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Km 2024-09-24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상판리
속리산 법주사로 가는 길 한가운데 서 있는 속리의 정이품송은 나이가 약 600년 이상으로 추정되는 소나무로 높이는 15m, 가슴둘레 4.5m, 가지의 길이는 동쪽 10.3m, 서쪽 9.6m, 북쪽 10m이며 총면적은 1158.3㎡에 이른다. 벼슬품계인 정 2품을 받은 나무로 속리산의 상징으로 널리 알려졌다. 이 소나무가 정이품송이라는 이름을 얻게 된 데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세조 10년(1464)에 왕이 법주사로 행차할 때 타고 있던 가마가 이 소나무 아래를 지나게 되었는데, 가지가 아래로 처져 있어 가마가 가지에 걸리게 되었다. 이에 세조가 "가마가 걸린다"고 말하니 소나무가 자신의 가지를 위로 들어 왕이 무사히 지나가도록 하였다 한다. 또 세조가 이곳을 지나다가 이 나무 아래에서 비를 피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세조는 이 소나무의 충정을 기리기 위하여 정2품(현재의 장관급) 벼슬을 내렸고, 이 소나무를 정이품소나무라 부르게 되었다. 이 소나무는 살아오는 동안 각종 재해를 입었는데, 특히 1980년대 초 솔잎혹파리의 피해 때문에 많은 비용을 들여 대규모 방충망을 설치하기도 했다. 이 소나무는 원래 삿갓 또는 우산을 편 모양으로 단정하고 아름다운 모습이었는데, 1993년 강풍으로 서쪽 큰 가지가 부러져 그 모습이 많이 상하였다. 하지만 전체적인 나무의 모양이 매우 아름다우며, 크고 오래된 나무여서 생물학 및 생물유전자원으로서의 가치가 매우 크고, 임금을 섬기는 그 시대상을 잘 전해주는 전설을 가지고 있는 등 문화적인 가치 또한 크기 때문에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5.9Km 2025-04-30
충청북도 보은군 법주사로 84 속리산국립공원관리사무소
속리산국립공원은 속리산과 화양, 선유, 쌍곡 등 3개의 계곡을 합쳐 국립공원을 이루고 있다. 속리산은 기암 절경이 빼어난 산으로 한국 8경 중 하나로 꼽히며, 태백산맥에서 남서 방향으로 뻗어 나오는 소백산맥줄기 가운데 위치하여 충북 보은군, 괴산군, 경북 상주시의 경계에 있는 산이다. 해발 1,058m인 속리산은 화강암을 기반으로 변성 퇴적암이 섞여 있어 화강암 부분은 날카롭게 솟아오르고 변성 퇴적암 부분은 깊게 파여 있다. 높고 깊은 봉우리와 계곡은 가히 절경을 이루고 있어 광명산, 미지산, 소금강산으로 불리기도 한다. 기암 절경이 워낙 아름다워 신라 때 고운 최치원 선생은 속리산을 찾아보고 ‘바르고 참된 도는 사람을 멀리하지 않는데 사람은 그 도를 멀리하려 들고, 산은 속과 떨어지지 않는데 속이 산과 떨어졌다.’라는 시를 읊을 정도였다. 또한 속리산의 장점은 우리나라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어 전국 어디에나 교통이 편리하다는 것이다. 1990년 11월 5일부터는 지정된 취사, 야영장 이외의 장소에서는 야영이나 취사를 할 수 없게 되었다. 등산코스는 산불예방 및 자연휴식년제로 인해 통제되는 구간이 있으므로 자세한 사항은 공원관리사무소로 문의해야 한다. 우리나라 대사찰 중의 하나인 법주사를 중심으로 하여 동북쪽으로 주봉인 천황봉을 비롯 입석대, 문장대, 경업대 등 1,000m가 넘는 봉우리와 깊은 계곡이 이룬 절경, 그리고 산속의 수많은 고적들과 천연기념물들이 이곳을 등산과 관광의 명소로 만든다. 봄에는 산벚꽃, 여름에는 푸른 소나무, 특히 가을철에는 만산홍엽의 단풍이 극치를 이루며, 법주사의 고풍이 더욱 매력을 느끼게 한다.
6.0Km 2025-03-12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이평리
043-540-3392
보은 벚꽃길 축제는 보은읍 보청천 벚꽃길 일원에서 펼쳐지는 축제로 '보은 벚꽃버스킹', '버블&마술쇼', '풍선쇼', 등 다양한 문화예술공연이 펼쳐지며,소풍의 계절에 온가족이 함께 즐기는 벚꽃 피크닉 존과 풍성한 체험프로그램, '벚꽃 야행 걷기', '벚꽃길 자전거 문화축전', '한마음 벚꽃길 치매 걷기 행사' 등 보청천 벚꽃길 따라 다양한 연계프로그램을 진행하여 관광객들에게 많은 볼거리, 즐길거리를 선사할 예정이다.
6.1Km 2025-03-19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상판리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천연기념물인 정이품송 맞은편에 조성된 연꽃단지이다. 연꽃의 계절이 되면 백련과 수련, 가시연꽃, 물양귀비 등 아름다운 연꽃이 장관을 이룬다. 편안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관찰로 가 조성되어 있다. 어린이를 위한 교육 장소 및 가족 단위 피크닉 장소로 적합하다. 주변에는 속리산 국립공원, 법주사, 솔향공원과 예쁜 카페들도 있고, 주차장도 이용할 수 있다.
6.1Km 2024-07-02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로 995-35 야영장시설
오렌지캠프는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중판리에 자리 잡았다. 보은군청을 기점으로 10km가량 떨어졌다. 자동차를 타고 동학로와 속리산로를 번갈아 달리면 닿는다. 도착까지 걸리는 시간은 10분 안팎이다. 캠핑장은 깔끔함이 돋보이며, 탁 트인 주변 풍경이 좋다. 파쇄석으로 이뤄진 오토캠핑 사이트 11면이 마련돼 있다. 5면은 가로 6m 세로 9m, 6면은 가로 6m 세로 7m다. 부대시설로는 셀프 커피바, 트렘펄린, 연못 등이 있다. 주변에는 속리산말티재자연휴양림이 있다. ※ 반려견 동반 불가능
6.2Km 2024-06-27
충청북도 보은군 뱃들로 57 보은옥천영동축협
보은옥천영동축협 한우이야기는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이평리에 있다. KBS 2TV 시사 교양 프로그램 생생 정보통에 소개된 바 있다. 깔끔한 외관과 차분한 인테리어가 돋보인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에 좋다. 대표 메뉴는 구이용 한우의 다양한 부위를 맛볼 수 있는 한우 스페셜이다. 가족 세트와 한우 한 마리도 인기다. 이 밖에 육사시미, 육회, 생불고기전골, 육회비빔밥, 내장탕, 소머리곰탕 등을 판다. 보은IC에서 가깝고, 주변에 속리산말티재자연휴양림과 세계문화유산인 법주사가 있다.
6.2Km 2025-03-13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동편길 35
043-544-3895
1979년 문을 열어 40년 넘게 전통을 이어온 메밀냉면 전문점이다. 메밀의 본고장이라 할 수 있는 강원도 봉평 메밀을 구해 직접 내린 면발과 맑은 동치미 국물로 간을 맞춰 시원한 한우 양지 육수가 만나 시원, 깔끔하고 담백한 맛을 내는 여름 별미다. 식감이 부드럽고 맛이 자극적이지 않아 어린아이부터 노인까지 먹기 좋다. 밑반찬으로 나오는 톡 쏘는 맛의 여수 돌산 갓김치와 무절임을 얹어 먹으면 맛이 일품이다. 보은시외버스터미널, 보은전통시장과 가까우며 보은먹자골목 초입에 있어 찾기 쉽다.
6.3Km 2024-07-10
충청북도 보은군 삼산남로 7-1 상가
혜성정육점식당은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삼산리에 있다. TV조선 시사 교양 프로그램 식객 허영만의 백반기행에 소개된 곳으로 깔끔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외관과 예스러운 느낌의 인테리어로 이루어졌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재료 선별 하나에도 정성을 들여 음식을 만드는 이곳의 대표 메뉴는 생삼겹살이며, 돼지갈비도 인기가 많다. 소고기는 한우육회, 한우등심 등을 판다. 이 밖에 내장찌개, 설렁탕 등 여러 가지 음식이 준비되어 있다. 보은IC에서 가깝고, 주변에 속리산말티재자연휴양림과 보은 펀 파크 체험공원이 있다.
6.3Km 2024-07-11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뱃들로 54
043-540-3392
2017년도에 이어 3회연속 충북 농특산물 판매활성화 최우수축제로 선정된 보은대추축제는, 임금님께 진상하였던 명품 보은 대추와 보은의 청정한 자연에서 자란 우수한 품질의 농특산물을 온라인장터 및 생대추 주문 콜센터를 통해 쉽게 받아볼 수 있으며, 대추 및 농특산물 판매, 개폐막식 등 공연프로그램, 다양한 체험활동 등을 즐길 수 있다.
6.3Km 2024-12-09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뱃들로 54
1961년 사설 보은문화원으로 시작된 보은문화원은 이후 1994년 특별법인 보은문화원으로 창립되었으며, 1995년 문화관광부로부터 지역문화학교로 지정되며 오늘날에 이르게 되었다. 보은문화원은 지역 문화 발굴 및 계승을 위해 다양한 문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대표적인 문화사업으로는 정월대보름민속잔치, 탑돌이 시연 및 보존, 삼년산성 해맞이 사업과 같은 지역고유문화의 개발 및 전승 사업이 있으며, 속리산전국사진촬영대회, 오장환문학제, 보은동학제와 같은 문화 행사를 통해 지역 문화를 알리는 선봉작의 역할을 하고 있다. 그 외에도 보은의 역사문화 아카데미와 오장환신인문학상 공모, 오장환 디카시 신인문학상 공모전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서예, 민화, 기타, 드럼, 풍물 등 다양한 프로그램의 문화학교를 개설하여 지역 주민의 문화 향유를 도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