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불국사 [유네스코 세계유산]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경주 불국사 [유네스코 세계유산]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경주 불국사 [유네스코 세계유산]

경주 불국사 [유네스코 세계유산]

11.3 Km    119881     2024-04-04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로 385

『구름을 마시고 토한다』는 토함산(745m)의 중턱에 자리하고 있는 불국사와 석굴암은 찬란한 신라 불교문화의 핵심으로 신라 법흥왕 15년에 그 어머니 뜻에 따라 나라의 안정과 백성의 평안을 위하여 세워졌으며, 그 후 신라 경덕왕 10년(751) 때 재상 김대성이 다시 지어 절의 면모를 새롭게 하였다. 그 뒤 임진왜란으로 건물은 물론 값진 보물들이 거의 불에 타거나 약탈되었다. 1920년 이전에는 일부 건물과 탑만이 퇴락한 채 남아 있었으나, 지속적인 원형복구 및 보수로 국보 7점을 간직한 오늘날 대사찰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불국사에서 산등성이를 타고 약 3km (포장도로 석굴로는 9km) 정도 올라가면 동양 제일의 걸작으로 알려진 여래좌상의 본존불이 동해를 마주 바라보고 있는 유명한 석굴암이 있다. 불국사. 석굴암은 1995년 12월 6일 해인사 장경판전과 종묘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공식 등재되어 국제적으로 더욱 유명해졌다.

경주 최고의 문화유산을 만나다

경주 최고의 문화유산을 만나다

11.4 Km    18904     2023-08-10

경주 토함산 자락의 불국사와 석굴암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화유산 중 하나라는 사실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기도 한 불국사와 석굴암은 경주에서 꼭 둘러봐야 하는 필수 답사 코스로 신라시대 불교문화의 정수를 만날 수 있는 곳이다. 석굴암 너머 장항리사지에서는 통일신라시대 걸작으로 평가받는 오층석탑을 만날 수 있다.

경주애견펜션 노비오스

경주애견펜션 노비오스

11.5 Km    20140     2024-04-17

경상북도 경주시 진티길 37-4
010-4595-4623

아이를 품듯 토함산이 따뜻하게 품고 있는 노비오스는 푸름 속에서 애견과 견주가 함께 할 수 있는 유럽풍 목조 펜션이다. 포인트 컬러로 예쁘게 꾸며진 객실은 저마다 개성 있는 테마를 통해 이용자의 취향을 반영 하였으며 여유로운 정원과 정원 한편에 마련된 애견 수영장을 통하여 애견과 견주 모두에게 힐링의 시간을 제공한다. 이 외에도 이용자의 편의를 위해 궂은 날씨에도 이용할 수 있는 실내 바비큐장, 애견을 위한 드라이룸,객실 외 휴게 공간인 셀프 카페가 갖춰져있다. 불국사, 석굴암, 경주월드, 캘리포니아비치, 세계 문화엑스포, 보문호수, 신라밀레니엄파크, 블루원과 가까운 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이 중 불국사, 석굴암은 도보로 이동 할 수 있는 거리에 있다. 또한 경주와 감포(감포항)를 잇는 국도 4호선이 이용하기 편리한 위치에 있어 바다와 함께 하는 또 다른 경주를 즐기기에도 적합하다.

무장산

무장산

11.5 Km    1     2023-12-19

경상북도 경주시 덕동길 665

문무왕이 삼국통일을 완성하고 병기와 투구를 묻었다고 전하는 산이 있다. 함월산과 토함산을 이웃으로 두고 있는 동대봉산, 무장봉이라 부르는 산이다. 보문관광단지에서 자동차로 15분가량 가면 무장산 등반로 초입인 암곡마을에 닿는다. 미나리가 유명한 농촌 마을인 이곳은 가을철이면 등산객들로 인산인해를 이룬다. 무장산 정상부의 넓은 초원에 조성된 억새군락을 보기 위한 인파다. 이 일대는 1980년대까지 목장이 있던 곳인데, 목장이 문을 닫으면서 유휴지가 된 자리에 억새가 자생하면서 군락을 이루게 되었다. 아름다운 풍광이 입소문을 타면서 드라마 ‘선덕여왕’과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 등의 배경이 되기도 하여 이름을 더욱더 알리게 됐다. ※ 본 저작물은 경주시에서 2021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포토존이 있는 산(작성자:경주시)’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경주시 홈페이지(http://www.gyeongju.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경주향교

1.2 Km    19894     2024-06-11

경상북도 경주시 교촌안길 27-20 (교동)

경주향교는 경주교촌한옥마을과 경주최부자댁 인근에 자리하고 있다. 이 일대가 교촌, 교리, 교동이라 불리는 이유가 바로 이 향교 때문이다. 이 자리는 천년의 배움터로, 신라 신문왕 2년(682) 처음 세워진 국학이 있던 곳이다. 경주향교가 처음 지어진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조선 성종 23년(1492)에 서울의 성균관을 본떠 고쳐지었다고 한다. 임진왜란 때에 불타 없어진 것을 선조 33년(1600)에 대성전과 전사청을, 선조 37년(1604)에 동무와 서무를 짓고 광해군 6년(1614)에 명륜당과 동재·서재를 재건해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건물은 전형적인 전묘후학의 배치구조를 보이고 있다. 서원이 사립학교라면 향교는 공립학교에 해당되어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전답과 노비·전적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현재는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매년 봄, 가을 전통적 유교제례의식인 석전대제를 봉행하고 있다. 또 경주향교에서는 국궁, 떡메치기, 다도 등의 전통문화체험과 매년 4월부터 10월까지 명륜당에서 전통혼례를 무료로 체험하는 시연혼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동리목월문학관

동리목월문학관

11.6 Km    1     2023-11-07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로 406-3 동리목월문학관

동리목월문학관은 경주 지역 출신인 김동리 소설가와 박목월 시인을 기리기 위해 2006년 설립된 문학관이다. 문학사에 굵은 족적을 남긴 소설가 김동리와 시인 박목월의 문학적 위업을 기리기 위해 토함산 자락에 건립되었다. 동리목월 문예창작대학 운영과 동리목월 문학상 제정·운영, 문학 심포지엄, 시 낭송의 밤 행사, 전국 백일장, 동리목월 가족백일장, 문학심포지엄 등 두 선생의 뜻을 따라 문학 교육사업과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박물관 2층에는 동리 문학관과 목월 문학관이 있으며 두 문인의 집필 흔적을 볼 수 있도록 서재를 재현하였다. 이 곳에서 집필도구와 각종 문서, 출판 도서물을 볼 수 있으며 어린이 관객의 쉬운 이해를 위해 소설 내용을 제작한 영상물과 육성으로 녹음 된 시낭송도 들을 수 있다. 경주의 대표적인 문인을 기억하고 한국 문학을 세계에 알리며, 창작과 실험적 문화의 장을 만들어 새로운 문화 인재를 육성하고 발굴하는 곳이다.

경주 캠핑573

경주 캠핑573

11.8 Km    0     2024-06-28

경상북도 경주시 새안현로 507-19

경주캠핑리조트(경주 캠핑573)는 경북 경주시 현곡면 래태리에 자리 잡았다. 경주시청을 기점으로 10km가량 떨어졌다. 자동차를 타고 용담로와 새안현로를 번갈아 달리면 닿는다. 도착까지 걸리는 시간은 20분 안팎이다. 캠핑장에는 글램핑 6개 동과 강자갈로 이뤄진 오토캠핑 사이트 6면이 마련돼 있다. 글램핑 내부에는 침대, TV, 테이블, 개수대, 취사도구, 조리도구 등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의 시설이 완비돼 있다. 오전 11시 30분 부터 오후 2시 30분, 오후 5시 30분부터 오후 8시 30분까지 캠핑 체험 사이트도 운영한다. 작은 도서관, 카페, 포토존 스튜디오 등 부대시설도 알차다. 주변에는 보문관광단지가 있어 연계 여행에 나서기 좋다. ※ 반려동물 동반 불가

단석산

11.9 Km    34986     2023-10-31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삼국통일의 공신인 김유신(金庾信)은 595년(진평왕 17년) 충북 진천에서 만노군(萬弩郡)의 태수이던 서현(敍玄) 장군의 첫째 아들로 태어났다. 김수로왕의 13대손인 김유신은 15세에 화랑이 되어 17세에 고구려, 백제의 잦은 침략에 삼국 통일의 큰 뜻을 품고 서라벌 서쪽산에 있는 석굴에 들어가 목욕재계 하고 천지신명에게 고구려, 백제, 말갈을 물리칠 수 있는 힘을 달라고 기도하자, 4일 만에 한 노인이 나타나 김유신의 인내와 정성을 가상히 여겨 비법이 담긴 책과 신검(神劍)을 주었다고 삼국 사지, 동국여지승람, 동경잡기에 소개되어 있다. 김유신은 이 신검으로 고구려, 백제와 싸울 때마다 승리를 거두었다고 하며, 당시의 화랑들이 수도하던 산에서 김유신은 이 칼로 무술연마를 하면서 바위들을 베었다고 하여, 이름이 단석산(斷石山)이 되었다. 이 산은 건천읍 송선리 산 89번지 우중골에 있으며, 산 7∼8부 능선 4개의 바위가 둘러싸인 천연굴이 있는데 옛날에는 상인암(上人巖:일명탱바위)라고 불리었다고 한다. 화랑들은 이 바위굴 속에 불상을 새기고 그 위에 지붕을 덮어 석굴사원을 만들었다. 이 절을 신선사(神仙寺) 또는 단석사(斷石寺)라고 부른다. 내부의 마애불상은 국보로 지정되었다. 단석산은 경주에서 가장 높은 산(827m)으로 백제에 대한 신라의 국방의 요충지였다. 이 지역은 진달래군락지로 봄철 산악애호가들의 사랑을 받고 있으며, 인근 조래봉(657m)과 더불어 등산코스로 각광을 받고 있다.

협동숯불

11.9 Km    8     2023-02-03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 계명로 120
052-262-7294

울산 울주군 두동면에 위치한 협동숯불은 최상급 한우만을 고집하는 한우 숯불구이 전문점이다.

종점식당

11.9 Km    4     2023-12-14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 계명로 120
052-262-7279

울산 울주군에 위치한 종점숯불식당은 한우 불고기 단지에 위치한 고기 전문점이다. 도축한 한우 암소를 두툼하게 썰어 소금으로 간을 해 숯불에 굽는 소금구이가 대표메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