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7Km 2025-03-13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
전북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에 있는 천주교 순교 성지이다. 이곳은 호남의 관문으로 일찍이 천주교가 전래되어 수많은 신앙 공동체와 순교자들을 배출하였다. 병인박해가 일어났을 당시에 금산, 진산, 고산에서 잡혀 온 신자들이 순교한 곳이며 기록상으로만 22명이 순교했다. ‘여산 순교 성지’라고 쓰인 대형 돌판이 있으며 그 안쪽으로 백지사 기념비가 서 있다. 순교자들의 무덤은 천호산 기슭 천호 공소 부근에 자리하고 있다. (출처 : 익산시 문화관광 홈페이지)
17.7Km 2025-03-18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 광명리
지당자연사박물관은 공주 탄천면 서쪽에 있는 사설 자연사박물관이다. 관장인 지당(地堂) 류육현(柳六鉉)이 35년 동안 수집한 수집품을 기반으로 2004년 8월 3일 개관했다. 소장품은 전 세계의 희귀하고 다양한 동물, 곤충(나비), 광물, 화석 등 약 25만 점이고, 관람 친화적인 운영을 위해 전시품을 개방된 형태로 전시하고 있다. 지상 2층 본관 건물과 연꽃식물원, 별관, 시청각실, 잉어연못 등을 갖추고 있다. 전시시설은 본관 1층에 있는 해양생물관·육상생물관(제1관), 2층의 나비곤충관·수석화석관(제2관), 제3관인 별관의 희귀 보석·공예품관으로 이루어진다. 2만 8000여 점에 이르는 나비 수집품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종류를 망라할 정도로 방대한 것이며, 박제된 벵골호랑이,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큰 35캐럿 루비, 국보급 도자기 등도 눈길을 끈다. 박물관 진입로에 있는 1만 5000㎡ 넓이의 연못에는 약 400종의 다양한 연꽃이 식재되어 있다.
17.7Km 2025-03-06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여산면 동헌길 13
이 건물은 3단의 계단식 건물 터 제일 상단부에 들어서 있는데, 조선시대 말기에 건축한 것으로 보인다. 벽과 방의 구조는 근래 일부 개조하여 본 모습은 잃었지만,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다. 특히 추녀와 대청마루에서 한식 목조 건물의 전형적인 아름다움이 잘 드러난다. 여산 동헌은 전국적으로 그리 많이 남아있지 않은, 옛 모습을 간직한 조선시대 지방관청 건물의 하나이다. 『여산 동헌 느티나무』전라북도 기념물 (2002.08.02)이 느티나무의 유래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정확한 내용은 알 수 없다. 다만 여산 동헌과 주변에 7주의 대형 느티나무가 집중 분포되어 있음에 따라 동헌의 설치와 어느 정도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할 뿐이다. 여산은 전주에 속해 있다가 공양왕 3년(1391) 감무를 두고 낭산과 공촌, 파제 두 부곡의 권농사까지 겸임하였고, 조선 태종 2년(1402)에 여산현이라 하고, 세종 18년(1436)에는 원경왕후의 외향이라 하여 군으로 승격되었다고 함으로 조선 태종대에서 세종대에 동헌이 설치되는 과정에서 식재되었을 것으로 보여 수령은 600년 정도로 추정된다. 나무의 휴고 둘레는 4.5m, 높이는 22m이다.
17.7Km 2024-10-31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여산면 동헌길 13
여산척화비는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여산동헌 뜰에 있다. 1866년 병인양요 이후 서양 제국이 개항을 요구하는 가운데 1871년 신미양요가 일어나자, 흥선대원군이 서양 제국에 대한 항전 의식을 고양하기 위하여 전국 여러 곳에 세운 석비 중 하나이다. 1882년 임오군란 이후 흥선대원군이 실각하자 일본공사관의 요구로 철거되었다가 1915년 여산초등학교 운동장에서 발굴되어 여산동헌으로 옮겨 세워졌다. 여산척화비의 뒤에는 여산군에서 선정을 베푼 역대 관리들의 선정비 8기가 서 있다. 여산척화비는 화강암의 단면 석비로, 규모는 높이 114㎝, 너비 46㎝, 두께 9㎝이며 정면에 비제를 겸한 비문이 있다. 서양 오랑캐가 침범하는데 싸우지 않으면 화해하는 것이니, 화해를 주장하는 것은 나라를 파는 것이라고 새겨져 있다. 척화비는 전국 각지에 건립되었으나 남아 있는 척화비는 여산척화비를 비롯해 10여 기로 문화재로서 가치가 있다.
17.8Km 2024-09-27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
백지사터는 여산 동헌에서 내려다보이는 곳으로 대원군 집정 때인 1866년 병인박해가 계속 진행되어 대학살이 감행되는 동안 천주교 신자들을 처형한 곳이다. 얼굴에 물을 뿜고 백지 붙이기를 여러 번 거듭하여 질식사시키는 방법으로 일명 ‘도모지사(塗貌紙死)’라고도 하며, 쇄국 정책의 분노와 증오에 양심과 신앙 자유가 질식한 곳이다. 옛 동헌 뜰에는 박해 사실을 증명하듯이 대원군의 척화비가 서 있다.
17.8Km 2024-07-17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경천면 용복리
불명산은 전라북도 완주군의 경천면과 운주면에 걸쳐 있으며 두 지역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산이다. 불명산은 부처 불에 밝을 명을 써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밝혀주는 산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불명산의 남쪽 산기슭에 화암사가 있다. 화암사라는 이름은 이곳의 반석 위에 하얀 모란꽃이 피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지며, 중창비에 따르면 통일신라 진덕여왕 3년(649)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는 고찰이다.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하앙식(처마 무게를 받치는 건축 부재를 하나 더 설치해 지렛대 원리로 일반 구조보다 처마를 더 길게 낼 수 있도록 한 것) 건축물인 완주 화암사 극락전이 국보로 지정되었으며, 공중누각식 건물인 화암사 우화루가 있다.
17.8Km 2024-06-17
대전광역시 서구 도안대로 37 한솔상가
설짬뽕은 대전광역시 서구 관저동에 있다. 현대적인 외관과 깔끔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대표 메뉴는 직화 짬뽕이다. 이 밖에 꼬막 짬뽕, 소고기 짬뽕, 짜장면, 군만두, 찹쌀탕수육 등이 준비되어 있다. 오후 9시에 마감하지만, 재료가 모두 소진되면 조기에 문을 닫기 때문에 방문 전 문의하는 게 좋다. 서대전IC에서 가깝고, 주변에 흑석유원지와 장태산자연휴양림이 있다.
17.8Km 2025-03-18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석성향교길 18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의 제사를 지내고 지역민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한 고려·조선시대의 국립 지방 교육기관이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1894년 갑오개혁으로 근대 교육이 본격화되면서 교육적 기능은 폐지되었다. 석성향교를 처음 지은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지만, 조선 전기에 세운 것으로 보인다.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인조 1년(1623)에 다시 세웠고 이후 여러 차례 보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건물은 공부하는 공간인 명륜당을 앞쪽에, 제사 공간인 대성전을 뒤쪽에 둔 전학후묘의 배치 형태를 보인다. 이외의 건물로 학생들의 기숙사로 쓰인 동재를 비롯하여 내삼문, 외삼문, 수직사 등이 있다. 석성향교 인근에는 부여 양송이 마을, 정각사(부여), 부여 산직리지석묘, 부여 능안골 고분군이 있다.
17.8Km 2024-07-31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경천면 요동길 41
0507-1362-8560
전라북도 완주에 위치한 공유한옥은 일상생활에서 벗어나 온전한 쉼을 찾고자 하는 여행객을 위해 독채로 운영되는 한옥게스트하우스다. 전통한옥이지만 트랜디한 인테리어로 감성을 더한 편안함을 선사한다. 내부는 방 3개, 거실, 화장실 2개, 주방으로 구성되어 있고, 야외에는 바베큐장이 있다. 커다란 욕조가 있어 반신욕이나 수영을 즐길 수 있다. 최대 8인까지 이용 가능한만큼 내부 공간이 널찍하고, 주차공간도 넉넉하다.
17.8Km 2025-06-26
대전광역시 서구 도안대로 47
정치망은 깨끗하고 신선한 100여 종의 활어 및 해산물을 저렴한 가격으로 맛볼 수 있는 활어회센터이다. 각종 생선회와 각종 초밥을 비롯하여 물회, 바지락볶음, 조개전골 등의 메뉴가 있으며, 수량한정으로 쭈꾸미 샤브샤브와 새조개 샤브샤브, 그리고 겨울 한정으로 제철 참숭어회 등도 맛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