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조연산할머니순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원조연산할머니순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원조연산할머니순대

원조연산할머니순대

15.3Km    2025-04-22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황산벌로 1525

연산할머니순대(논산)는 논산시 연산시장 인근에 위치한 순대 전문점이다. 토종의 맛을 고집하며 100년 넘게 4대째 이어오는 역사 깊은 곳이다. 돼지 사골국물을 우려낸 육수를 국물로 이용하고 있으며 당면과 두부를 넣은 보통 순대와는 달리 순수한 돼지 피와 파만을 이용하여 손으로 직접 만든다. 선지를 넣은 순대와 다양한 부위의 내장을 뽀얀 국물에 말아내는 순대국밥이 이곳의 대표 메뉴이다. 인근에는 연산시장, 연산역 외에 백제군사박물관, 탑정저수지, 개태사 등이 있다.

송강전통시장(송강재래시장)

15.3Km    2024-05-23

대전광역시 유성구 구즉로 74-7

송강전통시장은 북대전 IC에서 2.5km 가량 떨어져 있다. 지난 2010년 정비를 하면서 천장 아케이드를 설치했다. 덕분에 날씨와 상관없이 장 보기가 가능하다. 대전에 자리 잡은 시장 가운데 가장 작은 규모이긴 하지만 과일, 채소, 생선, 반찬, 의류 등 60여 개 상점의 취급 품목이 다양하다. 인근에는 금강로하스 대청공원, 대청호 오백 리 길 1구간 등이 있어 연계 관광에 나서기 좋다.

마음수련 메인센터(마음수련 논산 메인센터)

마음수련 메인센터(마음수련 논산 메인센터)

15.4Km    2024-06-04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상월로 749-23

마음수련 메인 센터는 충남 논산시 상월면에 자리 잡고 있다. 명상을 통해 자신을 돌아보는 시간을 가지며 여러 이로움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센터 입소는 매주 수요일, 토요일에 가능하다. 마음수련 명상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은 최소 1주일 이상 입소해야 메인 센터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센터에서는 개인 차량이나 대중교통의 이용이 여의치 않은 사람들을 위해 차량을 운행하고 있다.

카페 로벨리아

카페 로벨리아

15.4Km    2025-06-10

충청남도 금산군 태고사로 422

카페 로벨리아는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두지리에 있다. 이국적인 외관과 세련된 내부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널찍한 야외 공간은 반려동물과 함께 이용할 수 있다. 카페 전망대는 포토존으로 인기다. 대표 메뉴는 아메리카노다. 이 밖에 에스프레소, 카페라테, 초코라테, 자몽 에이드, 수제 레몬차 등을 맛볼 수 있다. 계룡 IC와 양촌(하이패스)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에든버러 CC가 있다.

대청호 벚꽃길

대청호 벚꽃길

15.4Km    2025-05-09

대전광역시 동구 신상동
042-251-6683

대전 동구는 세상에서 가장 긴 벚꽃길(26.6㎞)로 유명세를 타고 있는 ‘회인선 벚꽃길’을 구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오동선 대청호 벚꽃길’로 명칭을 변경했다. 대청호 양옆으로 길게 펼쳐진 벚꽃길. 아름다운 벚꽃, 금강의 수려한 경관을 함께 느낄 수 있다. 특히 충북 보은군 회인면에서 시작해 대전시 산성동까지 이어지는 벚꽃길은 무려 26.6㎞ 로 국내 최장 길이를 자랑한다.

공주 계룡산 중악단

15.5Km    2025-07-21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신원사동길 1

1394년(조선 태조 3년)에 창건한 신원사(新元寺)의 산신각이다. 산신은 원래 산하대지(山河大地)의 국토를 수호하는 신이며 산신제는 민족정기의 고양과 모든 백성의 합일(合一) 및 번영을 기원하던 팔관회(八關會)를 후에 기우제, 산신제라 부르게 된 것이다. 제단의 명칭은 계룡산 신 제단이라는 뜻에서 계룡단(鷄龍壇)이라고 하였으나 고종 때 묘향산과 지리산 산신각을 각각 상악단(上嶽壇)과 하악단(下嶽壇)이라 하고 두 산의 사이에 있는 계룡산 산신각을 중악단(中嶽壇)이라 하였다. 1651년(효종 2년)에 철거되었다가 1879년(고종 16년)에 명성황후가 다시 건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궁궐 양식을 그대로 축소하여 만든 건물의 안에는 산신도(山神圖)가 모셔져 있다. 산신제는 예부터 내려온 산악신앙인 바, 현재 상악단과 하악단은 소실되었고 이 제단만 유일하게 남아있다. * 백제 시절의 고찰, 신원사 * 신원사(新元寺)는 동학사 갑사와 함께 계룡산 3대 사찰로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에 소재한다. 이 절은 백제 의자왕 11년(651)에 보덕화상이란 고승이 창건하고 그 뒤에 여러 번의 중창을 거쳐 1876년 보련 화상이 고쳐 짓고 1946년 만허 화상이 보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의 신원사는 임진왜란 때 소실된 후 현재의 위치로 옮긴 것으로 전해지며 원래의 건물지는 신원사와 중악단 남쪽에 전개된 넓은 밭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곳은 금당지를 중심으로 신원사의 원건물지가 있을 것으로 믿어지나 조사의 결여로 자세하지 않다. 그러나 이 금당지로 믿어지는 지역을 중심으로 오층의 석탑이 세워져 있어 이곳이 본래의 사역이었음을 쉽게 알게 한다.

신원사

15.5Km    2025-07-21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신원사동길 1

신원사는 계룡산국립공원 남서쪽 자락에 위치한 사찰이다. 동학사, 갑사와 함께 계룡산 3대 사찰로 불린다. 백제 의자왕 11년(651)에 창건되어 여러 번의 중건을 거쳤으며 1876년, 1946년에 보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의 신원사는 임진왜란 때 소실된 후 위치를 옮긴 것으로 전해지며 원래의 건물터는 신원사와 중악단 남쪽에 있는 넓은 밭으로 추정된다. 오랜 역사를 자랑하며 국보로 지정된 노사나불 괘불탱을 소장하고 있으며 대웅전, 중악단, 5층석탑, 소림원 석고미륵여래입상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백골산성

15.5Km    2024-06-05

대전광역시 동구 산하동

백골산성은 대전 동구 대청호 동쪽 백골산(346m)에 있는 삼국시대 산성이다. 백골산 정상부에 테뫼식으로 쌓은 석축산성으로, 면적은 4,343㎡이고, 둘레는 약 400m이다. 이곳은 백제의 전략거점인 계족산성과 동쪽으로는 충북 옥천군에 있었던 신라의 성인 관산성과의 사이에 있어 축성 당시 전략적 요충지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1991년 7월 10일에 대전광역시의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백골산성은 삼국시대 백제와 신라의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곳으로 유명하며, 정상에서 바라본 풍경은 마치 바다 풍경과 같다고 하여 ‘내륙의 다도해’라 불러지고 있다. 초입에서 약 2시간 정도를 걸어 정상에 올라가면 소나무 한 그루를 만날 수 있으며, 그 자리에 펼쳐지는 풍경이 아름답다. 인근 관광지로는 대청호 벚꽃길, 김정 선생 묘소 일원 등이 있다.

황토집사람들

황토집사람들

15.6Km    2025-06-10

충청남도 금산군 태고사로 444 황토집사람들

황토집사람들은 대둔산 태고사로 올라가는 입구에 자리하고 있는 한식당이다. 맛집으로 알려진 지 오래라 금산뿐 아니라 근교인 대전, 논산 등에서도 많은 사람이 찾아온다. 대표메뉴인 청국장 돌솥밥정식을 주문하면 구수한 청국장찌개에 손두부, 생선구이, 전, 무침 등 17가지 반찬과 돌솥밥이 제공된다. 취향에 따라 돌솥밥 없는 청국장 메뉴도 주문이 가능하다.

조헌사당(표충사)

조헌사당(표충사)

15.6Km    2025-03-16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수심대길 32

임진왜란 당시 금산성전투에서 순절한 중봉 조헌(重峰趙憲) 선생을 모신 부조사우이다. 부조사우란 나라에 큰 공훈이 있는 사람의 신주(神主)를 영구히 모시도록 조정(朝廷)에서 지정한 부조묘이다. 임진왜란 이전에 선생은 주로 옥천군 안읍 밤티(沃川郡安邑栗峙)에서 생활하였지만, 자주 이 지역에 왕래하면서 후손들에게 이곳에서 살 것을 분부하였다고 한다. 이 사우는 원래 1734년(영조 10년)에 곡남리 진동산에 창건되었으나 오랜 시간이 흘러 건물이 허물어지면서, 유림(儒林)과 후손들의 정성으로 현재의 위치에 다시 세웠다고 한다. 뒤편에는 선생이 이름을 짓고 우암 송시열(尤庵宋時烈)의 글씨로 알려진 수심대(水心臺)라고 새겨진 글자가 현재까지 보존되고 있다. <출처 : 금산군 문화관광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