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6Km 2024-10-17
대구광역시 군위군 고로면 삼국유사로 250
인각사는 643년(선덕여왕 11)에 의상대사가 창건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통일신라시대부터 번성하여 고려시대에는 국사 일연 스님이 1284년(충렬왕 10)부터 임종할 때까지 5년 동안 이곳에 머물면서 [삼국유사]를 저술하였다. 이 당시 인각사는 구산문도회를 두 번이나 개최했다고 전해지는데, 이는 당시 전국 불교의 본산임을 알 수 있다. 조선 후기 들어서는 퇴락하여 거의 폐사가 되었다가, 1721년(경종 1) 스님이 화주(化主)를 맡고 배흥일이 시주하여 대웅전, 극락전, 승방, 종루 등이 다시 갖추어지는 중수가 이루어졌다. 사적으로 지정된 인각사는 경내에 보물인 일연스님의 부도탑인 [보각국사탑과 비]와 [군위인각사석불좌상]이 있고 일연의 업적과 삼국유사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를 위한 일연학연구소와 삼국유사 박물관이 있다. 사찰의 앞에는 수많은 백학들이 서식하였다는 운치있는 학소대가 있다. 인각사에서 조금 올라가면 병풍처럼 펼쳐져 있는 병암과 마주치게 된다. 밑으로는 수정같은 맑은 물이 흐르고 있고 여름이면 매일 수 천명씩 이곳에서 피서를 즐기기도 한다. [인각사 석불좌상] 이 불상은 10~11세기에 제작한 불상으로, 실존하는 고승을 모델링하여 조성한 불상양식과 계층을 같이 하고 있다. 광배와 한 돌로 구성된 석불좌상인데 광배는 거의 깨어졌거나 불상은 완전하게 남아있고, 머리는 육계가 불분명하지만 윤곽선이 표현되어 육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머리칼도 나발이 꽤 큼직하게 묘사되고 있다. 가부좌한 두발은 가사로 덮여 있으나 오른손은 내리고 왼손은 무릎 위에 얹는 항마촉지인의 두 손은 비교적 작게 표현한 것이 인상적이다. [인각사 보각국사탑 및 비] 보각국사 일연의 탑과 비는 고려 충렬왕 15년(1289)에 입적한 일연스님의 부도탑과 비문이다.보각국사 일연스님이 노년에 인각사에서 노모를 지극히 봉양하고 삼국유사를 저술하는 등 많은 업적을 추모하기 위해 보각국사비와 정조지탑이 세워졌다고 한다. [인각사 보각국사탑] 탑의 상층은 불상, 중층은 연화, 하층은 토끼·사자·원숭이 등 여러 동물의 형상이 조각되어 있다.아침에 해가 뜨면 이 탑에서 광채가 나와 멀지 않은 곳에 승려 일연스님 노모의 묘를 비추었다고 한다.팔각의 탑의 중심부에 보각국사 정조지탑이라는 탑명과 사천왕입상과 보살입상이 조각되어 있다.원래 이 탑이 인각사 동쪽 2km 떨어진 부도 골에 있었으나 외지 사람들이 자기 조상의 묘를 안장하기 위해 1928년 서편으로 50m쯤 옮겨 놓은 것을 1978년에 인각사 경내로 다시 옮겼다고 한다. - 조성시대 : 고려 충렬왕 21년 - 소유자 : 인각사 - 규모 : 탑고 2.4m / 재료 : 화강암 [인각사 보각국사비] 비는 충렬왕 21년(1295) 국사의 불제자인 법진에 의하여 세워졌다. 높이 6자, 폭 3자반, 두께 5인치인 탑신의 비문은 당시의 문장가인 민지가 왕명을 받들어 지은 명문이며, 글씨는 왕명에 의하여 진나라까지 가서 왕희지의 유필을 집자하여 만들었으며, 지금은 형체가 많이 훼손되었으나, 비문은 오대산 월정사에 사본이 있어 알 수 있다.
17.6Km 2025-03-31
대구광역시 군위군 고로면 삼국유사로 250
군위 인각사지는 군위군 화산의 북쪽 기슭 강가 퇴적지대에 자리 잡은 절터이다. 인각사는 선덕여왕 시절 원효가 세운 절이라 한다. 그 뒤 고려 때에 크게 고쳐 지었고, 일연이 충렬왕 10년(1284)부터 5년간 이 절에서 머물며 삼국유사를 지은 장소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인각사는 언제 세워졌는지 문헌으로는 확인할 수 없다. 그러나 발굴조사 때 대웅전터로 생각되는 건물이 있던 곳에서 통일신라시대의 건물터를 확인하여, 신라 후기에 이미 있었던 것으로 짐작하고 있다. 지금의 인각사에는 법당과 두 채의 건물이 남아 있으며, 중요문화유산으로 인각사 보각국사 탑과 비(보물)가 있다. (출처 : 국가유산청)
17.6Km 2025-03-18
대구광역시 수성구 들안로 109-1
1980년대 후반부터 시내 중심가의 대형식당들이 도심의 교통체증 주차난 등으로 들안길로 하나 둘 모여들어 먹거리타운을 형성하였으며, 지금은 대구의 대표적인 먹거리 타운으로 발돋움하면서 수성구 명물로 자리 잡고 있다. 수준 높은 요리와 독특한 인테리어, 넓은 주차장을 갖춘 식당 150여 개가 들안길을 중심으로 대로변에 즐비하게 늘어서 있다. 한식, 양식, 일식 등 다양한 메뉴와 쾌적한 시설로 손님을 끌어들이고 있다.
17.6Km 2024-11-07
대구광역시 중구 명덕로 93
053-255-0742
최초 1963년에 부친이 운영하다 아들이 대물림하여 운영되고 있는 대구에서 가장 전통이 깊은 납작 만두 전문점이다. 납작 만두 속은 파, 부추, 당면 3가지만 들어가며, 간장소스를 뿌려 먹는 것이 특징이다. 소박한 재료에도 불구하고 대구 10미에 한자리를 차지하는 미성당은 대구에서만 맛볼 수 있는 납작만두의 전통 맛집이라 할 수 있다.
17.6Km 2024-06-20
경상북도 경산시 공단7로 3
파라글로우는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대원리에 있다. 북유럽을 연상시키는 감성적인 인테리어가 눈에 띄는 곳이다. 곳곳에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포토존을 배치해두었다. 음료, 베이커리, 브런치를 즐길 수 있다. 대표 메뉴는 인절미 팥빙수다. 이 밖에 녹차 팥빙수, 녹차가득 치즈빙수, 아보카도 샐러드 플레이트 등을 맛볼 수 있다. 밀가루 반죽을 12시간 숙성해서 만드는 베이커리도 인기다. 모든 음료는 포장해 갈 경우 500원을 할인해준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가지기 좋다. 경산IC에서 가깝고, 인근에 대구CC파3골프장이 있다.
17.6Km 2025-03-24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로 115
봉덕시장은 대구광역시 남구의 대표적 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시장에는 주변 미군부대에서 흘러들어온 물건들이 흘러넘쳤다. 씨레이션부터 시작해 담요, 재봉틀, 프라이팬까지 온갖 구제품과 군사 보급품들이 시장 안을 가득 채웠다. 그렇게 불행한 역사 속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생겨난 대구 남구 봉덕시장은 70년대와 80년대 최고의 호황기를 누리며 대구의 4대 시장으로 성장했지만 대형마트와 인터넷 쇼핑몰로 화려했던 출발과는 달리 요즘 시장 경기는 좋지 않다. 이후 2004년 중소기업청의 지원으로 아케이드 설치, 주차장 확보 등 시설 현대화를 통해 고객들의 편리한 쇼핑을 돕고자 노력하고 있다.
17.6Km 2024-12-27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로 115
서울분식은 대구 남구 봉덕동 봉덕신시장에 있다. KBS 1TV '6시 내고향'에 소개된 바 있다. 대표 메뉴는 떡볶이다. 이 밖에 찹쌀순대, 소떡소떡, 김밥, 납작만두, 잎새만두, 튀김, 어묵을 판다. 모든 메뉴는 포장이 가능하다. 분식집은 대구 지하철 1호선 영대병원역에서 가깝고, 주변에는 봉덕맛길, 상락선원이 위치해 있다.
17.6Km 2024-11-26
대구광역시 남구 중앙대로40길 48-6
010-2848-0035
#본 업소는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으로 외국인만 이용이 가능하며 내국인은 이용할 수 없습니다.교대역 5분거리에있는 게스트하우스
17.6Km 2024-11-06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910
053-655-7799
크리스탈관광호텔은 비지니스맨을 위한 시티호텔로 도심지에 위치 하여 쇼핑센터, 터미널, 공항, 고속도로 톨게이트가 가까운 사통팔달로써 비지니스맨들을 위한 각종 제반시설을 갖춘 호텔이다.
17.6Km 2024-01-19
경상북도 경산시 화랑로8길 216
카페 월화수는 경상북도 경산시 갑제동에 있는 대형 카페다. 현대적인 외관과 세련된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아울러 창밖 풍경을 감상하며 음료를 마시거나 디저트를 맛보기 좋다. 대표 메뉴는 짭짤함과 달콤함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소금커피다. 이 밖에 큐브 라테, 흑임자 라테, 청귤에이드, 냉마 스무디 등 다양한 음료가 준비되어 있으며, 디저트와 피자도 맛볼 수 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있으며, 수유실도 갖추었다. 경산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오렌지타운거리, 경산자연마당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