윗골공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윗골공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윗골공원

윗골공원

16.5Km    2024-07-03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정관8로 11

정관 윗골공원은 물놀이장으로 유명한 도심 속 공원이다. 물놀이장에는 워터 슬라이드와 워터드롭이 있어서 아이들이 즐겁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고, 수심이 낮아서 유아들도 놀기 좋고, 미끄럼틀과 다양한 형태의 분수가 있어서 재미있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공원이다. 윗골공원은 30개 정도의 평상과 파라솔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음식은 먹을 수 있고, 취사는 불가능하다. 물놀이장 편의시설은 샤워장, 탈의실, 의무실, 화장실이 있고, 관리인도 상주하고 있어 안전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무료 야외 물놀이장이다. 정관 윗골공원에는 물놀이장 외에도 어린이 놀이터와 정관 어린이 도서관이 있어서 어린이가 하루 종일 알차게 보낼 수 있는 공원이다.

백양산 웰빙숲

16.5Km    2025-03-06

부산광역시 사상구 모라동 산110-1

부산 북구 백양산에 위치한 백양산 웰빙숲은 운수천 주변 환경을 개선하여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재탄생된 곳으로, 자연과 사람이 공존하는 곳이다. 편백림 태교 명상숲, 숲 속 테마 놀이터, 데크 쉼터, 계곡 전망대, 운수천 체험숲길, 가족이야기 숲 등 다양한 시설은 지친 몸과 마음을 휴식하기에 좋다. 피톤치드를 느끼며 데크길을 따라 산책하기에도 좋으며, 숲 속 테마 놀이터에서 아이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기에도 좋은 휴식 공간이다.

커피트웰브 중앙동12시

16.5Km    2025-01-08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로135번길 13-1

커피트웰브 중앙동12시는 다양한 산지별 원두를 직접 로스팅하여 커피를 내리는 아늑한 다락방 카페이다. 카페 내부는 아담하고 작은 갤러리 같은 느낌으로 꾸며져 있다. 40계단의 사진들과 고양이 사진들이 벽면과 카페 내부에 가득하다. 조용하고 아늑한 분위기로 커피 한잔 하며 책 읽기에 좋은 카페이다. 6성급 다락방이라는 다락방 공간은 아기자기하게 꾸며져 있어 비밀공간 같은 느낌을 준다.

아레아식스(AREA6)

아레아식스(AREA6)

16.5Km    2025-03-25

부산광역시 영도구 태종로105번길 37-3 (봉래동2가)

부산 영도의 로컬 문화를 만들어 나가는 아레아식스(AREA6)는 다양한 아티장이 모여 있는 공간이다. ‘아티장’이란 프랑스어로 ‘장인, 즉 손재주가 뛰어난 사람’을 의미한다. 총 3층의 건물로, 1층에는 F&B브랜드부터 편집샵과 안내센터가 총 9개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층에는 공유오피스와 라운지가, 3층에는 루프탑과 세미나실이 있다. 낡은 건축물을 감각적으로 재활용한 외관과 인테리어도 눈길을 끌지만, 개성 넘치는 공간을 구경하는 재미도 쏠쏠하다. 관광객들에게는 다른 곳에서 만나기 어려운 기념품을 살 수 있는 공간으로도 인기가 있다. 다양한 이야기를 담은 브랜드와 행사가 이루어지는 아레아식스(AREA6)가 궁금하다면 방문해 보는 것을 추천한다.

산복도로

산복도로

16.5Km    2024-08-06

부산광역시 중구

산복(山腹)은 산허리를 뜻하며, 산복도로는 경사지를 개발하면서 맨 위쪽에 자리한 도로다. 1964년 10월 산동네를 연결하는 첫 산복도로가 열렸으며, 중구 대청동 메리놀병원 앞에서 동구 초량동 입구까지 1820m 구간에 걸친 산복도로가 부산 곳곳에 만들어졌다. 이러한 산복도로는 산비탈에 숨은 이야기와 아름다운 경치를 볼 수 있다. 산 중턱을 따라 구불구불 이어지는 도로를 따라 부산의 바다와 구도심이 한눈에 들어온다. 특히 도로변에 위치한 집들은 옥상이 주차장이자 전망대가 돼 관광객들의 눈길을 사로잡는다. 밤에는 부산항대교의 화려한 야경이 더해져 최고의 야경 명소로 변신한다. 망양로를 따라 산꼭대기까지 이어지는 집들이 저마다의 불빛을 내뿜으며 이국적인 분위기를 물씬 풍긴다.

명송초밥

명송초밥

16.5Km    2024-12-12

부산광역시 중구 해관로 32
051-246-1225

명송초밥은 용두산공원 인근에서 초밥을 전문으로 영업하는 일식당이다. 모둠 초밥이 인기 메뉴이지만 장어와 연어, 광어, 새우, 문어, 날치알, 계란말이 등 다양한 초밥도 맛볼 수 있다. 즉석에서 떠주는 활어회와 얼큰한 매운탕도 준비되어 있다. 모임이나 대화를 나누기 좋은 장소이며, 대접하기 좋은 코스요리를 찾는다면 안성맞춤인 식당이다.

범어사 성보박물관

범어사 성보박물관

16.5Km    2025-03-04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

범어사 성보박물관은 2003년 개관하였으며 범어사 및 범어사 말사의 불교문화재를 보관, 전시, 연구하는 불교문화재 전문 박물관이다. 범어사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구 청룡동) 금정산 동쪽 기슭에 위치한 사찰로 대한불교 조계종 제14교구 본사이다. 합천 해인사, 양산 통도사와 더불어 영남의 3대 사찰로 불리며, 2012년 11월 사부대중의 수행정진과 화합을 바탕으로 지유대종사를 초대 방장으로 모시고 총림으로 지정되었다. 본 박물관은 범어사의 오랜 역사와 사회적 역할을 증명하듯 유물 종류와 양 또한 적지 않으며, 특히 그중에서도 다양한 전적들과 책판 및 불교회화가 주를 이루고 있다.

범어사(부산)

16.5Km    2024-05-10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

범어사는 부산광역시 금정산 동쪽 기슭에 위치한 사찰로 대한불교 조계종 제14교구 본사이다. 합천 해인사, 양산 통도사와 더불어 영남의 3대 사찰로 불린다. 2012년 11월 사부대중의 수행정진과 화합을 바탕으로 지유대종사를 초대 방장으로 모시고 총림으로 지정되었다. 신라 문무왕 18년(678년), 의상대사가 해동의 화엄십찰 중 하나로 창건하였다. 국보 [삼국유사]를 소장하고 있으며, 가장 오래된 판본 중 하나로 권4의 5편에 들어 있는 [의상전교]에는 의상대사가 열 곳의 절에 교를 전하게 해 화엄십찰을 창건하는 내용이 나오고, 이 가운데 [금정지범어] 즉, 금정산 범어사가 들어 있음이 언급되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금빛 나는 물고기가 하늘에서 내려와 우물에서 놀았다고 해서 산 이름이 금정산이고 그곳에 사찰을 지어 범어사를 건립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화엄경의 이상향인 맑고 청정하여 서로 돕고 이해하고 행복이 충만한 아름다운 삶을 지상에 실현하고자 설립된 사찰로 범어사에는 역사적으로 많은 고승대덕을 길러내고 선승을 배출한 수행사찰로 오랜 전통과 많은 문화재가 있는 곳이다. 의상대사를 비롯해 원효대사, 만해 한용운선사 등 고승들이 수행 정진하여 명실상부한 한국의 명찰로서 그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1950년대 동산스님이 불교정화운동을 주도하였고, 이후 한국근대불교를 이끌었으며, 총림지정 이후 조사스님들의 뜻을 받들어 수행공간을 지속적으로 확충하였다. 2019년 범어사의 오랜 숙원사업인 선문화교육관과 2021년 전국 사찰 최대 규모의 범어사 성보박물관의 대작불사를 완료하였다.

성일집

16.5Km    2024-09-13

부산광역시 중구 대교로 103
051-463-5888

60여 년 전통의 제대로 된 곰장어 구이를 파는 집이다. 갓 잡은 곰장어에 야채와 양념을 넣고 철판에 볶는 평범한 방식이지만 60여 년 전통의 비법 양념 덕분에 특별한 맛이 난다. 매운맛과 단맛 어느 하나에 치우치지 않는 감칠맛 나는 양념은 주인이 직접 만들고 있다.

금강암(부산)

16.5Km    2024-10-24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4

범어사(梵魚寺) 산내암자인 금강암(金剛庵)은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 수 없으나, 기록에 의하면 1803년(순조 3) 범어사 대성암과 함께 취규 대사에 의해 중창되었다고 한다. 1899년 승려 오성월이 범어사 금강암에 처음으로 선원을 개설하였다는 기록이 남아 있어 당시 금강암이 선풍을 일으키는 시발점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1800년대에 제작되어 현재 남아 있는 중수기문들 중에서 금강암의 사명이 발견되어 범어사 금강암의 중창 시기를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1980년대 벽파가 범어사 금강암에 주지로 주석하면서부터 범어사의 산내 작은 암자에 불과하던 금강암이 점차 명성을 떨치며 사세를 확장하기 시작하였으며, 1984년부터 1991년까지 약 7년간 벽파의 상좌인 정여가 중창 불사를 주도하면서 범어사 금강암은 지금의 가람을 갖추게 되었다. 범어사 금강암의 특징인 한글로 된 편액과 주련도 이때 걸리게 되었다. 금강암은 범어사 왼쪽의 금정산 북문 방향으로 가다 보면, 범어사 대성암이 나오고 대성암을 지나 바위로 된 계곡을 따라 올라가면 범어사 팔경 중 한 곳인 [금강만풍]으로 잘 알려진 금강암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