부터 현재의 휴대전화까지 발달사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이곳에서는 도구와 악기를 가지고 마음껏 소리를 만들고, 듣고, 만져보고, 느낄 수 있다. 아이와 함께 방문하면 색다른 소리의 세계를 경험하게 될 것이다.

과림낚시터

과림낚시터

17.5Km    2025-06-05

경기도 시흥시 과림저수지길 79 (과림동)

경기도 시흥시 과림동에 위치한 과림낚시터는 부천, 광명과 인접한 위치에 있어 접근성이 용이하다. 인근에서 유입되는 오 폐수 정화시설 후 주변 환경을 친환경적으로 정비한 과림저수지는 수도권에 있는 낚시터 중 가장 관리가 잘 되고 있는 자연생태저수지로 변화했다. 잡이터와 손맛터가 있고 주어종은 향어와 잉어이다.

화덕품은 고등어

화덕품은 고등어

17.5Km    2025-05-02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김포한강8로 34-1

화덕품은고등어 식당은 김포 구래역에서 멀지 않은 한강 센트럴블루힐 아파트 정문 바로 맞은편에 있다. 30년 넘은 경력을 가진 조리장이 직접 생선을 구워 주시는 맛집으로 소문난 식당이다. 매장 내부는 깔끔하고 청결하게 정돈되어 있고, 무엇보다 겉은 바싹, 속은 촉촉한 생선구이는 물론이고 다양한 밑반찬 또한 일품이다. 무려 13종의 밑반찬이 세미 뷔페처럼 준비되어 있어 얼마든지 무한 리필해 먹을 수 있다. 고등어를 비롯하여 삼치, 꽁치, 갈치, 민어 등 생선구이 전문점답게 다양한 생선구이를 맛볼 수 있다.

우저서원

17.5Km    2025-07-03

경기도 김포시 중봉로25번길 87

1648년(인조 26)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선조 초기에 통진현감(通津縣監)으로 있으면서 유생을 훈도한 조헌(趙憲)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9년경 김포유생이 청액소(請額疏)를 올려 사액을 청하였지만 한창 첩설(疊設)에 따른 폐단이 논의되던 때라 실현을 보지 못하였으며, 1675년(숙종 1) 남인정권하에서 충절장려책의 일환으로 현판을 하게 되어 ‘우저(牛渚)’라고 사액되었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왔으며, 1868년(고종 5)경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시 훼철되지 않고 존속한 47개 서원중의 하나이다. 1973년에 보수하고 단장을 신축하였다. 경내의 건물로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된 사우(祠宇),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된 강당과 비각(碑閣)·내삼문(內三門)·외삼문(外三門) 등이 있다. 사우에는 조헌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으며 매년 봄과 가을에 향사를 지내고 있다.

천둥산민물장어

천둥산민물장어

17.5Km    2025-05-02

경기도 김포시 고촌읍 태리로 72

천둥산 민물장어는 고촌고등학교 인근에 위치한 장어전문점이다. 이곳은 민물장어 정식으로 소문난 맛집이다. 민물장어 정식은 철판에 구워진 장어를 제공하여 구워 먹는 불편함이 없다. 장어 정식 외 간장 게장, 버섯 불고기, 된장찌개 등 다른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약 2,000평에 이르는 넓은 정원에선 다양한 꽃을 볼 수 있고, 물레방아가 돌아가며, 오골계와 토끼를 사육해 눈길을 끈다. 또한, 식사 후에는 마당에 모닥불을 피워 놓고 정담을 나눌 수 있어 시골로 나들이 온 분위기를 즐길 수 있다.

류순정·류홍 부자 묘역

류순정·류홍 부자 묘역

17.6Km    2025-03-16

서울특별시 구로구 오류동

조선 전기의 문신 류순정(1459~1512)과 무신인 그의 아들 류홍(1483~1551)의 묘역이다. 류순정과 류홍 부자는 공을 세운 공신으로, 이 묘역은 16세기에 조성되었다. 오늘날 서울 지역에서 유일한 부자(父子) 2대 공신묘역으로, 돌로 만들어 묘 앞에 세워 둔 석물들의 양식과 묘역의 조성 형태로 조선시대 공신의 묘를 세우던 관습이나 제도 등 묘제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는 가치를 지닌다. 류순정의 묘 형태는 부인과 상하 합장으로, 위는 류순정의 묘이고 아래는 부인 안동 권씨의 묘이다. 부부의 묘역 왼쪽에는 류순정의 생애와 업적을 기리기 위해 1567년(명종 22)에 세운 신도비가 있다. 비문은 한성부 판윤이었던 강혼이 지었고, 글씨는 이름난 서예가였던 송인이 썼다. 류순정의 묘에서 서남쪽으로 약 150m 떨어진 언덕에 아들 류홍을 비롯한 후손의 묘역이 있다.

올리브영 김포사우

올리브영 김포사우

17.6Km    2024-03-24

경기도 김포시 사우중로 45

-

정선옹주 묘역

17.6Km    2024-06-12

서울특별시 구로구 궁동

구로구 궁동에 있는 조선 후기 정선옹주가 출가했던 안동권씨의 묘역이다. 정선옹주는 조선 14대 임금 선조의 7녀로, 세도가인 안동권씨 집안의 권대임과 결혼해 지금의 구로구 궁동 67번지 일대에서 살았다. 궁동이라는 명칭도 그들이 궁궐 같은 기와집에서 살았던 것에서 유래되었다. 정선옹주 묘역에는 정선옹주 남편 권대임의 묘를 비롯해 여러 기의 안동권씨 무덤이 자리하고 있으며 이 묘역은 흔히 풍수가에 의해 명당 중의 명당으로 꼽힌다. 이들의 묘는 조선 공신 묘역 조성 방식의 귀중한 사례가 되고 있으며, 묘역의 신도비와 묘비는 당시 묘제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정선옹주묘역 옆에 있는 궁동생태공원은 생태탐방로, 산책로, 쉼터정자, 운동기구 등이 있어 산책하기 좋으며 25,000여 본의 다양한 꽃과 나무가 식재되어 있고 100여 마리의 비단잉어들이 저수지에 노닐고 있는 등 서울에서 보기 드문 아름다운 풍광과 생태 환경을 자랑한다. 정선옹주묘역과 함께 연계하여 방문해 보는 것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