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색창연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고색창연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고색창연

10.6 Km    0     2023-10-17

경상북도 경주시 보불로 58-4

고색창연은 경북 경주시 마동에 자리 잡고 있다. 대표 메뉴는 한우 떡갈비를 비롯해 된장찌개, 김치전, 두부김치 등 여러 가지 먹거리가 나오는 한우 떡갈비 정식이다. 이 밖에 돼지 떡갈비 정식, 반반 떡갈비 정식, 한우 떡갈비 돌솥밥, 돼지 떡갈비 돌솥밥, 반반 떡갈비 돌솥밥 등도 판다. 음식점은 남경주 IC와 가깝고, 주변에 세계문화유산 석굴암, 블루원디아너스 CC가 있다.

천년 전 신라인들을 만나다

천년 전 신라인들을 만나다

1.1 Km    1759     2023-08-11

경주는 신라시대와 현대가 공존하는 공간이다. 경주 시내 곳곳에 봉긋 솟아 있는 수많은 고분은 신라인들의 삶을 추정할 수 있는 유물이 다수 발굴된 신라시대 문화유산의 보고이다. 대릉원과 봉황대 등 고즈넉한 고분들 사이를 산책하듯 거닐다 보면 천년 전 신라인들이 말을 걸어오는 듯하다.

두부마을

두부마을

10.6 Km    2     2023-12-05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로 168-3

두부마을은 경북 경주시 마동에 있다. MBC 시사 교양 프로그램 <생방송 오늘 저녁>에 출연한 바 있다.
대표 메뉴는 특송이얼큰순두부 정식이다. 이 밖에 얼큰순두부 정식, 들깨순두부 정식, 흰색순두부 정식, 청국장 정식, 촌두부버섯전골 정식, 한방보쌈 정식, 두부스테이크, 해물파전을 판다.

경주 재매정

1.1 Km    19216     2023-11-17

경상북도 경주시 재매정길 47

경주 흥륜사터와 월성터의 중간에 있는 재매정은 신라의 명장 김유신의 신라의 김유신 장군 집터에 있던 우물이다. 화강암을 벽돌처럼 쌓아 올려 만들었는데, 이 일대가 김유신 장군의 집이 있었던 자리로 추정된다. 김유신 장군이 오랜 기간을 전쟁터에서 보내고 돌아오다가 다시 전쟁터로 떠날 때, 자기 집 앞을 지나면서 가족들을 보지도 않고 우물물을 떠오게 하여 말 위에서 마시고는, 우리집 물맛은 옛날 그대로구나 하고 떠났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1993년 발굴조사에서 재매정을 중심으로 사방 70m 지역을 발굴하였다. 우물의 깊이는 5.7m이며, 가장 넓은 부분은 1.8m이고, 바닥의 지름이 1.2m로 벽돌같이 다듬은 돌로 만들었다. 우물 옆에 비각이 있고 그 안에 조선 고종 9년(1872)에 이만운이 쓴 비석이 있다.

신라문화제

신라문화제

1.1 Km    17286     2024-02-06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054-777-5953~4

신라문화제는 1962년 제1회를 시작으로 올해까지 제50회를 맞이하였다.
2023 제50회 신라문화제는 신라의 태동을 알리는 화려한 퍼포먼스가 펼쳐질 화백제전부터, 수많은 아티스트들의 화려한 공연이 연이어 펼쳐지는 거리예술축제, 실크로드 페스타 등 시민들과 관광객의 오감을 사로잡는 프로그램이 축제 기간 경주에서 선보인다.

구토란펜션[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구토란펜션[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10.7 Km    748     2023-09-05

경상북도 경주시 귀계길 17-25
010-3520-9576

경주 구토란펜션은 도자기 공예작가가 정성을 다해 손수 흙으로 지은 한옥 정원이다. 다섯 채 한옥에는 주인이 도자기와 기와장을 이용해 손수 그린 그림이 있다. 여름철에는 펜션 앞 작은 연못에서 화사한 연꽃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펜션 단지 위에 있는 작은 공방 ‘구토란요’에서는 체험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장독대

장독대

10.7 Km    17014     2023-07-27

경상북도 경주시 정자3길 6-11
054-777-5557

장독대는 경주시 마동에 있는 청국장 전문 음식점이다. 국산 콩으로 정성스럽게 만든 청국장은 구수하고 깊은 맛이 난다. 청국장을 주재료로 한 청국장 정식 이외에 순두부 정식, 장어 정식 등 다양한 메뉴를 제공한다.

경주밀면 본점

경주밀면 본점

10.8 Km    6     2024-01-22

경상북도 경주시 시래둑길 7 한림원

밀면은 6.25 전쟁 당시 부산으로 피난온 이북 피난민들에 의해 만들어진 음식이다. 경주밀면 본점은 그 밀면 기술을 전수받아 전통적인 방법으로 밀면 본연의 맛을 그대로 구현하였다. 한우뼈와 한약재, 갖은 야채를 넣어 24시간 직접 고아낸 육수에 주문 즉시 직접 반죽하여 면을 뽑아낸다. 이곳은 밀면을 주문하면 참숯에 구운 석쇠불고기가 같이 나오는 게 특징이다. 양념장을 올린 비빔밀면과 손만두, 석쇠불고기한판 메뉴도 있다.

경주 석빙고

1.1 Km    34168     2023-11-16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석빙고는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월성북쪽에 축조한 조선시대의 화강석제 얼음창고로 겨울에 얼음을 채취하여 저장하였다가 여름에 사용하였다. 석비와 입구 이맛돌에 의하면, 조선 영조 14년(1738) 당시 조명겸이 나무로 된 빙고를 돌로 축조하였다는 것과, 4년 뒤에 서쪽에서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는 내용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이 때의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규모나 기법면에서 뛰어난 걸작으로 평가되고 있다. 얼음은 왕실의 제사에 쓰이거나, 왕실과 고급 관리들의 음식이나 고기 등의 저장, 의료용 또는 식용으로 사용했다. 워낙 얼음이 귀했기 때문에 경국대전에 엄격히 규정할 만큼 얼음 배급은 중요한 국가 행사였다. 이 석빙고는 입구가 월성 안쪽으로 나 있으며, 계단을 통해 내부로 들어가면 성의 경사를 따라 안이 깊어지며, 내부는 길이 12.27m, 폭 5.76m, 높이 5.21m 규모로 모두 가공된 석재로 되어 있고, 천장에 1~2m의 간격의 4~5개의 홍예라 부르는 아치를 만들고 그 사이가 움푹 들어간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사이에 더운 공기가 갇히고 위쪽의 환기 구멍을 통해 빠져 나가게 된다. 빗물을 막기 위해 봉토를 조성할 때 진흙과 석회로 방수층을 만들었고, 얼음과 벽 및 천장 틈 사이에는 왕겨, 밀짚, 톱밥 등의 단열재를 채워 외부 열기를 차단했다. 빙고의 바닥은 흙으로 다지고 그 위에 넓은 돌을 깔아 놓았고, 바닥을 경사지게 만들어 얼음이 녹아서 생긴 물이 자연적으로 배수되도록 했다. 빙고 외부의 봉토에는 잔디를 심어 태양 복사열로 인한 열 손실을 막고, 외곽으로는 담장을 설치하여 외기를 차단했다. 그리고 2~3곳의 환기구를 만들어 외부 공기와 통할 수 있게 하였는데 봉토 바깥까지 구조물이 나오게 하고 그 위에 덮개돌을 얹어 빗물이나 직사광선이 들어가지 못하게끔 만들었다.

유수정

유수정

10.8 Km    21905     2023-12-27

경상북도 경주시 보불로 26
054-771-0786

경주를 대표하는 음식 중 하나가 쌈밥. 이 같은 쌈밥맛을 제대로 느낄 수 있는 불국사 주변의 맛집이 바로 유수정이다. 코오롱호텔 구 삼거리에 보불로 주유소가 있고, 주유소 뒤쪽에 유수정이 아담하게 자리 잡고 있다. 일반 가정집을 개조해 입구부터가 소박하고 편해 보인다. 입구를 들어서면 마당을 중심으로 ㅁ 자형으로 방들이 빙 둘러 배치돼 있다. 마당은 간이 식탁을 놓아 식사 후 차 한잔을 할 수 있는 여유공간으로 활용된다. 쌈밥에 따라 나오는 밑반찬만도 생선과 고기, 된장찌개, 마늘무침 등 20여 가지. 쌈도 신선야채와 삶은 야채가 따로 나온다. 주로 타지방의 관광객들이 찾는 탓에 경상도 지방 특유의 맵고 짠맛을 줄이고 담백하면서도 개운한 뒷맛을 살렸다는 게 음식을 즐기고 난 사람들의 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