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로탱화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감로탱화 정보를 소개합니다.

  • 감로탱화

설명

1759년(영조 35)에 제작된 감로탱화로 전체적으로 필선이 유려하고 그림 전반에 걸쳐 생동감이 넘칠 뿐만 아니라 진하고 탁한 적색과 녹색이 주조를 이루고 있어 18세기 불화의 보편적인 특징을 잘 갖추고 있는 그림이며, 화기를 통해 정확한 제작연대와 작가를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원 오관이 단독으로 그린 것이기 때문에 오관의 화풍을 이해하는 데도 좋은 자료이므로 지정보존가치가 크다.
감로탱화는 주로 지옥에 빠진 중생을 극락으로 인도해주는 장면을 그린 불화이다. 우란분경변상도(盂蘭盆經變相圖)라고도 하는데 목련존자(目蓮尊者)가 돌아가신 어머니께서 아귀도(餓鬼道)에 빠져 먹지 못하는 고통을 받는 것을 보고 부처님께 사정하여 부처님의 가르침대로 백중날에 과거ㆍ현세ㆍ7세의 부모를 위해 시방의 부처님과 스님에게 백미(白味)ㆍ반식(飯食)ㆍ오과(五果) 등을 공양하여 어머니를 구제하고 천상에서 복락을 누리게 했다는 우란분경의 내용을 그린 그림이다.
따라서 감로탱화는 화면 가운데 차려진 성반(盛飯)을 중심으로 윗부분에는 부처님 일행이 중생을 맞으러 오는 장면과 인로왕보살(引路王菩薩)이 인도하는 장면 등이 묘사되며, 중앙의 성반 왼쪽에는 제(齋)를 올리는 장면, 반대편에는 서왕모를 비롯한 도교의 신들, 성반 아래에는 아귀와 지옥의 고통스러운 장면과 갖가지 현실생활의 모습들이 다양하게 묘사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감로도는 불교ㆍ유교ㆍ도교 및 민간신앙 등 다양한 사상과 신앙을 결합한 조선시대 불교의 양상을 가장 잘 보여 주는 불화라고 할 수 있으며, 아울러 하단의 다양한 현실생활상은 풍속화적인 요소를 보여 주고 있어 일반회화 등 여러 분야에서 주목되는 불화이다.
이 감로도에는 성반의 아래에 묘사되는 지옥장면과 현실의 생활 장면은 비교적 간략히 묘사되어 있고, 아미타불 일행이 맞으러 오는 장면이 있는 화면의 상부가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화면의 상부는 세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중앙에 5불, 왼쪽에는 관음ㆍ지장보살, 오른쪽에는 인로왕보살이다.
이들 세 장면은 산악으로 장면 구획하고 있으며, 화면 하부의 지옥과 풍속장면은 산악과 수목으로 장면이 구획되어 있다.
화면은 다양한 장면 묘사로 자유스럽고 생동감에 넘치고 있는데 그러한 생동감은 골이 깊은 산악과 비교적 사실적인 수목 표현으로 더욱배가되고 있다. 진하고 탁한 적색과 녹색, 그리고 배경으로 갈색과 검은색이 채색되어 전반적으로는 어두운 색조를 이루고 있다.
이 불화는 화면에 균열과 채색이 박락된 곳이 몇 군데 보이나 단정한 인물상의 모습과 치밀한 묘선, 탁한 색조 등 18세기 중엽경의 불화의 보편적인 특징을 잘 보여 주는 작품이다. 특히 천상부를 강조한 화면의 상부에 표현된 산악의 표현, 재를 올리는 장면과 지옥 및 풍속장면 등에 표현된 인물상들의 살아있는 듯 한 다양한 표정 등은 이 당시 불화로서는 생동감 있는 화면을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좋은 작품이다.
또한, 화기를 통해 정확한 제작연대(1759년)를 알 수 있고 화원(畵員)으로 오관(悟寬)만이 기록되어 있어 그가 혼자서 그린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오관의 화풍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도 좋은 자료가 된다. 1759년(영조 35)에 제작된 감로탱화로 전체적으로 필선이 유려하고 그림 전반에 걸쳐 생동감이 넘칠 뿐만 아니라 진하고 탁한 적색과 녹색이 주조를 이루고 있어 18세기 불화의 보편적인 특징을 잘 갖추고 있는 그림이며, 화기를 통해 정확한 제작연대와 작가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원 오관이 단독으로 그린 것이기 때문에 오관의 화풍을 이해하는 데도 좋은 자료다.


이용안내

할인정보 : 있음

문의 및 안내 : 033-330-2722

쉬는날 :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추석 당일

이용요금 : 성인 5000원, 청소년 1500원, 어린이 500원

이용시간 : 동절기 09:30~16:50
하절기 09:30~18:00


상세정보

체험프로그램
없음

위치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76 동산리 17-5 월정사 성보박물관

군산항1981

군산항1981

2025-10-23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내항1길 12 (장미동)

군산항 1981은 1981년에 건립된 구) 여객터미널을 리모델링하여 새롭게 조성한 복합문화쉼터이다. 한때 군산의 해상 관문이었던 여객터미널은 시대 변화로 이용이 줄어들며 기능을 상실했으나, 리모델링을 통해 과거의 역사적 의미와 현대적 문화 기능을 결합한 공간으로 재탄생하였다. 단순한 휴게 공간을 넘어 관광 안내, 전시, 공연, 체험 프로그램이 결합된 다목적 복합문화쉼터로서 여행자들은 편안한 휴식과 지역 문화를 체험할 수 있으며, 군산 관광의 거점이자 시민과 방문객 모두를 위한 열린 문화공간이다.

전주시립도서관꽃심

전주시립도서관꽃심

2025-10-23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백제대로 306 (중화산동2가)

전주시립도서관 꽃심은 2019년 12월 개관한 전주시의 제12호 시립도서관으로, 완산구 중화산동에 위치하고 있다.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로 조성된 본 도서관은 어린이자료실, 종합자료실, 우주로1216 등 다양한 이용 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 중 ‘우주로1216’은 전국 최초 트윈세대 전용 공간으로, 이용자가 자유롭게 드나들며 다채로운 활동을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나만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슥슥존’, 차분히 사유하고 세상을 탐색하는 ‘곰곰존’, 콘텐츠를 감상하며 소통하는 ‘톡톡존’, 신체 활동을 통해 에너지를 발산하는 ‘쿵쿵존’ 등 특화된 공간을 통해 청소년의 다양한 성장 경험을 지원한다.

김영수도서관

김영수도서관

2025-10-23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중앙로8길 18 (삼도이동)

제주북초 20회 졸업생인 故 김영수 선생님이 기증하신 학교도서관이다. 아이들이 책을 가까이하고 마음껏 상상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 위하여 2018년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학교와 지역공동체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 현재 본교 학생과 지역주민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학교도서관이자 마을도서관으로 새롭게 탄생하여 독서문화의 장으로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마리서사

마리서사

2025-10-23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구영5길 21-26 (월명동)

마리서사는 군산 고우당 근처에 위치한 서점이다. 1920년대에 건립된 적산가옥에 시간을 덧입혀 서점으로 꾸몄다. 따스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으며 편안하고 아늑한 분위기를 가진 서점이다. 작가와의 북토크, 북페어 등 다양한 행사에도 참여하고 있다. 군산여행에서 들리기 좋은 곳이다.

아크앤북 광안리

아크앤북 광안리

2025-10-23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남로 96 (광안동, 광안 포디움프레스티지 1)

아크앤북 광안리는 부산 광안리 해변 앞 복합문화 공간 포디움 다이브 지하 3층에 위치한 복합문화 서점이다. 이 공간은 책과 라이프스타일 상품이 공존하며 전시, 굿즈, 캐릭터 상품 등의 큐레이션이 함께 이루어진다. 광안리 해변 바로 앞에 위치해 날씨 흐릴 때도 즐기기 좋으며 포토존이 곳곳에 배치되어 방문객의 시선을 끈다. 도보 접근이 용이하고 대중교통 접근성도 좋은 곳이다.

부산교육역사관

부산교육역사관

2025-10-23

부산광역시 사하구 옥천로 130 (감천동)

부산교육역사관은 조선후기부터 현대까지 150여 년 부산 교육의 발자취를 한눈에 보여주는 교육사 전문 박물관이다. 2019년 폐교된 옛 감정초등학교를 리모델링해 2024년에 개관했으며, 교실과 복도를 전시·체험 공간으로 꾸며 ‘시간을 걷는 배움’을 전한다. 상설전시실 1~3은 조선후기·근대·전쟁기·현대 교육사를 다루고, AR 등 실감형 콘텐츠로 관람객이 보고·만지고·느끼는 현장감을 제공한다. 기획전시실은 해마다 주제를 바꿔 운영하며, 올해(2025) ‘부산의 학생들, 독립을 외치다’ 전을 통해 일제강점기 학생 항일운동 자료를 선보인다. 부산교육역사관은 교육 기록을 지키고 시민과 함께 성장하는 참여·공유의 공간을 지향한다.

만춘서점

만춘서점

2025-10-23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함덕로 9

만춘서점은 2016년에 시작한 제주 함덕의 독립서점이다. 여행자와 일상인 모두에게 열린 이 공간은 책을 통해 잠시 머물고 쉬어갈 수 있는 여유를 선사한다. 제주 감성이 깃든 책들과 소품이 어우러져 따뜻한 분위기를 자아내며, 바다와 가까운 위치 덕분에 산책길에 들르기 좋은 곳이다. 1호점과 2호점이 나란히 옆으로 자리하고 있다.

청주오스코

청주오스코

2025-10-23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생명로 250

청주오스코는 KTX 오송역과 청주국제공항에 인접하여 뛰어난 접근성을 자랑하며, 기둥 없는 대형 전시공간과 최첨단 회의실로 대규모 행사에 최적화된 시설을 제공한다. 또한, 오송생명과학단지 등 첨단 산업 중심부에 위치하여 협업의 기회를 극대화할 수 있다. 청주 오스코는 지하 1층부터 지상 2층까지 구성되어 있으며 공간 배치가 효율적으로 되어 있어 작은 전시부터 대규모 학회, 기업 행사까지 모두 소화할 수 있다.

해필

해필

2025-10-23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석탑로41번길 4

충청남도 부여군에 위치한 해필은 정림사지 풍경과 함께 편안한 공간에서 책과 쉬어갈 수 있는 곳이다. 다양한 책들과 매장 한편에는 좌석이 마련되어 있고 차를 만들어 마실 수 있는 티백 과 커피가 배치되어 있어 책을 보며 작업하기에 좋다. 이곳은 구매용 도서뿐만 아니라 열람용 도서도 따로 준비되어 있다. 또한 매주 일요일과 월요일은 1일 1팀 사전예약을 통한 도자기 클래스도 진행하고 있다.

강릉시청행정역사관 (행정역사관)

2025-10-23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릉대로 33 (홍제동)

여러 지역에 흩어져 있는 강릉시 행정역사자료를 한 장소에 모아 보존함으로써 지난 날의 지방 행정의 흐름을 되돌아 보고 앞으로의 발전을 위한 산 교육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