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4Km 2024-12-10
경상북도 문경시 농암면 궁터길 181
궁터별무리마을은 후백제 시대 견훤이 궁궐을 짓고 군병을 훈련하던 곳이라 하여 불리게 된 궁기리와 둔덕산, 연엽산 등으로 둘러싸인 연천리 두 개의 마을을 합쳐 별무리 마을이라 한다. 마을의 입구인 연천리의 말바우길에서 궁기리의 궁터길까지 하나의 길로 연결되어 있고 밤하늘에 별무리가 보이는 청정지역이다. 궁터별무리마을에서는 궁터별무리산촌생태마을과 연계하여 고추 따기, 콩 수확하기 등의 영농체험과 더불어 두부 만들기 등의 체험 그리고 계곡 물놀이, 산나물 채취 등의 자연생태체험도 함께 즐길 수 있다. 한옥흙집, 궁펜션(통나무집), 견훤 문화회관이라는 숙박시설을 갖추고 있어 깨끗하고 편안한 휴식을 즐길 수 있으며 주민이 직접 채취하고 재배한 콩, 고사나, 취나물, 달래순 등 청정자연 특산물도 구입할 수 있다.
16.5Km 2025-08-05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금남리
1998년 천연기념물 제400호로 지정되어 있는 예천 황목근은 나이가 500년 정도 된 것으로 추정되는 아주 오래된 팽나무이다. 나무의 높이는 12.7m, 줄기 둘레는 5.75m이다. 금원마을을 지켜주는 수호목이자 당산나무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매년 정월 대보름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마을 공동 재산의 토지를 황목근 앞으로 등기 이전하여 국내에서 가장 많은 토지를 보유한 담세목(세금을 많이 내는 나무)이라 한다. 황목근의 이름 유래는 5월에 나무 전체가 누런 꽃을 피운다 하여 황 씨 성을, 근본 있는 나무라는 뜻을 따 목근을 붙였다고 전한다.
16.6Km 2025-03-06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회상리 759-4
학 전망대는 경북 상주시 중동면에 자리 잡고 있다. 높이 11.9m의 전망대는 공모를 통해 설계됐으며 전체적으로 학 모양을 형상화했다. 상주 보에서 경천대까지 4~5㎞의 풍경을 파노라마처럼 바라볼 수 있으며 난간이 유리로 돼 있어 아찔함에서 오는 스릴도 맛볼 수 있다. 전망대 앞까지 차로 이동이 가능해 어린이나 부모님을 동반한 여행을 할 수 있고 낙동강 주변의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경천 섬, 드라마 상도 촬영지와 노악산, 천봉산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산 중턱에 위치해 있어 자연스러운 산책을 즐기기에도 좋다.
16.7Km 2024-11-10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외무길 30-24
이 서원은 전원발(全元發)을 봉향하기 위해 위패를 모시고 1701년(숙종 27)에 건립하였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해 오다가 1869년(고종 6)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서원이 훼철되었고 1918년 중건되었다가 1968년 복원되었다. 서원은 소천마을 북서쪽 금천변 산 밑에 자리 잡고 있다. 건물은 외삼문, 강당, 내삼문, 사당이 동일축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강당인 전교당(典敎堂)은 정면 4칸, 측면 1칸 반의 팔작지붕 기와집이고, 사당은 숭덕사(崇德祠)이며 정면 3칸, 측면 1칸 반의 맞배지붕 기와집이다. 그 이외에 소천서원과 관련된 소천재(蘇川齋)와 청원정(淸遠亭) 등의 건물이 주변에 위치하고 있다. 소천재는 재실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이고, 청원정은 정자건물로 경관이 뛰어나다.
16.8Km 2024-12-04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오상리
청룡사는 경상북도 비봉산 중턱에 있는 작은 사찰로 대한불교법화종에 소속되어 있다. 1674년(현종14)에 창건되었다고 전해지며, 중창과 관련된 기록은 인근 도남서원에 보관되어 있다. 사찰은 주 전각인 극락전과 산신각·요사·종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극락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 건물로 단청이 되어 있지 않다. 내부에는 목조보살상이 2층 누각의 화려한 보궁 안에 모셔져 있는데 높은 보관을 쓰고 한 손에 보주를 든 채 금칠한 사자상 위의 연화대좌에 앉아 있는 형태로 일제강점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목조보살상 왼쪽 불단에는 경주 옥석으로 제작했다는 높이 40cm의 지장보살좌상이 있다. 머리에 모자를 쓴 이른바 피모지장에 천의를 걸친 양식으로 보아 처음 조성했을 때에는 한 손에 지팡이를 잡고, 다른 손에 보주를 들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극락전 앞으로는 지름 130cm가 넘는 석조 좌대 1점과 이와 비슷한 크기의 맷돌 1점이 있는데 이 유물들은 오래 전에 청룡사가 많은 대중들의 수행처였음을 짐작하게 해준다. 200m거리에 낙동강을 조망할 수 있는 청룡사전망대가 있으며 낙동강 문학관쪽 회상나루 관광지에 주차하고 청룡사까지는 1.5km로 왕복 1시간 소요된다.
16.8Km 2025-07-23
경상북도 상주시 외남면 곶감공원길 59-12
상주곶감공원은 산책과 함께 벽화 그림들과 동화 속 이야기를 즐길 수 있는 공원이다. 호랑이보다 더 무서운 곶감 창작 동화를 주테마로 공원을 조성하였으며, 곶감의 본향 상주의 역사성과 정통성, 우수성을 홍보하고 있다. 상주곶감에 대한 테마가 있는 다양한 볼거리와 체험거리가 있는 학습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상주곶감공원 내에 있는 감락원에는 호랑이보다 더 무서운 곶감을 테마로 한 체험관과 전시관이 있으며, 곶감이나 호랑이가 나온 동화 이야기들을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쉽게 풀어냈다. 이외에도 상주 곶감의 유래와 곶감의 생성과정, 곶감의 종류를 한눈에 볼 수 있다.
16.8Km 2023-08-14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 산 8
문장대오토캠핑장은 경북 상주시 화북면에 자리하고 있다. 상주시청을 기점으로 41㎞ 거리로 도착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자동차로 50분 안팎이다. 고즈넉한 시골길을 달리면 도착하는데, 청량감 가득한 숲 속에 자리한 덕분에 자연친화적인 캠핑을 만끽할 수 있다. 캠핑장에는 자동차 야영장 28면, 카라반 3대를 마련했다. 자동차 야영장의 바닥은 마사토와 데크로 나뉜다. 전기 사용 시 전기요, 장판, 전등 이외 전기히터나 그릴, 난로, 밥솥 등의 전열기구는 사용할 수 없다. 과도한 전기 사용이 시설 전체에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카라반 객실 내부에는 침대, 개수대, 화장실, 샤워실, 취사도구, 에어컨 등을 비치했다. 캠핑장 가까이 법주사, 속리산국립공원, 장각폭포 등 돌아볼 곳도 많다.
16.9Km 2025-07-31
경상북도 상주시 화령남6길 17
성수식당은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에 자리 잡고 있다. 음식점 상호는 일반 식당 느낌이지만 중화요릿집이다. SBS 시사 교양 프로그램 <생활의 달인>, <생방송 투데이>에 소개되었다. 대표 메뉴는 자극적인 맛으로 유명한 짬뽕이다. 이 밖에 탕수육, 짜장면, 간짜장, 짬뽕밥, 볶음밥, 잡채밥 등을 판다. 화서IC에서 가깝고 세계문화유산 법주사가 있다.
16.9Km 2025-01-07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용궁로 77
054-652-0522
돼지막창은 다른 창자에 비해 두툼하면서도 부드러운데, 전국에 유명한 순대나 순대전문점들이 많이 있지만 이런 돼지막창으로 순대를 만드는 집은 그리 많지 않다. 그래서 그 희소성으로 이곳을 찾는 이가 많은데, 찹쌀, 부추, 당면, 청양고추 등 18가지 재료가 들어간 구수한 막창순대 한 점 입에 넣으면 두툼해 보이던 그 두께는 새우젓 향과 함께 부드럽게 무너지고, 씹힐 때마다 꾹꾹 잘리는 연한 질감 사이로 달착지근한 맛이 배어 나오는 것이 참으로 일품이다. 신선한 국산 막창의 힘을 보여주는 곳이라 할 수 있겠다.
17.0Km 2025-07-23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판곡1길 37
조선시대 학자 김우태와 김시태를 배향하기 위해 1783년(정조 7년) 공성면 도곡리에 도안서당으로 창건되었다. 이후 인근 산현리로 옮겨 세우며 도안사로 바꾸었고, 1870년(고종 7년)에 서원훼철령에 의해 훼철되었다. 100여 년간 복원되지 못하다가 후손 김규호 씨의 의해 1999년에 복원추진위원회가 결성되고, 이듬해인 2000년에 청도 김 씨 집성촌인 화동면 판곡리 원통산 아래에 자리를 잡아 강당과 묘우를 새로 지어 복원하였다. 묘우와 강당은 일자형으로 좌묘우학 형태이며, 강당 앞에는 서원중건비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