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4Km 2025-03-10
충청북도 영동군 양강면 괴목1길 13-5
영동 김참판댁은 17세기 후기에 건축되었다고 전해온다. 이 집은 현재 안채와 별당형식의 안사랑채만이 남아있다. 또한 안채는 18세기 중엽, 안사랑채는 훨씬 뒤인 19세기 중엽에 지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무성한 팽나무 숲을 뒤로하고 안채가 자리하며 그 앞쪽으로 안사랑채가 직각으로 위치하는데, 담장을 앞뒤 좌우로 빙 돌려서 딴 공간으로 구분하며 쪽대문을 설치해서 사랑마당과 연결 지었다. 안채는 사대부 집에서 흔히 쓰는 ‘ㄷ’자형 구조로 부엌, 안방, 대청을 일직선으로 배열하는 남도방식을 취하고 있다. 양 옆의 날개 부분에는 부엌 옆으로 뜰아랫방이, 대청 옆으로 찬방과 윗방, 아랫방이 있다. 찬방은 조금 특이한 공간으로 안방 뒤의 골방에 만들기도 하는데 모두 대청에 곁들여 배치된다. 주기능은 음식을 보관하고 분배하는 곳으로 이용되며, 이밖에도 물건을 보관하거나 여름철 안사람의 휴식공간으로 이용하는 등 여러 용도로 쓰이는 장소이다. 안방부터 오른쪽 날개 부분의 아랫방까지 앞과 뒤 모두 툇마루를 놓아 연결되고 있다. 특이한 것은 양 옆 날개 부분의 지붕인데 왼쪽 부분의 지붕은 옆면이 사람 인(人) 자 모양의 맞배지붕이고, 오른쪽은 여덟 팔(八) 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좌우를 대칭시키지 않은 구조가 흥미롭다. 안사랑채는 안에서 사용한 사랑채란 뜻으로, 안채 맞은편에 댓돌만 남아 흔적을 전하는 사랑채와 다르게 돌아 앉은 것이 특이하다. 역시 남도 방식을 보이며 대청, 웃방, 안방, 부엌, 모퉁이방이 배열된 ‘一’자형 집으로, 모두 툇마루와 쪽마루가 있어 동선이 연결이 된다. 전체적으로 건축장식기법이 우수한 건물이다. ※ 위 국가유산은 일반적으로 관람이 가능하나, 소유주 등의 개인적 사정으로 관람이 제한될 수도 있음
16.6Km 2024-07-10
충청북도 영동군 상촌면 물한계곡로 1212
맑은누리 캠핑장은 충북 영동군 상촌면에 있다. 영동군청을 기점으로 약 32㎞가량 떨어졌으며, 자동차를 타고 난계로, 민주지산로, 물한계곡로를 차례로 거치면 닿는다. 도착까지 걸리는 시간은 50분 안팎이다. 이곳은 영동의 대표 관광지 가운데 하나인 물한계곡에 있다. 여름철이면 계곡에서 물놀이를 즐기는 캠퍼들이 많다. 캠핑장에 심은 나무가 천연 그늘을 드리워 따가운 햇살도 두렵지 않다. 파쇄석 6면과 데크 14면으로 이뤄진 일반 야영장 20면을 갖췄다. 사이트 크기는 파쇄석과 데크가 각각 가로 4m 세로 7m와 가로 2.6m 세로 3.6m이다. 개인 트레일러와 카라반 동반 입장이 가능하며, 캠핑장 주변에 물한계곡, 민주지산 등이 있어 연계 관광이 용이하다. 물한계곡 인근에 여러 음식점이 있다.
16.7Km 2025-06-26
충청북도 영동군 상촌면 물한6길 8-1
물한계곡 소나무 펜션 캠핑장은 충북 영동군 상촌면에 있다. 영동군청을 기점으로 약 33km 거리에 있으며, 자동차를 타고 난계로, 민주지산로, 물한계곡로를 차례로 거쳐 도착하는데 소요시간은 약 50분가량이다. 이곳은 계곡물이 시원하게 흐르는 물한계곡 옆에 있어서 한여름 캠핑을 하면서 계곡 물놀이를 즐길 수 있다. 캠핑장에는 바닥면이 자갈로 이뤄진 일반 야영장 6면을 마련했다. 사이트 크기는 가로 4m 세로 5m이며, 사이트 간격이 넓어 여유롭게 캠핑을 즐길 수 있다. 개인 트레일러와 카라반 입장이 가능하고 화로대, 전기, 무선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반려견은 소형견에 한 해 동반 입장할 수 있다. 캠핑장 인근에는 민주지산 자연휴양림, 영동 화수루 등 여행지가 많아 연계 관광이 손쉽다. 주변에 시골 토종닭 백숙 닭볶음탕을 맛볼 수 있는 식당도 있다.
16.7Km 2025-07-02
경상북도 김천시 교동택지5길 2 (교동)
교동 연화지는 경상북도 김천시 교동에 위치한 저수지로 조선 시대 초에 농업용수 관개지로 조성되었던 곳으로, 물이 맑고 경관이 좋아 풍류객들이 못 가운데 섬을 만들고 봉황대라는 정자를 지어 시를 읊고 술잔을 기울이며 노닐던 곳이다. 연화지는 벚꽃이 아름다운 곳으로 유명하며, 따스한 봄바람을 맞으며 산책하기가 좋다. 아이들이 있는 가족단위 관광객과 연인들에게도 인기만점인 곳으로, 야간에는 조명이 켜져 낮과는 다른 매력을 자랑하는 곳이기도 하다. 저수지를 따라 산책하기 좋게 조성되어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찾는 휴식공간이다.
16.8Km 2024-02-07
경상북도 김천시 대학로 98
호박해물칼국수는 경북 김천시 교동에 자리 잡고 있다. 대표 메뉴는 칼국수다. 홍합과 굴로 육수를 내고 부추를 넣어 향을 더했다. 이 밖에 군만두, 통만두, 만둣국, 열무막국수, 열무냉면 등을 판다. 특히 고기를 듬뿍 넣고 튀긴 군만두는 칼국수와 곁들여 먹기 좋다. 김천IC와 가깝고, 인근에 연화지가 있어 연계 관광이 수월하다.
16.8Km 2025-07-09
경상북도 김천시 김산향교1길 2-19
조선 중기까지는 지방민의 교화와 자제들의 중등교육을 담당하였으나 근대에 이르러 향교 재산의 대부분은 학교조합에 이관되었다. 광복 후에는 성균관대학교 설립과 경상북도 유림회의 사업기금으로 수십 두락의 전답을 희사하고 나머지는 토지개혁으로 없어졌다. 1973년 현경길(玄慶吉)이 전교(典校)로 취임하여 6년에 걸쳐서 사재와 보조금으로 명륜당 등을 중수했다. 김산향교에서는 훈도(訓導)가 교육을 담당했다. 사대부의 자제는 대개 7, 8세 이전에 마을의 서당에서 한문의 기초를 배우고 15∼16세 정도 되면 향교에서 중등교육을 받았다. 유생의 수용 인원은 50명 정도로, 동서 양재에 기숙하였으며, 매일 출석을 기록하여 300일 이상 숙식해야만 과거 시험에 응시할 자격을 얻었다. 과거 시험은 매우 까다로워 보통 수년에 걸쳐 소과에 응시하게 되며, 좀처럼 합격이 어려웠다. 소과에 합격하면 생원·진사의 호칭을 얻고 성균관에 입학할 자격을 얻게 되어 대과(大科)에 응시할 수 있었다. 경내에는 문묘(文廟)인 대성전과 강학공간인 명륜당, 기숙사인 동재(東齋)와 서재(西齋)가 있으며 한국 유현을 모시는 동무와 서무가 있다가 없어졌다. 일제 강점기 이후에는 교육기관으로서의 기능이 상실된 채 향사만 행해졌다. 1985년부터는 여름방학을 이용하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충효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16.9Km 2025-03-14
경상북도 김천시 강변공원길 169
강변공원은 김천을 대표하는 산책로이자 휴식 공간이다. 이곳은 20,000㎡의 면적에 주차장, 놀이마당, 다목적광장, 배드민턴장 등 각종 편의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김천 시민들로부터 기증받은 수목류와 돌을 이용해 조경 시설을 만들었다. 강변공원은 가을철에 접어들면 핑크뮬리가 장관을 이룬다. 이 덕분에 김천 시민은 물론 전국 각지에서 찾아온 관광객으로 인산인해를 이룬다.
16.9Km 2024-06-28
경상북도 김천시 구화산길 64-7
구화산바베큐는 경북 김천시 교동에 자리 잡았다. 김천시청을 기점으로 4km가량 떨어졌다. 자동차를 타고 부거리길과 구읍길을 번갈아 달리면 닿는다. 도착까지 걸리는 시간은 10분 안팎이다. 도심과 가까운 숲속에 위치한 캠핑 바비큐장이다. 이곳에는 글램핑 형태의 텐트, 테이블, 캠핑의자, 취사도구 등이 갖춰진 15면의 사이트가 마련돼 있다. 매점에서 육류 등 먹을거리를 구입해 직접 구워먹으면 된다. 수영장 등의 부대시설도 완비되어 있어 여름철 물놀이를 즐기기 좋다. 주변에는 직지사가 있어 연계 여행이 손쉽다. ※ 반려동물 동반 불가
17.0Km 2024-02-14
경상북도 김천시 영남대로 1398
연하루 뼈대짬뽕은 경상북도 김천시 부곡동에 있는 중식당이다. TV 프로그램에 소개된 맛집으로 대표 메뉴는 뼈대 짬뽕이다. 진하게 우려낸 국물에 국내산 암퇘지 등뼈를 올려 마치 푸짐한 감자탕을 먹는 기분이다. 뼈대짬뽕 외에도 고기짬뽕, 사골짬뽕, 뼈대고기짬뽕 등 다양한 짬뽕류가 있고 짜장류와 탕수육도 있다. 공깃밥은 셀프로 무료 제공한다. 입식과 좌식 테이블이 있어 취향대로 골라 앉을 수 있다.
17.2Km 2025-04-25
충청북도 영동군 상촌면
충청북도 영동, 경상북도 김천, 전라북도 무주의 3도에 걸쳐있는 삼도봉과 북으로 석기봉, 민주지산, 각호산 등 해발 1,100~1,200m의 고산들이 병풍처럼 둘러싸여 깊은 골을 만들었는데 이곳이 바로 물한계곡이다. 물이 하도 차가워서 한천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마을 상류에서부터 시작해 무려 20㎞나 물줄기를 이어간다. 태고의 신비를 그대로 보존하고 있으며, 황룡사에서부터 용소에 이르는 구간이 가장 아름답다. 여름이면 물한계곡은 많은 피서객이 찾아와 인산인해를 이룬다. 또, 민주지산, 삼도봉, 각호산은 사철 등산 애호가들이 즐겨 찾는 곳으로 정상을 잇는 능선에는 각종 잡목과 진달래, 철쭉 등이 자리 잡고 있어 어느 계절이든 장관을 이룬다. 물한리 종점에서 삼도봉을 향하다 보면 옥소폭포, 의용골폭포, 음주암폭포 등이 있고 장군바위를 비롯해 많은 소와 숲이 어우러져 더욱 시원하고 아름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