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정고운모래해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나정고운모래해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나정고운모래해변

19.8Km    2024-06-04

경상북도 경주시 감포읍 동해안로 1915

넓은 백사장의 잔잔한 모래와 동해의 청정해역, 여유 있는 주변 공간과 인근의 갖은 편의시설이 있고 동해의 바닷물을 이용하여 온천을 즐길 수 있는 해수탕이 있어 새로운 체험을 할 수 있고, 해수탕 옆은 주차 공간과 송림이 개방되어 있다. 또한, 모터보트, 바나나보트 등 수상 레저를 즐길 수 있다. * 백사장 - 길이 0.5㎞, 폭 40∼90m

담박집

담박집

19.8Km    2024-01-11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효자동길10번길 33

담박집은 깔끔한 외관과 내부 인테리어가 돋보이며, 일본 가정식 전문점으로 소문난 맛집이다. 일본에서 배워온 전통 방식 그대로 만들며, 최고의 재료가 아니면 사용하지 않는다. 카츠류는 주문과 동시에 저온튀김과 고온튀김, 지리산 참숯 레스팅 3단계의 조리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다. 하지만 조리과정이 번거롭고 오래 걸리는 만큼 맛은 최고이다.

전촌항

전촌항

19.8Km    2025-03-19

경상북도 경주시 감포읍 전촌리 1245-11

전촌항은 지난 2004년 정부의 어촌관광단지 조성 사업지구로 선정되어 관광어항으로 거듭나기 시작했다. 2009년에는 리모델링 사업을 진행하여 주차장, 광장, 바닥분수, 파고라, 정자, 나무데크산책로, 전망대 등을 갖췄다. 특히, 전촌항 전망대에서 내려다보는 평화로운 항구의 풍경이 인상적이다. 방파제에 야간경관조명도 설치해 밤에도 아름답게 빛난다. 전촌항 입구의 말 조형물, 일명 거마상도 볼거리이다. 전촌항 일대는 말과 관련된 이야기가 많다. 전촌항 인근에 거마장이라는 마을이 있는데, 전촌항 북쪽 산세가 마치 말이 누워 있는 형국이라 하여 거마산이라 칭했다 전한다. 또, 신라 시대에는 왜군의 침임을 막기 위해 병마가 주둔해 있던 곳이라 하여 이 일대를 거마장이라 불렀다는 데에서 전촌항 인근의 거마장 마을 지명이 유래했다. (출처 : 경주시 문화관광)

로보라이프 뮤지엄

19.8Km    2025-03-06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지곡로 39 (지곡동)

로보라이프 뮤지엄은 2008년 개관한 로봇체험전시관으로 한국로봇융합연구원 1층에 자리하고 있다. 지능로봇과의 만남이라는 주제로 편리한 주거생활과 미래의 로봇 환경을 제시하는 공간이다. 현재와 미래의 로봇을 만나고 로봇을 구성하는 다양한 기능의 체험을 할 수 있으며, 전시를 통해 우리 생활 속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로봇을 만나볼 수 있다. 로보라이프 뮤지엄은 지능로봇흥미관, 지능로봇체험관, KIRO홍보관 등 다양한 전시관을 비롯하여 화상강의실, 로봇교육실, 3D프린팅존 등을 갖추고 있다. 주요 전시물로는 24개의 모터를 이용해 움직이는 휴머노이드 댄스 로봇, 양로원과 병원에서 사용되는 심리치료용 로봇인 파로, 물속에서 장애물을 피해 자유롭게 헤엄쳐 움직이는 물고기 로봇 등이 있다. 학생들이 스스로 사고하며 오감을 사용해 느끼고 생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체험 교육의 장일뿐 아니라 온 가족이 여가시간을 함께 보내실 수 있는 유익한 문화공간이다.

경주 감포한옥펜션

경주 감포한옥펜션

19.8Km    2024-11-29

경상북도 경주시 감포읍 감포로10길 40-11
010-7511-2688

편안한 휴식을 선물하는 경주 감포 한옥펜션은 무더운 날, 시원한 바람이 불어오는 대청 마루에서 시간의 여유를 즐길 수 있다.

덕림서원

덕림서원

19.8Km    2024-11-14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읍내길13번길 47

덕림서원은 1740년(영조 16년)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오방우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오방우(1313~1393)는 고려 말기의 문신으로, 고려 충목왕 때 예부시에 급제하고 공민왕 때 오도안렴사를 지낸 해주오씨 장기 입향조이다. 덕림서원은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년)에 훼철되었으며, 그 뒤 복원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경내에 현존하는 건물은 사당인 정헌묘, 강당, 동재, 서재가 있다. 사당에는 오방우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으며, 중앙의 마루와 양쪽 협실로 되어 있는 강당은 원내의 여러 행사와 사림의 회합 및 학문의 토론장소로 사용된다. 신문은 향사 때 제관의 출입문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 서원에서는 매년 봄, 가을에 향사를 지내고 있으며, 제품은 4변(頭) 4두(豆)이다.

포항 장기유배문화제

포항 장기유배문화제

19.9Km    2025-03-26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장기로 452
054-289-7852

포항시 장기면은 조선왕조실록 등에 따르면 장기로 결정된 유배인은 모두 약 150회 200여명으로, 우암 송시열과 다산 정약용 등 유명한 석학들과 중앙정계에서 내로라하던 정객들이 머물면서 학문연구와 문풍이 되살아난 곳이다. 이러한 유배문화의 역사와 가치를 현대적인 콘셉트로 재해석하고 아름다운 경관을 주제로 한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선보여 독보적인 역사문화제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바르벳

바르벳

19.9Km    2024-01-11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효자동길10번길 33-12

바르벳은 경상북도 포항시 효자동에 위치한 베이커리 카페이다. 매일 아침 직접 구워낸 베이커리를 바탕으로 다양한 브런치 메뉴를 제공하고 있으며, 싱글오리진 스페셜티 원두만을 고집하며, 향이 풍부한 드립커피를 전문으로 하고 있다. 효자동 작은 산자락에 숨어 있는 바르벳에서 푸른 자연 풍경과 더불어 맛있는 베이커리와 커피를 즐길 수 있다.

포항 장기 유배문화 체험촌

포항 장기 유배문화 체험촌

19.9Km    2024-12-10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장기로 452

조선왕조실록 등에 따르면 장기로 결정된 유배인은 모두 149회 200여 명에 이른다. 대표적인 인물로 우암 송시열과 다산 정약용이 있으며, 이들의 사상과 문학을 기리고자 유배문화체험촌을 기획하게 되었다. 당시 중앙정계에서 내로라하던 정객들이 머물면서 학문연구와 문풍이 되살아난 대표적인 곳이 장기면인 것이다. 장기면은 장기읍성, 장기향교, 서원 등 역사의 현장이고, 신창 일출암, 소봉대 등 빼어난 자연경관과 관련된 여러 문학작품을 가진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는 고장이다. 이에 더해 장기면은 과거부터 유명한 해돋이의 명소였다. 그 일화로 일출암의 일출은 육당 최남선이 조선 십경 중의 하나로 꼽을 정도로였고, 장기읍성의 일출은 회제 이언적 선생이 「장기동헌」이란 시를 남길 정도로 빼어난 경관을 자랑한다.

외식1번가

외식1번가

19.9Km    2024-01-26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자명로 179-5

외식 1번가는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연일읍 자명리에 있다. 한 번도 송아지를 낳지 않고 사육된 암소를 뜻하는 미경산 한우를 전문적으로 요리해 손님상에 낸다. 육가공 공장 직영 운영으로 명품 한우를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매장과 식당을 운영하고 있다. 대표 메뉴는 차돌 짜박이다. 이 밖에 암소 육회, 육회비빔밥, 옛날 불고기, 된장찌개, 각종 한돈 등을 맛볼 수 있다. 내부에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