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장 이팝꽃 터널길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단장 이팝꽃 터널길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단장 이팝꽃 터널길

단장 이팝꽃 터널길

17.9Km    2025-03-17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밀양시 단장면 이팝꽃 터널길은 밀양 평리산 대추정보화 마을을 거쳐 밀양댐 생태공원으로 가는 길로, 단장면 범도리 범도교에서 밀양댐 생태공원 간 약 4㎞에 이르는 코스이다. 매년 5월이면 이팝나무 가로수가 꽃이 피어 장관을 이루는 곳으로 개화 시기를 맞춰서 가면 멋진 이팝꽃 터널을 만날 수 있다. 이팝꽃 터널길을 올라가면 밀양댐을 만날 수 있으며, 밀양댐 전망대 등 댐 주변도 관광명소 중 하나이다.

밀양댐 물 문화관

17.9Km    2025-04-03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고례2길 79-10

밀양댐에서는 경남 양산시, 밀양시, 창녕군 등 3개 지역에 수돗물과 전력을 공급한다. 용수 공급능력은 7,300만 톤, 발전능력은 연간 700만 kW/h이다. 밀양댐 물 문화관에는 밀양댐에 대한 정보와 물의 소중함을 일깨워 주는 정보들이 가득하다. 물 문화관에서 나와 탁 트인 전망을 감상하기에도 좋다. 많은 이들이 드라이브 코스로도 많이 찾고 있다.

동래아이스링크

동래아이스링크

18.0Km    2025-04-23

부산광역시 동래구 충렬대로 420 (안락동)

안락종합타운 6층에 있는 동래아이스링크는 2000년 8월 개장하여 동계 스포츠의 불모지였던 부산 지역의 빙상 문화 발전을 위해 노력해 왔으며, 최대 400명까지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빙상장으로 날씨와 계절에 상관없이 사계절 내내 이용할 수 있는 아이스링크이다. 이곳은 스케이트 용품점, 스케이트 대여실, 휴게시설, 스낵코너, 피겨 하네스 훈련 시설, 전용 트레이닝 룸 등의 부대 시설이 완비되어 있다. 동래아이스링크는 사설 빙상장이지만 동계스포츠의 활성화를 위하여 스피드 스케이트, 피겨 스케이트, 아이스하키 강습을 운영하고 있으며, 학교 단체수업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학생들에게 동계스포츠를 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초선대 마애여래좌상

18.0Km    2024-06-12

경상남도 김해시 김해대로2580번길 21

초선대 마애여래좌상은 김해시 안동에 있는 금선사 초선대 암벽에 새겨진 불상이다. 초선대는 신선을 초대한다는 뜻으로, 현자를 청한다는 뜻의 초현대라고 불리기도 한다. 동국여지승람에 초선대는 가락국의 거등왕이 칠점산의 선인을 초대하여 이곳에서 거문고와 바둑을 즐겼다고 기록되어 있어, 마애불은 거등왕의 초상이라고 전해지기도 한다. 초선대 마애여래좌상은 연꽃 받침에 양손을 모으고 다리를 포개어 앉은 자세로, 민머리에 나지막한 육계(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상투 모양이 된 것)가 있다. 눈은 가늘고 길며, 작은 코에 두툼한 입술은 토속적인 인상이 강하다. 귀는 그다지 길지 않으며, 목에는 부처를 상징하는 세 개의 주름을 표현하였고 광배는 무늬 없이 소박하게 처리하였다. 바위에 균열이 있어 명확하지 않지만, 머리는 민머리인 것으로 보이며 가늘고 긴 눈, 넓적한 코, 두툼하고 넓은 입술의 얼굴은 입체감이 없이 묘사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평면적인 신체 표현 방식과 얼굴 표현 방식이 고려시대 마애여래좌상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불상의 전체 높이는 5.1m, 몸체 높이는 4.3m이다.

영남지역 유일한 시민천문대에서 낭만과 추억을

18.0Km    2023-08-09

정말로 솜씨가 좋은 장인의 솜씨가 깃든 초선대마애불을 보며 정말로 신선이 깃든 듯한 느낌을 새기며, 가락불교의 흔적을 찾아 은하사를 따라 가보자. 섬세하고 오래된 전경은 호젓한 데이트 장소로도 그만이다. 그 다음 코스는 김해천문대를 향한 코스다. 내가 무슨 별자리인지 알아보며 김해 시내가 다 내려다보이는 밤 전경을 즐겨보는 것도 좋겠다.

월명사(부산)

18.0Km    2025-03-26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참샘길 124

월명사는 부산 기장군 일광면 일광산 자락에 위치해 있다. 들머리는 한센병 환자 공동체마을인 ‘삼덕마을' 로부터 시작된다. 부산에서 14번 국도를 따라 반송동을 거쳐 기장, 일광면으로 접어 들어도 되고 부산 도심을 통과한 후 경치 좋은 해운대를 거쳐 송정, 기장, 일광면으로 향해도 좋다. 일광 바다 바로 뒷편, 병풍처럼 버티고 앉은 일광산(日光山)은 해 떨어지는 낙조가 특히 아름답다 하여 일광팔경 가운데 하나인 일광낙조(日光落照)로 이름난 곳이다. 바로 이곳, 일광산 자락에 자리한 월명사는 비록 넉넉한 사세는 갖추지 않았지만 경내 뜰 곳곳에서 아기자기하고 소탈한 면면들을 발견할 수 있는 그리 알려지지 않은 태고종 사찰이다. 전해오는 일설에 따르면 예로부터 불상을 모시고 치성을 드린 기도처였다고는 하나 현재로서는 1882년 범어사의 김법성 스님이 창건한 수행도량으로만 알려져 있을 뿐 이렇다 할 기록이나 추정할 만한 유물도 없다.경내 샘에서 솟아나는 오랜 효험의 약수가 인근 마을 사람들의 입을 통해 명약으로 알려져 있고, 월명사(月明寺)와 친분이 있는 불교미술 작가들이 이곳에서 작품활동을 하는 터라 경내 곳곳에서 나한상과 동자상들을 심심찮게 볼 수 있어 좋다. 일광산의 해와 월명사의 달이 어우러져 조화를 이룬 곳이라 자연의 흐름을 거스르지 않은 채 있는 그대로 앉아있는 월명사는 현재 신도는 많지 않으나 경내로부터 시작되는 가파르지도 험하지도 않은 호젓한 산책코스를 이용하는 등반객들의 쉼터로 이용되곤 한다.

솟대마을 숯불 장어구이

솟대마을 숯불 장어구이

18.0Km    2024-08-20

경상남도 김해시 식만로348번길 21

이름처럼 솟대가 손님들을 맞이하는 식당으로 불암동 장어구이 거리에 있다. 풍천장어로도 알려진 민물장어를 숯불로 구운 뒤 특유의 비법 양념을 올려 냄새를 없애고 다양한 곁반찬과 함께 먹는다. 장어 외에도 칼국수가 일품으로 칼국수 맛집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인기 있는 메뉴다. 건물 전체가 토속적인 전통소품들로 가득하고 창밖으로 낙동강 변이 뻗어있어 식사와 함께 경치를 즐기기에도 좋고, 식사 후 강변을 산책하기에도 좋다.

풍천숯불장어

풍천숯불장어

18.1Km    2024-12-11

경상남도 김해시 장어타운길 48 (불암동)
055-339-0789

참숯불장어구이 전문점으로 장어(국내산)를 참숯불로 구워 비린내가 전혀 없고 원적외선 천연 숯 기운이 그대로 베여있어서인지 양념이나 소금구이와는 또 다른 새로운 장어의 맛을 자아낸다. 장어의 담백함에 구수한 냄새가 묻어난 맛이라 할 수 있겠는데 쌈무와 절임깻잎에 생강을 얹어 싸먹으면 그 맛이 일품이다.

사천게장집

사천게장집

18.1Km    2024-08-19

부산광역시 사상구 낙동대로1518번길 27

부산 사상구 재첩 거리에 위치한 간장ᆞ양념 게장에 재첩국을 무한리필로 제공하는 곳으로, 현지인이 자주 찾는 맛집이다. 가게 앞에 주차장이 바로 있어 주차가 편리하고, 매장이 넓어 식사하는데 불편함이 없다. 주문하면 기다림 없이 바로 차려지는 밥과 기본 반찬들에 청양고추가 올라간 간장게장, 매콤 달콤 양념에 버무려져 나오는 양념게장, 시원한 재첩국을 저렴한 가격에 무한으로 먹을 수 있어서 가성비가 뛰어난 집으로 소문이 자자하다. 양념이 잘 베여있는 게살에 밥을 비벼 김에 싸 먹으면 그 맛이 일품이다. 그 외 메뉴로는 재첩회, 재첩회덮밥이 있다.

사충단

18.1Km    2025-03-17

경상남도 김해시 가야로405번안길 22-9

조선시대 선조 25년(1592년) 4월에 일어난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김해를 지키다 전사한 김득기, 송빈, 유식, 이대형 선생의 공을 기리기 위하여 고종의 명으로 1871년에 건립한 묘단이다. 처음에는 동상동 873번지에 있었던 것을 김해의 도시계획으로 동상동 161번지 일원에 확장 이전하였으며, 매년 음력 4월 20일 추모제를 지내고 있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 1600년(선조 33)에 이들은 모두 가선대부(嘉善大夫) 중에서 김득기와 이대형은 이조참판, 유식과 송빈은 호조참판으로 각각 추증(追贈) 되었다. 이 중 김득기의 묘는 한림면에 있고 이대형의 묘는 상동면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