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암온천 관광특구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백암온천 관광특구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백암온천 관광특구

백암온천 관광특구

8.2Km    2025-07-21

경상북도 울진군 온정면 온천로 5

울진 백암온천 관광특구는 백두대간의 울창한 산세와 동해바다의 장쾌함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명소 중의 명소다. 신라 때부터 알려진 유서 깊은 온천으로 1979년 경상북도 울진군 온정면 온정리, 소태리 일원이 백암온천관광특구로 지정되었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자료에 따르면 조선시대까지는 지역민이 아픈 곳을 치료하는 용도로 쓰다가,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이 현대식 여관인 평해백암온천관을 지으면서 백암온천이 본격적으로 개발되었다고 한다. 백암온천은 ‘온천에 몸을 담가 병을 고쳤다’라는 얘기가 처음 나온 온천이다. 무색무취한 53℃의 온천수로 온천욕을 즐기기에 적당할 뿐만 아니라 만성 피부병과 천식, 신경통, 호흡기 계통 질병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울진 백암온천마을

울진 백암온천마을

8.3Km    2024-05-17

경상북도 울진군 온정면 온정1길 119

백암온천마을은 백암 온천으로 이름난 백암산 자락 동쪽에 자리 잡은 산골마을로 더운 샘이 있어 온천 또는 온정이라 하였고, 백암산에서 흘러내리는 온정천을 사이에 두고 서쪽이 온정 1리(양지마을) 동쪽이 온정 2리(음지마을)를 지칭하는 곳이다. 전형적인 농촌마을로 지역 특산물을 이용한 체험과 숙박이 가능한 농촌체험마을로, 자연 속에서 온천욕을 즐기며 전통적인 먹거리와 문화를 체험하고 잠시 쉬어갈 수 있는 마을이다. 마을 주요 시설로는 참숯가마를 리모델링한 자연친화적인 황토체험방과 야외수영장, 바비큐 시설, 연못, 팔각정, 식당, 회의장 등이 있다. 체험 프로그램으로는 마을에서 농사지은 블루베리로 피자와 칼국수, 쿠키를 만드는 체험이 준비되어 있다.

백암온천마을 영농조합법인 야영장

백암온천마을 영농조합법인 야영장

8.4Km    2024-06-25

경상북도 울진군 온정면 온정리

백암온천마을 영농조합법인 야영장은 경북 울진군 온정면 온정리에 자리 잡았다. 울진군청을 기점으로 50km가량 떨어졌다. 자동차를 타고 백암온천로와 온정로를 번갈아 달리면 닿는다. 도착까지 걸리는 시간은 40분 안팎이다. 캠핑장에는 카라반 3대가 마련돼 있다. 내부에는 침대, 냉난방기, 개수대, 화장실, 샤워실 등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의 시설이 완비돼 있다. 부대시설로는 식당, 야외무대, 회의실, 숙박시설 등이 있다. 주변에는 후포항과 후포해변이 있어 연계 여행에 나서기 수월하다. ※ 반려동물 동반 불가

향암미술관

향암미술관

9.2Km    2024-05-03

경상북도 울진군 온정면 백암온천로 1388

향암미술관은 울진군에서 유일한 전문 화랑으로, 1999년 동양화가 주수일이 한국 미술 발전을 위해 사재를 들여 설립한 미술관이다. 미술관은 백암온천이 내려다보이는 전망 좋은 산중 턱 길가에 자리하고 있다. 향암미술관은 2개 건물에 3개의 전시실을 갖추고 있으며, 마당은 조각 공원으로 꾸며져 있다. 제1전시실에는 주수일의 개인 작품이 전시되어 있고, 제2전시실은 운보 김기창, 이당 김은호 등 국내 유명 원로 화가들의 작품이 있다. 제3전시실에는 젊은 국내 화가들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또한 수석관에는 관장이 직접 수집한 수석과 화석 300점이 전시되어 있다. 소장 작품은 조선 중기 작품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약 3000여 점이 있으며 6개월마다 부분 교체하여 전시한다.

반딧불이 천문대

반딧불이 천문대

10.7Km    2025-06-24

경상북도 영양군 수비면 반딧불이로 129

영양군이 운영하는 영양반딧불이천문대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시민천문대이다. 반딧불이생태체험마을 특구 내에 위치한 영양반딧불이천문대는 여름철 밤하늘의 별과 함께 자연에 서식하고 있는 반딧불이를 동시에 관찰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천체관측장소이다. 주간에는 태양망원경을 이용하여 흑점과 홍염을 관측할 수 있으며 야간에는 행성, 성운, 성단, 은하, 달 관측이 가능하다. (출처 : 영양군 생태공원사업소)

영양향교

11.4Km    2024-11-18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향교길 28-6

1679년(숙종 5) 영양 지방민의 교육을 위해 만들어진 현유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된 조선시대 지방 교육 기관이다. 1701년에 현감 한세기와 유림 조시상·조덕수 등이 협력하여 육영루를 신축하였고 그 뒤 1925년 육영루를 철거하고 문랑을 신축하였으며, 1932년에 동무·서무를 철거하고 동재·서재도 몇 년 뒤 철거되었다. 1974년에 명륜당을 보수하였는데, 명륜당의 현판은 고려 말의 명필인 한수가 쓴 것이다. 매년 공자를 비롯한 성현에게 제사를 지내는 의식인 중요문화제 58호인 '석전대제'와 조선시대부터 내려오는 '기로연'을 진행하여 어른을 공경하는 유교전통문화를 계승하고 있다. 영양군청에서는 향교의 명맥을 유지, 홍보하고자 향교, 서원 활용사업 프로그램으로 해마다 시민 대상 체험 프로그램과 강좌, 음악회 등을 진행한다.

영양 국제밤하늘보호공원

11.6Km    2025-03-17

경상북도 영양군 수비면 반딧불이로 227

국제밤하늘협회(IDA)는 지역인경상북도 영양군 수비면 수하리 및 수하반딧불이생태마을 특구 일대를 2015년 아시아에서는 최초로 국제밤하늘보호공원으로 지정했다. 국제밤하늘협회(IDA) 밤하늘 질 측정기 등급기준으로 하늘 밝기 측정값이 평균 21.37mag/arcsec²(특정면적당 밝기 단위, 범위 21.74~21.00)로 탁월하고 밤하늘 투명도가 세계적으로 뛰어나 은하수, 유성 등 전반적으로 하늘에서 발생하는 현상의 육안관측이 가능한 지역으로 육지에서는 가장 밝게 볼 수 있는 은밤(Silver급) 등급을 받았다.

새봄식당

새봄식당

12.6Km    2024-01-19

경상북도 영양군 영양로 2239-4 새봄식당

새봄식당은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곡강리에 있다. 오전 8시에 문을 열어 든든한 아침식사를 할 수 있다. 대표 메뉴는 영양에서 재배한 콩으로 담근 된장으로 맛을 낸 우렁 쌈밥이다. 이 밖에 새봄백반정식, 등갈비찜, 산채비빔밥, 한우불고기전골 등을 맛볼 수 있고, 도시락도 판매한다. 좌식과 입식으로 자리를 선택할 수 있고 밑반찬이 푸짐하고 맛있다. 정원 곳곳에 포토존을 꾸며 놓았다 자동차로 동청송. 영양 IC에서 30분가량 걸리며, 인근에 흥림산자연휴양림이 있다.

창수전시림

창수전시림

12.7Km    2025-01-20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창수4길

치산녹화 1차 계획에 당시 조림권장 수종(가래나무 외 13수종)을 영해~영양 간 918도로변(창수령) 일대에 구역 면적 433㏊ 중 170㏊를 시범 조림(1975~1981) 하여 일대 임지를 기술적으로 더욱 알차게 보육 관리하고 각종 사업지에 안내판을 설치하여 국유림 경영 시범과 대국민 홍보를 위한 종합적인 전시림 교육장을 목적으로 조성하였다. 가래나무, 소나무, 리기테다, 잣나무, 아까시나무 등 총 14개 수종이 조림되어 있으며, 하늘 높이 뻗은 웅장한 나무들은 지나는 이들에게 인사를 할 듯이 일렬로 줄을 서 있다. 이곳을 지나면서 자연의 선물, 피톤치드가 발생되어 심신의 안정을 주는 산림욕을 즐길 수 있다. 또한 낯선 나무들의 이름들을 안내판을 보며 생소한 나무의 이름을 하나하나 알아가는 재미와 숲에 관한 설명도 들으며 필요한 장비를 대여해 숲을 직접 가꾸어 보는 체험의 기회도 가져볼 수 있다. 창수령의 도로변 공한지에는 봄을 더욱 느끼게 하는 각종 야생화와 꽃들이 지나는 이들의 눈길을 사로잡아 발길을 유혹하고 있다. 뒤로는 창수령 고개의 깎아지른 경사지에 나무들이 병풍처럼 줄을 서 있으며 앞으로는 야생화와 꽃들이 활짝 피어 오고 가는 이들에게 멋진 추억의 사진을 남길 것이다.

흥림산자연휴양림 (영양에코둥지)

흥림산자연휴양림 (영양에코둥지)

13.0Km    2024-11-08

경상북도 영양군 재일로 2394-70 홍림산자연휴향림

풍림산에 위치한 영양에코둥지는 주민의 정서함양, 휴양 및 산림교육과 지친 도시민들의 치유의 공간 제공을 위하여 영양에코둥지와 영양 목재문화체험장으로 조성된 종합 산림휴양타운이다. 5인, 6인, 8인 ,10인의 다양한 숙박시설이 있고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예약이 가능하다. 주요시설로는 산림문화휴양관, 테라스하우스 등 기본적인 휴양시설이 있다. 레포츠시설로는 짚코스터, 네트어드벤처가 있다. 목재문화체험관 및 전시장, 야외 목재체험 시설이 들어서 있어 대자연 속에서 자연의 소중함을 배우는 살아있는 교육의 장으로도 활용된다. 멀지 않은 곳에 청록파시인 조지훈의 고향 마을이자 문학의 꿈을 키우던 주실마을이 있어 자연과 더불어 문학과 전통의 향기도 더불어 느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