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막골유원지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동막골유원지 정보를 소개합니다.

  • 동막골유원지
  • 동막골유원지
  • 동막골유원지
  • 동막골유원지
  • 동막골유원지
  • 동막골유원지
  • 동막골유원지

설명

성산 골짜기에 있는 동막골유원지는 아미천을 따라 흐르는 연천의 대표적인 계곡이다. MBC 드라마 왕초에서 김춘삼이 움막식구인 거지들과 함께 인민군을 상대로 치열한 전투를 벌인 촬영 장소이다. 맑은 물이 깊은 계곡을 굽이굽이 휘돌아 흐르고 기암괴석과 자연림이 어우러져 있어 신비함을 더해준다. 대부분의 지역이 수심이 낮고 어른 허리 깊이의 소가 군데군데 있어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들의 여름 피서지로 알맞다. 동막골 유원지 일대에는 중생대 백악기 응회암이 넓게 분포한 한탄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된 곳이다. 동막골 응회암은 화산에서 뿜어져 나온 화산재와 암석 부스러기 등이 쌓여 만들어진 암석으로 용바위, 거북바위 등으로 불리고 있다. 화산이 분출한 곳과 가까운 상류로 갈수록 입자가 커지는 현상을 볼 수 있어 멋진 경관과 함께 지질 공부도 함께 할 수 있는 곳이다. 더불어 들러보기 좋은 곳으로 동막리 남쪽의 깊이 16m 높이 2.2m 천연동굴인 풍혈이 있다. 여름철에는 얼음이 녹지 않을 정도로 찬 공기가 흘러나와 추운 겨울을 연상케 하고 반대로 겨울철에는 얼음이 얼지 않고 따뜻한 김이 모락모락 솟아오르는 기현상을 보이는 곳이다. 동막골유원지는 2020년 7월 1일부터 낚시, 야영 및 취사 금지구역이다. 다만, 하절기인 6~8월 07:00부터 19:00까지는 텐트 및 그늘막 설치를 일시적으로 허용한다. 계곡 인근에는 오토캠핑장과 평상 및 샤워 시설 등을 유료로 임대하는 가게들이 있어 필요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은현IC에서 차량으로 약 11분 소요된다. 인근에 소요산, 한탄강유원지, 한탄강관광지 오토캠핑장, 연천전곡리유적, 전곡선사박물관, 재인폭포, 포천신북리조트스프링폴온천, 포천허브아일랜드 등이 있다.


홈페이지

https://www.yeoncheon.go.kr/tour/index.do


이용안내

문의 및 안내 : 연청군청 관광과 031-839-2061~2063

주차시설 : 가능


상세정보

촬영장소
MBC 드라마 [왕초] 촬영지

화장실
있음(남녀 구분)

이용가능시설
캠핑장

위치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동막리 동막계곡

세심사(남해)

세심사(남해)

2025-10-23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흥선로 767-28

남해군 창선면에 위치한 세심사는 바다를 배경으로 자리하고 있는 약사여래 방생기도 도량으로서 약사여래본존불과 좌,우 보처이신 일광보살님과 월광보살님 삼존불이 모두 모셔져 있는 국내에서도 보기드문 사찰이다. 세심사의 중심 법당인 대웅전에는 통일신라시대의 불상으로 알려진 금동여래입상이 봉안되어 있다. 이 불상은 약 9세기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세월의 흐름 속에 일부 마모가 진행되었지만 통일신라시대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사찰 안쪽으로 들어서면 용왕각이 자리하고 있다. 세심사는 조용하고 쾌적한 분위기를 자아내기도 하며 스님면담과 함께 기 치료 및 기도를 할 수 있는 사찰이다.

한산사(통영)

한산사(통영)

2025-10-23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봉암2길 77-114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추봉도에 위치한 한산사는 1925년 6월 경 건립되었다. 죽도, 용초도, 장사도, 대덕도, 소덕도, 가와도 등의 섬들과 통영 바다가 어우러진 아름다운 경관을 감상할 수 있으며, 한산사에서 추원마을까지 이어지는 약 2㎞의 오솔길은 사계절 해국, 감국, 털머위 등 야생화가 지천으로 피고 지는 아름다운 길로 유명하다. 오솔길을 따라 걷다 보면 예곡마을 뒷산인 망산으로 이어지는 등산로가 있어 산행도 함께 즐길 수 있다. (출처 : 통영시 공식 블로그)

소라의성

소라의성

2025-10-23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칠십리로214번길 17-17 (동홍동)

소라의성은 서귀포시 동홍동에 있는 건축물로 단순하면서도 곡선의 아름다움이 살아있다. 소정방폭포 인근의 해안 절벽에 지어져 있어 절경을 감상할 수 있는 곳이다. 건축물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소라의 모양을 본떠 만들었고 1969년에 지어졌다. 설계자는 미상이나 학계 등의 다수 의견에 따르면 김중업의 작품으로 추정되고 있다. 현재 서귀포시에서 북카페로 운영하고 있으며 내부에서는 사진 및 그림 기획 전시를 열기도 한다. 카페 한쪽이 통유리로 되어있어 제주 해변을 감상하며 커피를 즐길 수 있다. (출처 : 비짓제주 홈페이지)

신산환해장성

신산환해장성

2025-10-23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환해장성로 201

배를 타고 들어오는 외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제주도에서는 해안선을 따라가며 성을 쌓았는데 이를 환해장성이라 한다. 현재 성벽이 남아있는 곳으로는 온평리, 행원리, 한동리, 동복리, 북촌리, 애월리, 고내리 등 14곳이 있다. 김상헌이 지은 『남사록』에는 환해장성을 일러 ‘탐라의 만리장성’이라 부르고 있다. 그 시초로 조선 시대에 이르러서도 왜구의 잦은 침범을 막기 위해 여러 차례 증축되었다. 현재 남아 있는 신산 환해장성 성벽의 길이는 약 600m이다. 신산환해장성은 성산읍 신산리와 신풍리 경계에 위치한 신산 목장 남쪽 해안에 있다. (출처 : 국가유산청 홈페이지)

온평리 포구

온평리 포구

2025-10-23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환해장성로 513

온평포구에는 현무암으로 쌓아 올려 뱃길을 나간 어부들이 생선 기름들을 이용하여 불을 밝혔다가 안전하게 돌아와 그 불을 끄고는 했던 전통 등대인 ‘도대’가 아직도 보존되고 있다. 현재 제주에는 7개밖에 남지 않은 도대는 어려운 시절 마을 사람들과 함께하고 마지막 불이 꺼진 후 지금까지 한 번도 불을 밝히지 않았다고 한다. 제주올레 2코스의 종착점이자 3코스의 시작점이기도 하다. 포구를 향해 내려오다 보면 제주도의 천연기념물이자 제주의 신화가 있는 혼인지도 있으니 연계 관광에 용이하다. (출처 : 비짓제주 홈페이지)

하동매실거리

하동매실거리

2025-10-20

서울특별시 성동구 용답동

하동매실거리는 2006년 3월 경상남도 하동에서 기증한 매실나무로 조성한 매화 군락지로 많은 매화나무들이 심어진 곳이다. 매화꽃은 벚꽂과 다르게 생겼으며, 자세히 보면 그 차이점을 알 수 있다. 용답역 2번 출구 앞쪽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누구나 이용할 수 있고 3월 초 꽃이 만개하는 시기에 방문하면 매화꽃이 가득 핀 거리의 풍경을 감상하며 가볍게 걸을 수 있다. 또한, 매화꽃 배경과 함께 사진을 찍기에도 좋다. 하동매실거리는 관리가 잘 되어 있으며, 옆쪽에는 청계천이 흐르고 있어 평소에도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고 있다.

한탄강댐

한탄강댐

2025-10-14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현문로508번길 211

국내 최초로 개방되는 한탄강댐에서 물을 테마로한 체험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강문해변화장실

2025-10-14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창해로 344-1 (강문동)

강문해변화장실

강릉통일공원안보전시관

2025-10-14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동면 율곡로 1715-38

​통일공원 안보전시관은 내부 전시시설과 외부 전시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에는 국난극복사, 6.25전쟁, 간첩 침투장비 전시, 이산가족 찾기, 통일 환경의 변화, 영상실, 정보검색코너 등의 전시 시설을 갖추고 있다. 외부 전시장에는 우리 공군의 퇴역 항공기와 대통령 전용기와 전차, 장갑차, 대포 등 각종 전투장비가 전시되어있다. 대통령 전용기는 내부관람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으니 꼭 관람하는 것을 추천한다. 그리고 함정전시관에는 북한 잠수함이 전시되어 있다. 꼭 방문하여 안보의식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고취시켜보길 권해본다.

허균 허난설헌 기념공원 초희전통차체험관

2025-10-14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난설헌로193번길 1-15 (초당동)

안 쪽은 쾌적하고 한옥 만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꾸며있다. 그날 체험할 경우 사전예약이 있다면 해당 시간대에 불편할 수 도 있지만 양해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