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향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제천향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제천향교

제천향교

10.8 Km    16764     2023-12-27

충청북도 제천시 칠성로 117

1389년(공양왕 1)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590년(선조 23)에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으나 임진왜란으로 퇴폐되었으며, 그 뒤 1907년 의병장 이강년(李康䄵)이 왜군과 교전 중 소진되었다. 1909년 대성전이 중건된 것을 시작으로 1922년에 명륜당, 1980년에 동재(東齋), 1981년에 서재(西齋) 등을 중건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된 대성전,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된 명륜당, 각 정면 4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으로 된 동재와 서재, 제기고(祭器庫), 내신문(內神門), 외신문(外神門)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10 철(十哲), 송조 6현(宋朝六賢),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 1명이 정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奉行)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현재 지방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설 명륜학원(明倫學院)을 운영하고 있다. 향교의 운영은 전교(典校) 1명과 장의(掌議) 수명이 담당하고 있다.

카페 느리게

10.8 Km    1     2023-07-01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청령포로 37

'카페 느리게'는 편안한 창가 자리에서 확 트인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곳이다. 독특한 시그니처 메뉴인 보리 당고와 옥수수슈페너를 맛볼 수 있으며 맛도 분위기도 좋은 카페이다.

우림정

우림정

10.8 Km    2     2021-03-10

충청북도 제천시 의림대로 446
043-644-4060

관광지 근처에 있는 건강과 맛 모두 잡은 레스토랑이다. 대표메뉴는 통밥이다. 충청북도 제천시에 있는 한식 전문점이다.

차이나북경

차이나북경

10.8 Km    0     2024-03-11

충청북도 제천시 의림대로 448

차이나북경은 충청북도 제천시 모산동에 있다. 깔끔함이 돋보이는 외관과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쫀득쫀득한 식감의 찹쌀탕수육이다. 국내에 짜장면이 처음 등장했을 때 방식으로 만든 백년짜장, 살아 있는 전복, 대하, 낙지, 송이, 관자 등을 넣어 만든 황제짬뽕도 인기가 많다. 이 밖에 전가복, 칠리중새우, 깐풍기, 양장피 등도 맛볼 수 있다. 제천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의림지, 교동민화마을, 에콜리안제천CC가 있다.

박정우 염색갤러리

박정우 염색갤러리

10.8 Km    16172     2023-08-16

충청북도 제천시 내제로31길 22

제천에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염색화가 박정우 씨가 청풍문화재 단지 옆에 개장한 ‘염색 갤러리’ 1층에는 염색체험장과 휴게실, 공예품 전시장, 개인전, 협회전 등의 맞춤 전시공간으로 꾸며놓았으며 2층에는 각종 염색 작품 50여 점을 전시하고, 넥타이, 스카프, 가방, 명함꽂이 등 소규모 판매점을 갖추고 있다. 비단 염색, 미술작품 관람과 더불어 직접 체험도 할 수 있는 문화가 어우러진 제천의 관광명소이다.

낭만짜장

낭만짜장

10.8 Km    4     2024-03-08

충청북도 제천시 의림대로48길 2-41

낭만짜장은 충청북도 제천시 모산동에 있다. 예스러운 외관과 깔끔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대표 메뉴는 마늘탕수육, 중식당면잡채, 해물쟁반짜장, 새우볶음밥, 사이다 등이 상에 오르는 4인 가족세트다. 2인에 적합한 낭만세트는 마늘탕수육, 짜장, 짬뽕이 나온다. 이 밖에 낭만짜장, 고추간짜장, 짬뽕, 불짬뽕, 탕수육 등도 맛볼 수 있다. 제천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의림지, 교동민화마을, 에콜리안제천 CC가 있다.

빌라드도화리

빌라드도화리

10.8 Km    1     2022-09-20

충청북도 제천시 도화로 38-17

빌라드도화리는 충청북도 제천시 송학면 도화리에 있다. 현대적인 감각이 돋보이는 외관과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잔디가 깔린 외부 공간에도 좌석이 마련되어 있다. 본관 바로 옆 건물 1층은 세컨드 홀로 사용하고 있다. 대표 메뉴는 도화리라떼이며, 크로플, 아메리카노, 눈꽃빙수, 제주말차빙수, 제주말차크림라떼 등도 맛볼 수 있다. 제천IC에서 가깝고, 인근에 의림지, 교동민화마을, 에콜리안제천CC가 있다.

호반식당

호반식당

10.9 Km    0     2024-04-12

충청북도 제천시 의림대로 558

호반식당은 충청북도 제천시 모산동에 있다. 1998년 개업했으며, 외관과 인테리어가 깔끔한 분위기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곤드레밥과 청국장을 한꺼번에 즐길 수 있는 곤드레 정식이다. 음식을 주문하면 계절 따라 달라지는 10여 가지 반찬이 함께 나온다. 칼칼한 뒷맛이 일품인 청국장, 직접 담은 된장으로 만든 된장찌개, 국내산 콩으로 빚은 두부를 콩기름에 살짝 데친 두부구이도 별미다. 이 밖에 파전, 냉콩국수 등도 판다. 제천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의림지, 교동민화마을, 에콜리안제천 CC가 있다.

영월종교미술박물관

10.9 Km    4     2023-07-01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북면 시루산길 122-2

종교미술박물관은 프랑스, 독일, 로마의 목공방에서 도제시절부터 평생을 이어져온 최바오로 작가의 역장인 성화와 성상조각작품을 감상 할 수 있는 곳이다. 전시관 2동에는 직접 성서를 기반으로 제작한 100여점의 주 전시작품이 전시되어 있고, 수장고에는 약 600여점의 작품들이 시기적으로 교체되면서 전시되고 있다. 전시실은 야외전시, 1동, 2동으로 이루어져있다. 야외전시에서는 박물관 입구에 전시된 십자가에 못박힌 예수상은 부산비엔날레에 출품했던 작품이다. 예수상의 크기가 3m가 넘는 국대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이어서 1동은 성서를 기반으로 한 작품이 전시되어 있고, 2동에는 불교와 힌두교 등의 동서양 종교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또한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사이버전시관을 통해서도 이러한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다. 다양한 종교, 그리고 그와 관련된 많은 작품들을 한곳에서 만나볼 수 있는 종교미술 관련 전시관이다. (출처 : 강원도청)

영월 장릉(단종) [유네스코 세계유산]

10.9 Km    65149     2024-04-04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단종로 190

장릉은 조선 제6대 임금인 단종의 능으로 단종은 숙부인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청령포에 유배되었다가 17세에 죽임을 당하여, 그 주검이 동강에 버려졌던 비운의 왕이다. 후환이 두려워 아무도 돌보는 이 없는데 영월호장 엄흥도가 그 시신을 거두어 지금의 장릉에 모셨으며, 이후 숙종 때인 1698년에 이르러 단종이 왕으로 복위되고 왕릉으로 정비되면서 묘호를 단종, 능호를 장릉이라 하였다. 장릉 입구에는 단종역사관이 있어 단종과 관련된 역사적 문헌이나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고 단종과 장릉에 관한 역사적 사실들을 알 수 있다. 장릉에는 병풍석과 난간석을 세우지 않았으며, 석물 또한 단출하다. 묘가 조성된 언덕 아래쪽에는 단종을 위해 순절한 충신을 비롯한 264인의 위패를 모신 배식단사, 단종의 시신을 수습한 엄흥도의 정려비, 묘를 찾아낸 박충원의 행적을 새긴 낙촌기적비, 정자각, 홍살문, 재실, 정자 등이 있다. 왕릉에 사당, 정려비, 기적비 등이 있는 곳은 장릉뿐인데 이는 모두 어린 나이에 왕권을 빼앗기고 안타까운 죽음을 당한 단종과 관련된 것들이다. 장릉 주위의 소나무는 모두 능을 향하여 절을 하듯 굽어있어 보는 이로 하여금 경이로움을 자아내게 한다. 매년 4월 마지막 주말에 단종문화제가 성대하게 거행되며, 특히 조선시대 국장 재현행사는 1천 명이 넘는 인원과 49종 275식의 도구가 동원되어 장엄하게 재현된다. 2009년 6월 30일 장릉을 포함한 조선왕릉 40기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