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인삼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금산인삼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금산인삼관

금산인삼관

15.9 Km    3203     2023-12-05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인삼광장로 30

고려 인삼에 대한 모든 것이 한 곳에

고려(금산) 인삼의 우수성을 국내·외에 널리 알리고자 인삼 재배, 기구, 모형, 효능, 음식, 인삼류, 제품류 등을 전시하고 각종 영상시설물이 설치되어 있다. 인삼에 관한 모든 정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인삼 종합전시관이다.

반딧불레저

반딧불레저

16.0 Km    21397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부남면 무금로 693

반딧불 레저는 맑은 물이 흐르는 무주 구천동 계곡을 가로지르는 쾌감의 휴양지이다. 무주리조트 근교에 위치한 무주반딧불 레저는 단지 내 중간부에 위치하고 있어 주변 편의시설(편의점, 식당가, 노래방, 주점 등)을 이용하기에 보다 유리하고 편리하다. 래프팅, 서바이벌, 모터바이크(A.T.V), 패러글라이딩, 스키/보드 등 레저도 즐길 수 있다.

탑선리석탑

탑선리석탑

16.0 Km    21126     2023-12-07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탑선길 36

탑선리석탑은 탑선부락에 있는 고려시대의 3층석탑으로, 높이는 약 220cm이며 금산 중심가에 위치해 있다. 과거 탑 주변에 사찰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현재로선 알 길이 없다. 탑의 규모에 비해 기단이 높은 편이며, 각층의 몸돌과 지붕돌이 약간 훼손된 상태이다. 받침돌과 지붕돌이 반전된 모양으로 미루어 고려시대에 세워진 탑으로 추정되나, 오랜 세월이 지나 허물어져 있던 것을 박장하씨가 바로 세우고 철조망을 가설하여 보존에 힘쓰고 있다. 1993년에는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금산국제인삼시장

금산국제인삼시장

16.1 Km    21516     2023-08-03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인삼약초로 45

1986년 개설된 상가건물형의 중형시장으로 주 취급 품목은 인삼과 약초이다. 전국 인삼 생산과 유통량의 80%를 차지하는 인삼의 집산지로 약 190여 개 점포가 밀집해 있다. 금산을 찾는 많은 관광객들을 거리 어디에서나 쉽게 만날 수 있다.

태권도공원 전망대

태권도공원 전망대

16.2 Km    32432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설천면 무설로 1482

태권도원은 경기, 체험, 수련, 교육, 연구, 교류 등 태권도에 관련된 모든 것이 가능한 복합 공간이다. 이곳에서 운영하는 태권도공원 전망대는 국립태권도원 옆 백운산에 자리 잡고 있으며 태권도원과 백운산의 파노라마 뷰를 즐길 수 있다. 해발 560m의 백운산까지 모노레일을 운영하며 산 정상에는 카페가 있는 3층의 전망대가 있어 태권도원과 백운산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태권도원에는 태권도 박물관, T1 공연장과 경기장, 숙박시설, 식당, 태권도 체험관, 전통 정원 등이 갖춰져 한곳에서 관람과 숙박, 체험, 휴식을 할 수 있다.

국립태권도원

국립태권도원

16.2 Km    33394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설천면 무설로 1482

태권도원은 태권도를 향한 신체 단련과 끊임없는 탐구를 통해 태권도형 인간에 이르는 ‘위대한 체(體)·인(認)·지(至)’의 실천 공간으로 태권도 교육과 수련, 체험과 문화교류를 테마로 45가지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국내·외 태권도인은 물론 기업, 학생, 일반인 등 태권도를 통한 심신수련을 원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태권도원의 평원관은 국가대표 종합훈련장으로 태권도 품새 국가대표 및 주니어 국가대표, 국가대표 상비군, 시범단 등의 훈련을 평원관에서 진행한다.

금산원조 김정이삼계탕

금산원조 김정이삼계탕

16.2 Km    6081     2023-06-05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인삼약초로 33
041-752-2678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에 위치한 금산원조 김정이삼계탕은 금산 인삼과 각종 한약재를 활용해 만든 보양식 삼계탕 전문점이다. 원조삼계탕 메뉴 말고도 다양한 종류의 삼계탕을 선보이고 있다.

금산인삼약령시장

금산인삼약령시장

16.3 Km    23202     2024-06-17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인삼약초로 24

금산인삼약령시장은 충남 금산군 중심가에 있는 인삼시장이다. 금산은 고려인삼의 종주지로서 전국 생산량의 80%가 거래되는 인삼시장이다. 또한 인삼과 함께 전국 약령시장으로도 발돋움하고 있다. 금산인삼약초시장 내에는 전통적으로 열려온 재래시장과 금산인삼국제시장, 금산수삼센터, 금산인삼호텔 쇼핑센터, 금산약초백화점 등이 있다. 타 지역에 비해 각종 인삼류 및 약초 등을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다. 특히 매달 2, 7, 12, 17, 22, 27일에 열리는 오일장인 금산금빛시장장날엔 새벽부터 전국 각지에서 상인과 소비자들이 몰려온다. 인삼시장 주변에는 한약업도 크게 발전하여 유명한 한약방도 적지 않다. 한약을 달옂는 서비스업소가 읍내 곳곳에 자리하고 있으며 민속약 등 건강식품이 몰려있다. 금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 차로 약 5분, 도보로 20분 거리에 있어 방문하기 편리하다.

금산 칠백의총

16.3 Km    23939     2024-06-05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의총길 50

칠백의총은 충남 금산군 소재지 북쪽에 위치한 묘지이다. 임진왜란 발발 직후인 1592년(선조 25) 8월에 조헌과 영규대사의 지휘 아래 왜군과 싸우다 순절한 의병 700인의 묘이다. 조헌의 제자 박정량과 전승업은 싸움이 있은 4일 후 칠백의사의 유해를 한 무덤에 모시고 칠백의총이라 했다. 그 후 1603년(선조 36)에 ‘중봉 조헌선생 일군순의비’를 세우고 1647년(인조 25) 사당을 건립하여 칠백의사의 위패를 모셨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이 시설을 파괴한 후 칠백의총의 토지를 강제로 팔아 황폐하게 만들어, 항일유적을 말살하였다. 광복 후 1952년에 군민들이 성금을 모아 의총과 사당을 다시 지었고 1970년에 묘역을 확장한 후 사당과 비석을 새로 지었으며, 1976년에는 기념관을 신축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1963년 사적으로 지정되었으며, 일부 유물은 보물로 지정되었다. 매년 9월 23일 15시에 제향 행사를 거행한다.

한국의 명약, 인삼을 즐기다

한국의 명약, 인삼을 즐기다

16.3 Km    2463     2023-08-08

금산은 인삼의 고장이다. 질 좋은 인삼을 비교하며 구매할 수 있는 금산인삼약초시장을 둘러보고 인삼 향이 진하게 우러난 삼계탕도 맛보자. 금산홍도인삼마을은 직접 인삼을 캐보고 병에 담는 체험을 할 수 있는 마을이다. 인삼을 이용한 다양한 음식도 맛 볼 수 있다. 임진왜란 당시 1만5천 왜군에 맞서 싸우다 전사한 700명의 의병이 묻힌 칠백의총도 함께 돌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