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 청풍 금남루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제천 청풍 금남루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제천 청풍 금남루

14.0 Km    4800     2023-12-06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청풍호로 2048

제천의 청풍문화재단지 내에 있는 관아 건축물이다. 조선 순조 25년(1825)에 부사 조길원이 세운 관청의 정문으로 고종 7년(1870)에 고쳐 지었다고 한다. 본래 제원군 청풍면 읍리 청풍 초등학교의 교문으로 사용되어 오다가 충주댐 건설로 인하여 수몰하게 되자 한벽루, 금병헌, 응청각 등의 관아 건물과 함께 원래의 배치 모습으로 청풍문화재단지 안으로 옮겨졌다. 앞면 3칸, 옆면 2칸의 2층 건물로 팔작지붕집이다. 1층은 관청으로 들어가는 3개의 문으로 있다. 가운데 문은 부사가 출입했고 양쪽 문은 평민이 출입했다고 한다. 2층에는 난간을 둘렀으며 사방이 탁 트여있다. 멀리 있는 적의 동정을 살피는 망루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금남루에 있는 [도호부절제아문(都護府節制衙門)]이라는 현판은 건물을 세울 당시에 부사 조길원이 썼다고 한다. 다른 관아 건물과 함께 원래의 배치 모습으로 복원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특히 제천 청풍 금남루는 관청의 정문이라는 상징성과 조선 후기의 양식적 특징이 잘 표현된 지방 아문이라는 건축사적 의의가 크다.

제천 청풍 금병헌

14.0 Km    16786     2023-12-06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청풍호로 2048

제천 청풍문화재단지 내에 있는 조선시대 관아 건축물이다. 조선시대 청풍부의 동헌으로 부사가 집무하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본래 청풍면 읍리에 있던 건물이었으나 충주댐 건설로 인한 수몰로 지금의 자리로 이전 복원하였다. 숙종 7년(1681)에 부사 오도일이 창건하였으며 그 후에도 여러 번 개축한 기록이 있다. 건물 내부에 청풍관이라는 현판이 있다. 건물은 2단의 기단 위에 세운 정면 6칸, 측면 3칸 규모이다. 전면 1칸은 마루를 깔고 뒤쪽으로 방이 있으며 왼쪽 2칸은 마루에 난간을 둘러 마치 누각처럼 꾸몄다. 청풍 지역의 관아 건축 중 유일하게 단청을 하지 않은 건물이다. 관아 건물과 함께 원래의 배치 모습으로 복원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특히 제천 청풍 금병헌은 옛 청풍부의 중심 건물로서의 상징성과 조선 후기의 소박하고 단아한 건축 양식적 특징이 잘 표현된 지방 관아라는 건축사적 의의가 크다.

청풍 후산리 고가

14.0 Km    16764     2023-12-13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청풍호로 2048

청풍 후산리 고가는 청풍문화재 단지 안에 있는 전통가옥이다. 1985년 충주댐 건설로 청풍면 일대가 수몰되게 되자 청풍면 후산리에 있던 옛 가옥을 옮겨온 것이다. 수몰 전에는 사람이 거주했으나 지금은 청풍문화재 단지에서 옛 향수를 느낄 수 있는 곳으로 사랑받고 있다. 현재 ㄱ자 모양의 안채만 남아있지만 일반적인 예로 보아 안마당 앞에 사랑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건넌방 쪽 지붕의 옆면이 여덟 팔(八) 자 모양인 팔작지붕이고, 부엌 쪽은 사람 인(人)자 모양인 간결한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어 오래된 양식을 보여준다. 가옥의 보존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주위로는 막돌 담장을 둘렀고, 가옥의 동쪽 뒤편 담장 앞에는 단칸 규모에 이엉을 얹은 아담한 광이 자리 잡고 있다. 집 안에는 수몰 전에 사용하던 가재도구 및 농기구를 전시하여 당시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다. 제천 후산리 고가는 평면 형식, 가구 형식 등에서 농촌 지역의 부농 주거로서의 전통적인 건축 형태를 잘 간직하고 있다. 중부지방의 보편적인 민가 양식을 찾아볼 수 있으며 특히 안방 뒤에 수납공간인 윗방과 대청 한구석에 상제례를 위한 상청을 둔 특징이 있다.

제천 청풍향교

14.0 Km    5128     2023-12-08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청풍호로 2048

제천 청풍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설립된 고려·조선시대의 국립 지방 교육기관이다. 이곳은 고려 충숙왕 때 처음 지었다고 하는데, 원래 물태리에 있던 것을 정조 3년에 교리로 옮겼다가 충주댐 건설로 인하여 현재의 위치로 다시 옮겨졌다. 지금은 대성전과 명륜당, 동재와 서재, 내삼문 등이 남아있다. 청풍 문화재 단지 내 청풍 망월 산성 남쪽 언덕 아래에 있으며 이전한 장소의 지형에 맞추어 남서향으로 3단으로 조성되었다. 건물의 배치는 교육 공간이 앞에, 제사 공간이 뒤에 배치된 전학후묘의 형식을 하고 있다. 학생들이 모여 공부하는 강당인 명륜당을 중심으로 좌우에 학생들의 생활 공간인 동재와 서재가 교육 공간을 이루고 있다. 뒤쪽으로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대성전과 동무·서무가 있어 제사 공간을 이루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서적·노비 등을 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이 남아있다. 청풍 문화재 단지를 관람하며 둘러보기 좋은 곳이다.

제천 청풍 한벽루

14.0 Km    18898     2023-12-06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청풍호로 2048

청풍문화재 단지 안에 있는 누각으로 사료적 가치가 큰 건축물이다. 조선시대 3대 익랑 누각 중 하나로 현존하는 건축물 중 유일한 양식이고 현판은 우암 송시열의 친필이다. 고려 충숙왕 4년(1317) 당시 청풍 출신 승려인 청공이 왕사가 되었다. 청풍현이 군으로 승격되어, 이를 기념하기 위해 객사의 동쪽에 한벽루를 세웠다. 구조는 앞면 4칸, 옆면 3칸의 2층 누각과 앞면 3칸, 옆면 1칸의 계단식 익랑 건물이 이어져 있다. 건물 안에 송시열, 김수증의 편액과 김정희의 [청풍 한벽루]라고 쓴 현판이 있었다고 하는데 현재는 남아있지 않다. 본채 옆으로 작은 부속채가 딸려 있는 조선시대 누각 건물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밀양 영남루, 남원 광한루와 함께 본채 옆으로 작은 부속채가 딸려 있는 조선시대 누각 건물의 대표적인 예이며, 세 건물 가운데 가장 간결하고 단아한 외관을 갖추고 있다. 1872년 대홍수로 망가진 것을 1875년 원래대로 복원하였다. 그러나 1985년 충주댐 건설로 이 지역이 수몰되면서 청풍문화재단지로 이전 및 복원하였다.

박달재옛길캠핑장

박달재옛길캠핑장

14.2 Km    1     2023-09-15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원박길 245

박달재옛길캠핑장은 충북 제천시 봉양읍에 있다. 제천시청을 기점으로 약 19㎞ 거리이며, 자동차로 내토로와 북부로를 차례로 이어 달려서 도착까지 걸리는 시간은 20분가량이다. 이곳은 고즈넉한 농촌 길을 달리다 보면 나타나는데, 아무것도 없을 것 같은 시골길을 달리다 갑자기 나타나는 요새 같은 캠핑장을 마주하면 경이로움을 느끼게 된다. 캠핑장은 3개 구역에 걸쳐 파쇄석과 데크로 이뤄진 일반야영장 34면을 마련했다. 사이트 크기와 개수는 가로 7m 세로 5m 12면, 가로 5m 세로 5m 22면이다. 각 사이트에서 개별 화로대와 전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개인 트레일러와 카라반 동반이 가능하다. 이 캠핑장은 한국농어촌공사와 도농 교류 협력사업의 일환으로 발달 장애인 자립을 위한 봉사 활동이 이뤄지는 곳이기도 하다.

산들바람

산들바람

14.4 Km    1798     2023-07-02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남면 별방창원로 1423
033-372-1589

2016년 12월 강원랜드 주최 맛집 왕중왕전 우수상과 식품의약품안전처장상을 수상하였다. 2차선 국도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자체 주차장이 넓어 이용이 편리하다.

산노리캠핑장

산노리캠핑장

14.4 Km    2     2023-07-01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신림면 재사동길 50

원주시 신림면 황둔리 감악산 계곡과 어우러진 자연속에 캠핑장이다. 숲으로 둘러싸여 주변이 조용하고 맑은 계곡은 황둔지역 여러 캠핑장중 상류에 위치하여 수질이 좋다. 워터슬라이드, 물놀이장, 트램펄린, 작은 도서관 등 아이들이 마음껏 즐길 수 있는 놀이시설을 갖추고 있다.

시네마360

시네마360

14.4 Km    1     2024-04-24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 산6-29 제천청풍호반케이블카 2층

시네마360은 360도 가득한 초고화질 영상과 사운드가 어우러져 새로운 세계와 경험을 선물하는 풀스크린 영상관이다. VR기기 없이도 입체적인 체험할 수 있는 새로운방식의 VR체험이며, 영상관을 가로지르는 6M 높이의 투명한 유리다리 위에 서서 새롭고 가슴뛰는 체험을 할 수 있다. 제천을 소개하는 테마의 '공중산책' 그리고 도도새와 함께하는 대자연 여행의 테마의 '다시, 지구' 두 가지 테마의 영상을 15분간 상영한다.

청풍호반케이블카

청풍호반케이블카

14.4 Km    4     2024-03-18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문화재길 166

청풍호반 케이블카는 제천의 명소, 청풍호반의 아름다운 경치를 감상할 수 있는 곳으로 청풍면 물태리에서 비봉산 정상까지 2.3km 구간을 왕복 운행한다. 평균 5m/s의 운행 속도로 2.3km의 거리를 약 10분 만에 비봉산 꼭대기에 도달하며 비봉산 정상에 봉황새가 알을 품고 있다가 먹이를 구하려고 비상하는 모습과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청풍호 중앙에 위치한 해발 531m의 명산으로 정상에서 바라보는 풍경은 흡사 다도해를 보는 듯한 빼어난 풍광을 가지고 있으며, 국내 최초로 정상까지 케이블카가 운행되어 어린이나 노약자분들도 편안하게 케이블카를 타고 청풍호의 비경을 즐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