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9Km 2024-06-25
경상북도 김천시 혁신8로 5 율곡테크노밸리
우리반상시월 김천본점은 경상북도 김천시 율곡동에 있는 한식당이다. 대표 메뉴는 건강보리밥이며, 건강돌솥밥, 곤드레돌솥밥, 순두부찌개, 고등어구이, 숯불 돼지불고기 등이 있다. 건강한 밥상답게 간이 세지 않고 나물류의 밑반찬도 푸짐하고 맛있다. 가족외식에 적합하고 특히 어르신들의 식사로 추천할만하다. 주차가 편리하고 단체 회식을 위한 룸도 준비돼 있다. 식당 내부가 세련되게 꾸며져 있고 통유리창을 통해 바깥 경치를 감상하며 식사할 수 있다. 동김천IC에서 가깝고, 인근에 김천녹색미래과학관, 금오산도립공원이 있다.
15.2Km 2024-01-08
경상북도 성주군 지산로 64
촌두부집은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지방리에 있다. 계곡 인근에 자리 잡고 있으며, 고즈넉한 시골집 분위기를 연상시킨다. SBS 시사 교양 프로그램 생방송 투데이에 소개되었다. 대표 메뉴는 국산 콩으로 매일 만드는 촌두부다. 이 밖에 수육, 야채전, 칼국수, 잔치국수, 비빔국수, 국수고기얹어 등도 맛볼 수 있다. 남김천 IC와 성주 IC에서 가깝고, 주변에 금오산도립공원과 금오랜드가 있다. 반려동물은 야외 좌석에 한해 동반이 가능하다.
15.3Km 2024-07-31
경상북도 김천시 초곡길 287-97
김천실내테니스장&김천오토캠핑장은 경북 김천시 남면 초곡리에 자리 잡았다. 김천시청을 기점으로 10km가량 떨어졌다. 자동차를 타고 영남대로와 아포대로를 번갈아 달리면 닿는다. 도착까지 걸리는 시간은 15분 안팎이다. 캠핑장에는 파쇄석과 데크로 이뤄진 오토캠핑 사이트 30면이 마련돼 있다. 목줄과 배변봉투를 지참하면 반려견 동반 입장이 가능하다. 주변에 율곡천에 있어 자전거를 타거나 산책을 하기 좋다. ※ 반려동물 소형견만 동반 가능
15.3Km 2025-03-06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교리2안길 24-35
향교는 유교를 숭상하던 시대에 각 지방에 설치한 국립 교육기관이다. 구미 선산향교는 조선 초기에 처음 건립되었다고 전해지나 당시의 건물은 임진왜란 때 불타 버렸다. 그 후 선조 33년(1600)에 선산부사 김용(金涌)이 대성전(大成殿)과 동재(東齋)와 서재(西齋)를 지었고, 인조 1년(1623)에 선산부사 심륜(沈倫)이 명륜당(明倫堂)과 동재, 서재 등을 새로 지었다. 건물은 학문을 가르치고 배우는 공간인 명륜당이 앞에, 유교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드리는 공간인 대성전이 뒤에 있는 전학후묘(前學後廟)의 형태이다. 공부하는 장소이자 휴식을 취하는 장소이기도 한 청아루(菁莪樓)는 평면이 ‘ㄷ’자형으로 된 누각인데, 앞면은 2층으로 되어 있고 뒷면은 명륜당 마당으로 연결되어 있어 특이하다.
15.3Km 2025-07-30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도리사로 526
도리사는 신라 제19대 눌지왕(417년) 때 고구려의 승려 아도화상이 불교가 없었던 신라에 포교를 위해 처음 세운 해동불교의 발상지이자 신라 최초의 가람으로 알려져 있다. 아도화상이 수행처를 찾기위해 다니던 중 겨울인데도 이 곳에 복숭아 꽃과 오얏꽃이 활짝 핀 모습을 보고 좋은 터임을 알고 이 곳에 모례장자의 시주로 절을 짓고 이름을 복숭아와 오얏에서 이름을 따 도리사라 하였다. 신라불교 초전법륜지로 불교의 성지인 이곳에서 아도화상이 신라에 불교를 전하러 올 때에 모셔온 세존 진신사리가 1976년 세존 사리탑 보수 공사 중 금동육각사리함에 봉안되어 발견되었다. 도리사 세존사리탑 금동 사리기는 8세기 중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이 되며, 국보 제208호로 지정되어 현재 직지사 성보박물관에 위탁 소장되어 있다. 신라가 불교를 공인한 것이 514년(법흥왕 14)으로 이보다 보다 70여년이나 앞서 창건 된 도리사는 그 역사만큼이나 유형문화재로 보물인 화엄석탑이 있고, 아도화상 동상(2002년 새로 건립조성), 세존사리탑, 아도화상 사적비, 조선후기 탱화가 있으며 지정된 불교의 교리와 불교 문화 전파를 위한 템플스테이를 운영하고 있다.
15.3Km 2025-08-04
경상북도 김천시 개령면 동부1길 78-27
개령향교는 1473년(성종 4)에 관학산 밑에 처음 지었는데, 광해군(재위 1608~1623) 때 동쪽으로 옮겼다가 1837년(헌종 3)에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겨 지은 것이다. 일제강점기에 폐교되어 금산향교에 합쳐졌다가 1946년 복원하였고, 여러 차례 보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정문인 외삼문을 들어서면 앞쪽에 교육 공간인 명륜당이 있고, 그 뒤에 있는 내삼문을 통해 들어서면 제사 공간인 대성전을 배치하였다. 대성전은 공자를 비롯하여 중국과 우리나라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앞면 4칸·옆면 3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새 날개 모양으로 짠 익공 양식으로 꾸몄다.
15.5Km 2025-07-29
경상북도 구미시 장천면 금산리
금산리의 자연마을인 숯골은 뒷산에 숯을 구웠던 굴이 있다는 지명유래를 지닌 곳이다. 이 시골 마을에서 행하는 마을제사치곤 꽤나 잘 알려진 것으로 ‘금산리 숯골 동제’가 있다. 이 동제는 마을에 있는 떡버들을 ‘골매기 서낭님’ 또는 ‘골매기 할매’로 모시고 있다. 이 나무에 소원을 빌어 득남을 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하고 있어 기도를 올리기 위해 찾는 사람들이 종종 있다고 한다. 고려시대부터 숯골마을에 처음 들어온 성씨는 홍 씨, 황 씨, 박 씨 순이라고 한다. 따라서 이 마을의 당산목 떡버들이 수령 500년이므로 마을에 처음 정착한 홍 씨가 제사를 지내기 시작한 것으로 추측할 뿐이다.
15.6Km 2024-07-31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황학4길 21
이화 야영장은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황학산 휴양림 인근에 위치해 있다. 캠핑장 아래로 대규모 잔디밭이 조성돼 있어 기업 워크숍 등의 단체 행사를 개최하기 좋고 다양한 운동도 즐기기에 제격이다. 캠핑장은 일반 야영장 6면으로 이뤄져 있는데 잔디 사이트 4면은 가로 5m 세로 5m, 데크 사이트 2면은 가로 6m 세로 4m이다. 화장실과 샤워장은 남녀를 구분해 2개소가 있지만, 개수대는 1개 소다. 겨울철을 포함 사계절 모두 평일과 주말 구분 없이 운영하고 있다. 장작은 관리소에서 구입 가능하다.
15.6Km 2024-11-12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지산로 807-11
소암서당은 투암 채몽연(1561~1638), 백포 채무(1588~1670), 극명당 장내범(1563~1640)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서원이다. 1703년(숙종 29) 유학자인 장벽, 장세휘, 박정석 등 20여 명이 소암동 팜암바위 뒷산에 사당과 강당을 지어 소암사라하고 같은 해, 1712년(숙종 38)에 투암, 백포 부자를 봉안하였다. 1803년(순조 3)에 서원으로 승격하고 1847년(헌종 13)에는 극명당을 배향하였으나 1871년, 서원 철폐령에 의하여 모두 훼철되었다. 이후 1932년, 강당을 복원하고 이를 소암서당이라 하여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강당 대청 상부에는 기문 등이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