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상도예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길상도예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길상도예

길상도예

10.2 Km    1     2023-12-11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1362-9 브니엘빌딩

BTS가 체험한 도예공방 '달려라 방탄'에서 BTS가 체험한 곳으로 아미들에게 유명한 도예공방이다. 지민은 뷔에게, 진은 정국에게, 뷔는 슈가에게 컵을 만들어주었다. 물레와 핸드빌딩으로 컵, 화병, 접시, 물병 등을 디자인하고 만들 수 있다. BTS 멤버들의 작품을 따라 만들어 보는 것도 재미있다.

양재 아트 살롱

양재 아트 살롱

10.2 Km    3     2024-04-23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
02-6952-6260

소상공인들과 작가, 지역주민, 방문객 모두가 함께 만드는 '양재아트살롱 season3 : 예술이 흐르는 토요마켓' 은 양재천 수변무대를 시작으로 영동1교 잔디 광장까지 다채로운 공연과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행사 프로그램은 버스킹 공연, 시민 노래방이 함께하는 '풍류가살롱', 고품질 수공예품을 판매하는 '공예가살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과 해치 아트 벌룬 포토존이 어우러진 '예술놀이터' 를 즐길 수 있다.

양재천 벚꽃 등(燈) 축제

양재천 벚꽃 등(燈) 축제

10.2 Km    6493     2024-04-22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
02-2155-8607

서초문화원(원장 박기현)은 오는 3월 29일(금)부터 31일(일)까지 영동 1교에서 영동 2교 구간의 양재천 벚꽃길에서 ‘양재천 벚꽃 등(燈) 축제’를 개최한다. ‘양재천 벚꽃 등(燈) 축제’는 제6회를 맞이하며 약 3만여 명의 국내외 상춘객이 찾아오는 서울 3대 벚꽃 축제로 자리매김 하였다.

29일(금) 오후 6시 30분부터 양재천 수변무대에서 개막식이 열린다. 개막식에서는 마에스트로 서희태의 지휘와 해설, 그리고 국내·외 최정상 오페라 가수가 함께 서초뮤직페스티벌을 준비했다. 축제의 하이라이트, 불새가 날아오르는 다채로운 퍼포먼스 불꽃쇼까지 선보이며 축제를 화려하게 마무리할 예정이다.

3월 29일(금)부터 3월 31일(일) 까지 3일간 벚꽃이 흐드러지는 벚꽃길에서 벚꽃아트 체험 프로그램, 푸드트럭, 에코 등(燈)터널 등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제공한다. 벚꽃을 테마로 벚꽃 가죽 공예, 종이 벚꽃 만들기, 에코 등(燈) 만들기 등 다양한 미술·공예 벚꽃 아트 체험 존을 마련하고, 다양한 벚꽃 소재 디저트도 판매할 예정이다. 벚꽃 시즌 먹거리 외에도 스테이크, 타코, 팟타이 등 즉석에서 조리되는 시그니처 메뉴를 푸드트럭에서 맛볼 수 있다.

30일(토) 오후 2시부터는 “한국판 태양의 서커스” <동춘서커스 초청공연>이 화려하게 개최된다. 동춘서커스는 1925년에 창단한 국내 유일의 서커스 공연이다.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마련된 동춘서커스는 고난도 아크로바틱 안무와 인간의 한계에 도전하는 곡예로 손에 땀을 쥐게 하는 퍼포먼스를 선사할 예정이다.

3월 29일(금)부터 4월 28일(일)까지 약 한 달여간 수변무대 주변 양재천을 문화예술 공간으로 꾸민다. 국·내외 미술계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유명 조각가들의 작품 약 20여점을 전시하여 시각 예술과 자연환경의 어울림과 함께 양재천에서 휴식과 예술향유를 함께 누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야외조각전은 양재천을 방문하는 방문객 누구나 관람할 수 있다.

[백년가게]장군숯불족발

[백년가게]장군숯불족발

10.2 Km    836     2023-03-21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43가길 27
02-941-5882

[중소벤처기업부 2018년도 '백년가게'로 선정] 노원구에서 30년동안 성업중인 족발 전문점. 먹기 좋은 크기로 썬 족발을 숯불에 구워 불맛을 입혔다. 한번 맛보면 단골이 된다는 노원구 대표 맛집. 토끼 사육장과 간이골프 연습장 등 찾는 손님들을 위한 배려는 인기요인 중 하나이다. 정보제공 : 소상공인협회 (Tel : 042-363-7981)

하니칼국수

하니칼국수

10.2 Km    6     2023-06-13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411-15

신당역 12번 출구 인근(중앙시장 가구단지)에 있는 하니칼국수는 알곤이칼국수, 재첩칼국수가 대표메뉴인 칼국수 전문점이다. 칼국수 이외에 곁들임 메뉴로 수육을 제공하며, 저녁에는 모둠 한 접시, 동그랑땡, 돼지갈비도 맛볼 수 있다. 평일에는 2시간 브레이크 타임이 있고, 점심과 저녁에는 주문 마감 시간이 있어 확인 후 방문하는 것이 좋다. 내부는 공간이 넓어 식사하기 불편함이 없으며, 가게 양 끝으로 바 테이블도 마련되어 있어 혼자서 식사하기에도 제격이다. 하니칼국수는 동시간대 최대 이용 가능 인원이 제한되어 있어 자리가 없는 경우 웨이팅을 등록하고 대기하여야 한다. 인근에 충무아트홀, 광희문, DDP 등이 있어 식사 전후로 공연을 보러 가거나 관광지를 방문하기에 좋다.

더캡슐 반포

더캡슐 반포

10.2 Km    0     2024-04-24

서울특별시 서초구 주흥3길 13 (반포동)
070-8095-4126

더캡슐반포는 강남 한복판에서 합리적인 가격으로 머물 수 있는 캡슐하우스다. 1층에는 라운지, 샤워실, 화장실이 있고 , 2층에는 수면을 위한 캡슐 공간이 준비되어 있다. 캡슐침대 옆에 캐비닛이 있어 물관=건을 보관하기에 좋다. 전자레인지 같은 전기제품은 없어 취사가 불가하나, 인근에 편의점이 있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주차는 인근 공영주차장을 이용하면 한다.

올리브영 석계역

올리브영 석계역

10.2 Km    0     2024-03-24

서울특별시 노원구 석계로1길 14

-

디뮤지엄

디뮤지엄

10.2 Km    1     2023-12-06

서울특별시 용산구 독서당로29길 5-6

디뮤지엄은 서울숲역에 위치한 미술관으로 한남동에서 성수동으로 이전하여 접근성을 높이고, 전시뿐만 아니라 공연, 교육이 강화된 복합문화센터로 그 기능을 확장하였다. 국내외 아티스트들과의 지속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국제적 문화교류를 통해 수준 높은 현대 미술과 디자인 분야를 소개하고, 지역 연계 프로젝트를 통해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를 만들어가며, 어린이부터 시니어까지 참여할 수 있는 다채로운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을 연중 실행하여 누구나 즐겁게 예술을 경험하고 향유하는 영감의 장소, 문화와 예술로 삶을 풍요롭게 하는 서울의 문화와 예술의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할 목표로 나아가고 있다.

덕분애

덕분애

10.2 Km    0     2023-11-03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389

서울 강남에 자리한 제로웨이스트 리필스테이션으로 ‘최초로 발생하는 플라스틱을 줄여보자’는 생각에서 출발했다고 한다. 덕분애에서 리필 가능한 제품은 주방세제부터 바디워시, 세탁세제까지 다양하다. 리필 구매를 위해선 미리 용기를 준비해야 한다. 저울에 준비한 용기를 올려 무게를 잰 후 필요한 만큼 적정량을 담고 다시 무게를 재면 끝. 이렇게 구매하는 리필제품은 불필요한 플라스틱 용기와 포장 비닐을 사용하지 않을뿐더러 가격도 저렴해서 환경과 경제를 모두 챙기는 현명한 소비다. 욕실용품 중 소모품인 칫솔과 치약을 대나무 칫솔이나 고체 치약으로 대체해 사용하는 등 일상에서 제로웨이스트의 삶을 비교적 쉽게 시작할 방법도 추천해 준다.

황학동 벼룩시장 (도깨비시장 / 만물시장)

10.2 Km    43105     2024-06-19

서울특별시 중구 마장로5길 11-7

청계천 7가, 8가 사이 삼일아파트 뒤편에 위치한 황학동 벼룩시장은 전국 구석구석을 벼룩 뛰듯 돌아다니며 희귀한 물건을 모아온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 부끄럽지 않게 옛날 시골집에서나 볼 수 있었던 물건들이 시장을 가득 메우고 있다. 이 시장은 과거 전국의 골동품 집산지였으나, 1983년 6월 장안평에 고 미술품 집단상가가 조성되면서 많은 점포들이 옮겨가 지금은 고미술품 판매점이 10여 군데에 불과하나 대신 이 자리에 중고품 만물상들이 하나, 둘 자연스럽게 모여들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곳에서 취급하는 상품은 골동품을 비롯, 중고 가구, 가전제품, 시계, 보석, 피아노, 카메라 및 각종 기계, 공구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점포 수만 1천여 개에 달한다. 황학동 벼룩시장의 또 다른 이름은 도깨비시장이다. 아무리 오래되고 망가진 물건일지라도 이곳 상인들 손만 거쳤다 하면 감쪽같이 새것이 되고 요즘 말로 하면 재활용품이 된다. 오래된 물건을 파는 곳인 만큼 오래된 가게도 많은데 40년 동안 괘종시계만 수리해서 팔아온 만보당을 비롯해서 보국당 동림당 등은 대표적인 골동품점. 자취하는 학생과 실속파 신혼부부, 요즘은 인테리어에 신경 쓰는 세련된 사람들도 많이 찾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