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년가게]창녕집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백년가게]창녕집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백년가게]창녕집

[백년가게]창녕집

10.3 Km    2     2024-05-28

부산광역시 금정구 산성로 520
051-517-5288

<중소벤처기업부 2019년도 '백년가게'로 선정> 산성 막걸리를 맛보기 위해 찾은 학생들과 행락객들이 안주거리를 요청하면서 집에서 기르던 닭을 재료로 하는 백숙을 시작으로 1980년대부터 오리와 흑염소 요리를 판매해오고 있는 곳이다. 부산 향토 음식인 흑염소 요리에 대한 자부심이 강하여 전통 흑염소불고기 조리법을 꾸준히 연구 개발해오고 있다. 국내산 흑염소와 오리만을 사용하며 텃밭에서 재배한 채소류를 제공한다. 또한 한약재를 첨가한 숙성 양념을 자체 개발하여 차별성을 두고 있다. 단체 고객의 야외 여가 활동을 위해 족구장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식사와 함께 맑은 공기 속 휴식을 취할 수 있어 인기가 좋다.

금수사(부산)

금수사(부산)

10.3 Km    23337     2023-12-20

부산광역시 동구 망양로 533-1

금수사는 한국불교원효종의 총본산으로도 유명하다. 2003년 입적한 원효종 종정 법홍스님이 주석한 이곳에는 원효대사의 유지와 종풍을 받들고자 하는 수많은 사부대중의 귀의처로서 자리매김하였으니 산중이 아닌 일반 백성들 속에 중생들을 깨우쳐 주고자 했던 원효대사의 화쟁 무애사상이 빛나는 대표적 사찰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불교가 낳은 불멸의 성사 원효대사의 유지를 받들고, 호국일념으로 나라를 위기에서 구한 사명대사의 족적이 남아 있는 곳, 구계산 금수사는 이러한 역사적 터전 위에 지금 불법홍포의 기치를 높이 들고 있다. * 금수사의 걸어온 길 두 번의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겪은 뒤 조선의 선조대왕은 1604년, 갑진년(선조 37년) 6월 강화교섭을 위해 사명대사에게 일본에 강화사(講和使)로 가 줄 것을 요청했다. 이를 위해 부산 구계산 자락에서 머무르던 사명대사가 물맛과 경치에 감탄해 마지않은 곳이 있으니 바로 원효종 총본산 금수사 터였다. 이후 대사를 따르던 한 제자가 이곳에 초암을 짓고 ‘금수암’이라 칭하니 오늘날 금수사가 태동한 배경에는 이와 같은 역사적 사실들이 바탕되어 있다. 금수사는 창건배경부터 국운과 관련된 호국사찰로 그 역할을 다해 왔다. 사명대사가 이곳에 머물다 일본으로 건너간 때에도 전란으로 잡혀간 3천5백여 명의 우리 동포들을 데리고 귀국했으며, 한국전쟁 당시에는 경내에 피난민 수용소를 건립, 민족의 아픔을 함께 나눈 곳이다. * 독립선언 민족대표 33인의 위패가 있는 곳 금수사 경내에 호국영각을 짓고 기미년 독립선언의 민족대표 33인과 안중근, 김좌진, 안창호, 윤봉길 등 애국독립지사 22인의 위패를 모셔 매년 추모법회를 봉행하고 있으니 호국도량으로서의 그 위상이 분명하다 할 것이다.

하이마트 부산역

하이마트 부산역

10.3 Km    0     2024-06-21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157 (대창동2가)

-

해녀할매집

해녀할매집

10.3 Km    0     2024-06-25

부산광역시 기장군 연화2길 30-1

해녀할매집은 부산시 기장군 연화리에 있는 해산물 식당이다. 특히 전복 요리가 많아서 전복죽, 전복철판구이, 전복회, 전복물회, 전복해산물코스가 있고 산낙지, 해삼, 멍게, 소라 등 해산물 모둠 회도 맛볼 수 있다. 전복죽 맛집으로 양이 푸짐하고 전복이 넉넉하게 들어 있어 보양식으로도 좋다. 해녀촌 중에도 웨이팅이 많은 곳으로 여유를 갖고 방문하는 것이 좋다. 전용 주차장이 있고 국립수산과학관, 오랑대공원이 인접해 있어 함께 둘러보기 좋다.

초량1941

초량1941

10.4 Km    0     2024-01-16

부산광역시 동구 망양로 533-5

초량 1941은 건물을 지은 연도와 지역명이 합쳐진 이름이다. 우유를 기본으로 브랜딩을 한 카페로 부산역 뒤편의 산복도로를 따라 올라가는 이바구길 끝자락 산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오래된 일본식 가옥을 개조한 건물 내부에는 빈티지한 가구와 소품들로 꾸며져 있어 마치 과거에 와 있는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이곳에서 다양하게 개발하여 만든 우유음료는 방부제 및 화학첨가물을 사용하지 않는다. 카페인에 민감한 사람이나 유제품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주의가 필요하다. 우유음료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디저트도 맛볼 수 있다.

해녀조씨할매집

10.4 Km    1     2023-05-23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연화1길 187
051-721-2972

진한 전복죽과 싱싱한 전복 회를 포함 다양한 해산물 요리를 맛볼 수 있는 식당이다. 산낙지, 고동, 해삼, 멍게, 개불, 소라, 낙지, 해삼, 새우 등 각종 해산물이 싱싱해 찾는 사람들로 늘 북적인다. 기본 찬으로는 홍합탕과 해초, 양파 장아찌와 깍두기가 나오는 깍두기는 전복죽과 궁합이 잘 맞는다. 정갈하고 깔끔하게 나오는 해산물 모둠은 쟁반째 앞에 놓고 먹는다. 반려동물도 출입이 가능하지만 다른 손님을 위해 테라스에서 식사가 가능하다.

산성청송가든

산성청송가든

10.4 Km    17198     2023-08-21

부산광역시 금정구 산성로 516
051-517-5502

산성마을에 2대에 걸쳐 옛 전통을 지키고 있는 금정산성의 명소 산성청송가든이다. 흑염소불고기, 오리숯불고기 등 주변에서 흔히 맛볼 수 없는 건강식으로 사랑받고 있다. 족구장 시설도 완비되어 있어 단체 모임 하려는 이들이 많이 방문하고 있다.

영주시장

영주시장

10.4 Km    3     2023-12-11

부산광역시 중구 대영로242번길 3 (영주동)

영주시장은 부산역 인근 영주고가 다리가 시작하는 지점에 있는 재래시장이다. 1973년 개설된 상가주택 건물형의 소형시장이며, 지금은 재래시장의 기능은 없어지고 칼국숫집으로 유명한 음식점들만 남아 있다. 영주시장을 처음 방문하면 이곳에 음식점이 있는 곳인가 하는 의아함이 느껴질 정도로 낡은 건물로 이루어져 있으나, 점심 무렵이 되면 줄 서서 기다려야 할 정도로 식객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상가형 건물 내부 확 트인 공간 안에 옹기종기 모여있는 칼국수 집은 모두 다 오래된 전통 있는 칼국숫집으로, 직접 면을 뽑아 칼국수를 만들어 준다. 주요 메뉴는 칼국수, 비빔 칼국수, 잔치국수, 김밥을 판매하며, 얼큰한 멸치육수에 탄력 있는 면발은 칼국수의 진미를 느끼게 해주는 맛집들이 있는 시장이다.

마린뷔페

10.4 Km    24577     2023-12-07

부산광역시 중구 충장대로9번길 52
051-464-5700

부산항 및 시가지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전망과 신선한 야채와 천연식 재료로 맛깔스런 음식을 제공하며 특히 외국인을 위해 일식, 중식, 양식도 맛볼 수 있으며 즉석 쇠고기 갈비코너도 제공되고 있다.

[백년가게]죽도집 (죽도횟집)

[백년가게]죽도집 (죽도횟집)

10.4 Km    3     2023-09-12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연화1길 215
051-721-2411

현 위치에서 46년째 운영 중인 죽도집은 붕장어 전문점으로 회, 찜, 구이, 무침 등 붕장어를 다양하게 먹을 수 있는 곳으로 유명하며 국내 유일한 붕장어 국과 찜을 개발한 곳이다. 탈수기에 탈수한 다른 집과는 달리 직접 붕장어를 칼로 잘게 썰어서 물기를 짜는 방식을 고수하며 색다른 맛을 느낄 수 있도록 콩가루가 뿌려진 채소를 제공하여 눈처럼 소복이 쌓인 붕장어 회를 초고추장에 비벼먹으면 그 맛이 일품이다. 붕장어 요리뿐만 아니라 제철 활어회 등 다양한 해산물 요리도 맛볼 수 있다. 30여 대 주차 가능한 전용 주차장이 있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