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3Km 2025-01-16
부산광역시 동래구 연안로 38
부산 동래구에 있는 박해윤통영해물밥상은 통영 출신 대표가 운영하고 있다. 생굴과 꼬막은 통영에서 매일 하루 사용분만 직접 수송해 와 신선한 해물을 즐길 수 있다. 주메뉴는 해물밥상, 굴매생이탕, 낙지샤브탕, 생굴 또는 전복 샤브탕이다. ‘어머니가 차려준 밥상’을 추구하는 대표의 경영 철학이 있어 상견례 장소로도 좋다. 2층에는 야외 루프탑이 있어 날씨 좋은 날 홍합밥 한 그릇 먹으며 시원한 바다 내음을 만끽할 수 있다. 천장이 높고 룸이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어 가족 단위나 소규모 모임에도 적합한 장소이다.
14.3Km 2025-03-07
부산광역시 수영구 연수로379번길 42
25의용단은 부산 수영구에 위치한 역사적인 건물로, 일제 강점기 동안 활동한 의용군의 전적을 기리기 위해 설립된 기념관이다. 이곳은 한국 독립운동의 중요한 장소로, 의용군의 헌신과 희생을 기념하는 다양한 전시물과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다. 특히, 의용단의 활동과 독립운동에 관한 자세한 설명이 담겨 있어 방문객들에게 한국 역사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한다. 또한, 정기적으로 독립운동 관련 강연과 문화행사도 열리며, 지역 주민들에게 역사 교육의 장으로도 활용된다. 25의용단은 부산에서 중요한 역사적 가치를 지닌 장소로, 독립운동 정신을 계승하고자 하는 의미 있는 공간이다.
14.3Km 2024-01-22
경상남도 김해시 삼문로 6
김해 장유에 있는 갑오삼계탕 본점은 큰 규모의 삼계탕 전문점이다. 식당 옆으로 넓은 주차장이 있고 복날, 주말 등 차량이 많을 땐 근처 사설 주차장에 주차하면 무료 주차권을 제공한다. 넓은 내부에는 입식과 좌식 테이블이 마련되어 있고 아기 전용 의자도 구비되어 있다. 갑오삼계탕은 육수에 들어가는 재료에 따라 선택할 수 있어 다양한 삼계탕을 맛볼 수 있다. 진한 육수의 맛과 쫄깃한 닭고기가 맛있는 이곳은 식전 인삼주가 제공되고 기본 찬으로 김치, 고추, 샐러드, 양파장아찌가 나온다. 여름 성수기인 7월, 8월에는 삼계탕 메뉴만 판매하고, 5월부터 8월까지는 휴무 없이 영업한다. 도보 5분 거리에 가볍게 산책하기 좋은 대청공원이 있다.
14.3Km 2024-05-20
경상남도 김해시 가야로157번길 31-16
김해시 구산동에 있는 작은 산봉우리로, 1983년 8월 6일 경상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가 2001년 3월 7일 사적으로 변경되었다. 가야의 시조 수로왕이 탄생했다고 전해지는 곳이다. 원래는 거북 머리 모양을 닮았다 해서 구수봉이라 하였는데, 지금 수로왕비릉이 있는 평탄한 위치가 거북의 몸체이고, 서쪽으로 쭉 내민 봉우리의 형상이 거북의 머리 모양 같다고 하여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정상부에는 기원전 4세기경의 것으로 보이는 남방식 고인돌이 있다. 고인돌은 5∼6개의 짧은 받침돌 위에 지름 2.5m 정도 되는 덮개돌이 덮여 있고 그 위에 문인 한호가 쓴 것이라 전해지는 구지봉석 명문이 새겨져 있다. <삼국유사> 가락국기에 기록된 김수로왕의 탄생 설화를 보면 다음과 같다. 서기 42년인 신라 유리왕 19년 3월의 어느 날, 이곳 마을 사람들은 북쪽 구지봉에서 이상한 소리가 나는 것을 들었다. 마을 사람들이 소리가 나는 곳에 가보니, 사람은 보이지 않고 산꼭대기 흙을 뿌리면서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면 곧 대왕을 맞이하게 될 것이라는 소리만 들렸다. 마을 사람들이 그 아래서 모두 기뻐하며 노래하고 춤을 추자 하늘에서 한 줄기 빛이 땅에 떨어졌고, 거기에는 붉은 보자기에 싸인 금합이 있었다. 뚜껑을 여니 황금빛 알이 6개가 있었는데, 후에 거기에서 아기가 나와 6가야국의 왕이 되었으며, 그중 가장 처음 태어난 아기가 김수로 왕이다. 구지봉은 야트막한 구릉지에 불과하지만, 가야의 시조 탄생 설화의 주 무대로 오늘날까지도 이 지역 사람들에게 신성한 산으로 여겨지고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구지봉을 관통하는 도로공사로 거북의 목 부분이 끊겼는데, 풍수지리상 좋지 않다고 해서 도로 위에 인도를 놓아 끊어진 목 부분을 연결하였다.
14.3Km 2025-06-20
부산광역시 영도구 태종로750번길 46 (동삼동)
부산 영도 하리에 있는 토로는 이탈리안 레스토랑이다. 주택을 개조하여 만든 토로는 골목 안쪽에 있어 주차 후 안내판을 따라 올라가면 우측에 있다. 입구 앞에는 작은 화분과 독특한 모양의 타일로 꾸며져 이국적이고, 아늑한 분위기가 있는 레스토랑이다. 깔끔한 내부는 테이블이 많지 않아 주말에는 예약하고 가는 게 좋다. 엄선된 식재료와 직접 재배한 신선한 야채를 사용하는 토로는 주문 즉시 조리되어 음식 제공까지 시간이 다소 걸릴 수 있다. 한 달 정도 에이징 과정을 거친 안심, 채끝 스테이크가 이곳 대표 메뉴이다. 특히 채끝 스테이크는 철판에 나와 개인 취향에 맞게 익혀 먹을 수 있다. 식사 후 옥상으로 올라가면 영도 바다를 한눈에 담을 수 있는 포토존도 마련되어 있다. 근처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 문화유산을 볼 수 있는 동삼동 패총전시관도 있어 함께 둘러보기 좋다.
14.3Km 2024-04-01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해변로 183
광안리 해수욕장이 바로 앞에 있는 게스후는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부산의 대표 패밀리 레스토랑이다. 아침마다 신선한 재료를 받아 사용하기 때문에 신선한 맛을 느낄 수 있으며, 엄선한 고기를 정확한 정량제로 커팅한 스테이크를 제공한다. 담백하고 느끼하지 않은 피자 또한 게스후에서 맛볼 수 있다. 누구의 입맛에도 잘 맞는 파스타도 일품이며, 특히 크림파스타는 손님들이 많이 찾는 메뉴 중 하나이다.
14.3Km 2025-07-31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성로 43
수영구는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닌 곳으로 자연경관이 빼어난 지역으로, 뒤에는 산세가 수려한 금련산이 있고, 앞으로는 광안리해수욕장이 있어 전형적인 배산임해의 명승지이다. 조선시대에는 경상좌도 수군절도사영이 있어 군사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지역이었으며, 수영이란 지명도 수군절도사영의 준말로 현재에는 지명으로 굳어졌다. 수영공원은 조선시대 남해안의 4 군영을 관할했던 수군 총괄 군영인 경상좌도 수군절도사영이 있었던 자리로서 현재는 성은 없어지고 성지 관련 유적만 수영공원에 남아 있다. 공원 안에는 경상좌수영성 남문 유형문화유산 1종, 25의용단 등 기념물 2종, 수영야류 등 무형유산 4종, 곰솔, 푸조나무 천연기념물 2종, 안용복 장군 사당 등 비지정 국가유산 5종 등이 있으며 이를 보존하고 관리하는 수영민속예술관이 있다. 왜인들에게 독도가 우리 땅임을 확약받아온 안용복장군 사당과 충혼탑을 비롯하여 송 씨 할매당, 조 씨 할아버지당 등 수영 사람들의 혼이 깃들어 있는 역사와 교육의 장으로 부산의 민속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 문화유적 공원이다. 역사적 상징성을 가진 유적공원이지만 시민들의 가벼운 산책공간으로 더 친근하며, 나무가 우거진 시원한 오솔길은 도심 속 힐링 장소로 손색이 없는 곳이다.
14.4Km 2025-07-31
부산광역시 금정구 북문로 78-5 (금성동)
금정산성은 금정산 꼭대기에 능선과 계곡을 따라 축성되어 있다. 금정산성은 임진왜란의 혹독한 피해를 입은 동래부민(東萊府民)이 난(亂)에 대비하기 위하여 쌓은 피난겸 항전성(抗戰城)이며, 국내에서는 가장 큰 규모의 산성이다. 1707년 동래 부사 한배하가 성이 넓다 하여 남북 두 구역으로 구분하는 중성을 쌓고 장대, 군기고 등의 시설을 보완하였다. 1806년 동래 부사 오한원이 성을 다시 수리하고 동문을 새로 쌓았으며, 서문, 남문, 북문에 문루를 만들고 수비군을 배치하였다. 금정산성에는 산성마을이 조성되어 있고, 산성마을에는 우리나라 민속 막걸리인 산성막걸리가 생산되고 있으며, 각종 음식점, 카페 등이 많아 관광객들이 휴식하기 좋은 관광지이다. 금정산성에 올라가기 위해서는 자가용을 이용하거나 대중버스를 이용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