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7Km 2025-01-15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사운로 233
청주본가본점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운천동에 있다. 깔끔함이 돋보이는 외관과 예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갈빗대 4개를 넣은 왕갈비탕이다. 이 밖에 육개장, 돼지갈비, 특갈비탕, 항아리특탕, 생불고기정식, 냉면 등을 판다. 오전 8시에 문을 열기 때문에 여행길에 들러 아침 식사를 하기 좋다. 서청주IC에서 가깝고, 인근에 청주고인쇄박물관, 청주랜드 동물원, 국립청주박물관이 있다.
11.7Km 2025-06-13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주성1길 9-1
기린은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주성리에 있다. 깔끔한 외관과 차분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진하게 우린 소고기 육수에 큼직하게 썬 소고기 고명을 올려 먹는 우육탕면이다. 상하이냉면, 북경오리, 황제짬뽕, 어향동고, 비펑탕 소프트 크랩 등과 코스요리도 준비되어 있다.
11.7Km 2025-06-23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1순환로 418
백로식당 본점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신봉동에 있다. 1976년 서울에서 문을 열었고, 1978년 청주로 이전해 지금까지 영업하고 있다. 외관과 인테리어는 깔끔한 분위기이며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10여 가지 한약재로 만든 양념으로 맛을 낸 한방 양념불고기다. 이 밖에 난타를 연상시키는 박자와 빠른 손놀림으로 만든 원조 땡밥과 치즈 땡밥이 준비되어 있다. 서청주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청주고인쇄박물관, 청주랜드 동물원, 국립청주박물관이 있다.
11.7Km 2025-03-26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무심서로 565
용화사는 청주 무심천변에 자리한 통일신라시대의 사찰이다. 선덕여왕 때 은점선사가 처음 지었으며, 조선 인조 6년에 화재로 소실된 것을 영조 18년(1752) 벽담선사가 다시 짓고 용화사라 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경내에는 보광전을 비롯하여 명부전, 용화전, 탐진당, 적묵당, 해월루 등 목조건물과 불사리 4 사자 법륜탑, 효봉스님 사리탑이 있다. 불사리 4 사자 법륜탑은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드문 고대 아쇼카 양식의 원주 석탑으로, 진신사리 7 과가 봉안되어 있다. 산내 암자로는 고려 태조 26년(943) 도솔선사가 세웠다는 도솔암, 조선 숙종 7년(1681) 청안선사가 세웠다는 관음암이 있다. 용화사에는 1902년 고종의 비인 순빈 엄 씨가 명하여 발견했다는 칠존의 석불이 안치되어 있으며, 상당산성 안에 있던 보국사를 옮겨 이 절을 지었다는 얘기도 전해진다. 이곳은 일반 사찰과 달리 시내 가운데에 있어 누구나 편히 방문할 수 있으며, 템플스테이를 운영하고 있어 편안한 마음으로 절에서 묵으며 몸과 마음을 정화하는 시간을 가지기 좋다. 봄에는 사찰 주위의 무심천에서 벚꽃축제가 열린다.
11.8Km 2025-05-07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탑동로32번길 17-6 (탑동)
탑동 양관은 20세기 초 그리스도교 선교사들이 지은 건물로 선교사 주택, 성경학교, 병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청주에 서양식 건물이 세워지기 시작한 것은 1904년 선교사 밀러가 청주에 온 이후부터이다. 이때부터 땅을 사기 시작해서 각각 다른 시기에 여섯 동의 건물을 지었다. 지하실은 주로 돌을 사용해 외벽을 쌓았으며, 여섯 동의 건물 중 한 건물의 주춧돌은 개신교 선교자들이 있던 청주감옥의 벽에서 가져다 사용했다고 한다. 기록에 의하면 양관 부지 내에서 기와와 벽돌을 굽기 위한 질 좋은 점토가 발견됐고, 이를 채취해 벽돌을 굽는 데에 50명 이상의 인원을 고용했다. 당시 우리나라에서 만들지 못했던 유리, 스팀보일러, 벽난로, 수세식 변기, 철물류와 같은 수입자재가 많이 사용된 건물이다. 한식과 양식을 혼합한 건물로, 지어진 연대에 따라 서로 다른 건축적 특징을 나타내며, 전통건축에서 근대건축으로 넘어가던 시기의 과도기적 건축양식을 보이고 있다.
11.8Km 2025-03-11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무심천자전거길 550 (사직동)
무심천은 청주를 동과 서로 가르며 남에서 북으로 흐르는 하천이다. 매년 봄이 오면 무심천에 조성된 무심천 체육공원을 중심으로 벚꽃 거리가 형성된다. 이 덕분에 나들이를 나온 사람들로 축제 분위기가 연출된다. 벚꽃 외에도 강가에는 메밀, 밀, 목화, 유채꽃 등 한국 고유 수종이 사계절 만발한다. 또한 시원한 수경분수, 인라인스케이트장, 자전거 전용도로, 산책로 등 시민편의시설과 체육시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