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천막국수 본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용천막국수 본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용천막국수 본점

용천막국수 본점

14.9 Km    2     2023-10-30

충청북도 제천시 의병대로 165

용천막국수 본점은 제천에서 유명한 맛집이다. 대표 메뉴는 직접 만든 면, 육수, 양념으로 요리한 물 막국수다. 이 밖에 비빔 막국수, 수육, 방울만두를 맛볼 수 있다. 이곳 주방장은 국가 공인 한식, 양식, 중식, 일식 조리사 면허를 소지하고 있어 믿음직하다. 게다가 이 음식점은 제천시 등에서 지정한 착한가격업소다. 이유는 가격을 보면 알아챌 수 있다.

제천빨간오뎅

제천빨간오뎅

14.9 Km    1     2023-05-15

충청북도 제천시 의병대로18길 2
043-643-6395

제천 중앙시장 내에 자리한 유명 맛집이다. 다른 지역의 ‘빨간 오뎅’이 얼큰한 국물에 담긴 것을 뜻한다면 제천 ‘빨간 오뎅’은 새빨간 떡볶이 국물에 담겨 있다. 두 겹의 얇은 어묵에 걸쭉한 떡볶이 양념이 골고루 배어 마지막 한 입까지 맛있게 즐길 수 있다. 가격도 저렴해서 나무 꼬치에 끼워진 어묵 3개를 종이컵에 담아내는 게 단돈 천 원이다. 어린 시절 학교 앞에서 사 먹던 컵 떡볶이의 추억까지 불러일으킨다. 함께 꼬치에 끼워서 파는 가래떡을 주문하면 보다 풍부한 식감을 즐길 수 있다. 이곳에선 ‘빨간 오뎅’ 외에도 매콤한 양념과 잘 어울리는 다양한 튀김류도 판매하고 있다

엽연초하우스[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엽연초하우스[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14.9 Km    6     2023-06-10

충청북도 제천시 의병대로12길 8
043-920-2217

엽연초하우스는 충북 제천 시내에 위치한 게스트하우스로, 접근성이 좋고 가성비가 높은 숙소다. 1층은 카페고 2층은 침실, 온실 등 총 8개의 객실로 구성되어 있다. 방마다 개별 욕실과 화장실을 갖춰 편의성을 높였고, 취사는 불가하지만 1층 카페에서 조식을 제공한다. 단, 유튜브에서 엽연초하우스를 구독한 경우에는 무료다. 건물 앞에 넓은 공원이 있고 옆에는 근대 문화 향기가 물씬 풍기는 제천 엽연초 수납 취급소와 제천 엽연초 생산조합 구사옥이 자리한다.

제천 엽연초수납 취급소

제천 엽연초수납 취급소

15.0 Km    4845     2023-04-10

충청북도 제천시 의병대로12길 14-1

제천시내에 있는 근대 건축물이다. 수납장과 저장 창고를 헐고 일식 단층 목구조 형식으로 지은 건물이다. 형태는 ㄱ자형태로 엽연초 수납 작업을 할 있도록 하치장, 배열장, 경작자 대기실, 계산실, 감정실, 현품 대조실, 갱장장 순으로 공간이 구성되어 있다. 당시 엽연초 생산과정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특히 감정실에는 엽연초를 감정하기 위한 원형 레일과 갱장장 바닥에 물을 담아놓는 습도조절장치 등 당시의 시설이 잘 보관돼 있다. 가까운 곳의 명소로는 제천향교와 제천시민회관 등이 있다.

용하구곡

용하구곡

15.0 Km    31463     2024-04-24

충청북도 제천시 덕산면 억수리
043-653-3250

용하구곡은 월악산 주봉인 월악영봉의 남쪽에 있는 만수봉과 동남쪽 문수봉 사이에 있는 계곡이다. 용하수는 경북 문경시와 경계를 이루는 대미산에서 발원되어 수렴선대, 곡강서대, 활래담, 수룡담, 선미대, 청벽대, 관폭대를 이루어 내고, 만수봉에서 발원되는 계류에서 수문동 폭포, 수곡 용담 등 명소를 차례로 빚어낸다. 천연림과 이끼가 끼지 않는 맑은 물과 바위가 잘 어우러져 절경을 이루고, 여름에 계곡에 들면 시원함이 뼛속까지 스미고, 가을엔 온몸이 단풍으로 물들어 신선이 된 듯하다. 대미산, 문수봉, 하설산, 매주막 등 1,000~1,100m 급 준봉들이 호위하듯 둘러서 있는 용하구곡은 송계계곡과 달리 개발이 되지 않아 자연 그대로를 만끽할 수 있다. 용하구곡은 한말의 심리 철학자인 의당 박세화(1834~1910)와 그의 제자들이 주자의 무이구곡을 본떠 이곳 용하동의 경치가 좋은 아홉 곳을 택해 붙인 이름으로 굽이마다 주자의 무이도가를 한 수씩 바위에 새겨 놓았다고 한다.

악어봉

15.0 Km    0     2024-05-09

충청북도 충주시 살미면 신당리

악어봉은 정상에서 충주호를 내려다보면 호수에 맞닿아 있는 산자락들의 모습이 마치 악어떼가 물속으로 기어 들어가는 형상과 같다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월악산 자락은 ‘악어섬’이라 불리고, 이를 관망할 수 있는 곳을 ‘악어봉’이라 한다. 악어봉은 작은 악어봉(448m)과 큰 악어봉(559m)으로 나누어지는데 이곳에서 내려다보는 충주호 경관이 장관이다. 악어봉은 야생생물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허가 없이 오르는 건 불법이었으나, 현재 정식 탐방로를 나무데크길로 조성해 놓았다. 악어봉은 야생생물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허가 없이 오르는 건 불법이었으나, 많은 사람들의 방문으로 현재는 정식 탐방로를 조성해 놓았다.

고원갈비

15.0 Km    28842     2024-02-27

충청북도 제천시 의병대로15길 5
043-647-4242

고원갈비는 제천시 의병대로 도시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교통이 편리하여 누구나 쉽게 찾을 수 있는 곳이다. 제천 명동고기로는 제천시가 개발한 골목브랜드로 9개의 고깃집이 있으며 그중 고원갈비는 특히 한우 숯불고기가 맛있다고 소문난 집이다. 한옥을 개조하여 만든 가게는 고즈넉함을 느낄 수 있고 방이 준비되어 있어 손님을 대접하기 좋고 프라이빗하게 식사를 즐길 수 있다. 2002년부터 운영하고 있으며 고풍스러운 인테리어가 고향 집을 찾은 듯한 느낌을 준다. 한우 고관대작은 1+이상의 등급을 받은 것만 구매하여 준비하고 있고 돼지고기는 숯 사료를 먹인 국내산 돼지고기로 준비하고 있다. 이곳의 주메뉴는 고관대작, 양념 왕갈비, 한우 육회, 돼지갈비 등이며 식사 메뉴는 냉면, 해장국, 설렁탕이 있다.

신라, 한강 유역에 진출해 성을 쌓고 비를 세우다

15.0 Km    853     2023-08-10

단양의 남한강 물길 따라 역사여행을 떠난다. 신라는 죽령을 넘어 고구려 영토인 적성을 차지한 후 성을 쌓고, 백성들을 안정시키기 위해 적성비를 세웠다. 신라의 한강 유역 진출의 신호탄이다. 인근 수양개선사유적전시관에는 충주댐 건설로 수몰된 지역에서 발견된 후기 구석기시대의 유물이 전시되어 있어 구석기인들의 생활상을 볼 수 있다.

제천 중앙시장

제천 중앙시장

15.0 Km    15215     2023-02-22

충청북도 제천시 풍양로 108
043-647-2047

1989년도에 신축된 초현대식 건물로서 제천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고 태백상권의 중심역활을 하고 있고 중앙선, 태백선, 충북선의 철도 분기점이며 중앙고속도로의 개통으로 전국 어디서나 한나절만에 올 수 있는 교통의 중심지이다.

* 1953. 8.30 - 재래식 시장 개설승인(공설시장)
* 1980.11.13 - 사단법인 허가(충북지사)
* 1989. 6.14 - 중앙시장 현대화건축 준공

단양 적성

단양 적성

15.0 Km    52277     2024-05-24

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 하방리 산3-1

단양적성은 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 하방리 성재산 정상에 있는 돌로 쌓아 만든 산성이다. 단양적성은 석축성으로 성의 길이가 923m이지만 대부분 붕괴되었고 북동쪽 내외 부분의 안쪽 벽 높이 2~3m, 폭 1m의 석축이 일부만 남아 있다. 성재산 봉우리와 남쪽 비탈을 빙 둘러쌓은 테뫼식 산성이며 성문 자리는 남서쪽, 동쪽, 남동쪽 등 세 곳에서 발견되었다. 산성의 주변에는 남한강의 상류 방면과 하류 방면으로 각각 고대 교통로가 나 있으며, 동서쪽으로도 길이 트여 있다. 남한강 수로를 다라 영월과 충주 방면으로 진출이 용이하고, 강 건너 제천 방면으로 진출하기에도 유리한 교통의 요충지에 있는 산성이다. 적성에서 단양신라적성비가 발견되었는데, 이 비는 적성의 성격이나 목적, 연대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비의 건립 연대는 늦어도 551년 이전으로 보인다. 따라서 적성은 6세기 중엽 이전에 신라가 남한강 상류방면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로 활용하고자 쌓은 중요한 전략적 가치를 지닌 성으로 평가된다. 단양적성은 삼국 시대의 산성으로는 비교적 큰 규모에 속하며 신라와 고구려 세력관계 변동을 알아보는 데 큰 의미를 가진다. 또한 축성 방법이 매우 견고하게 되어 있어, 신라의 축성술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