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4Km 2025-07-29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봉로 94 (공평동)
주한 프랑스 대사관 어학센터는 정통 프랑스 언어와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곳이다. 프랑스 정부가 국내에서 운영하는 유일한 비영리 프랑스어 교육기관으로 프랑스 교육부에서 주관하는 DELF/DALF 시험을 공식 주최하며 서울 시험센터를 직접 운영하고 있다. 프랑스어 교육 관련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는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디지털 서적과 콘텐츠를 활용한 다양한 활동들을 제공한다.
11.4Km 2024-04-03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02-3210-1645~6
2002년부터 이어져오고 있는 경복궁 수문장 교대의식은 조선시대 왕실 호위문화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전통문화행사이다. ‘조선왕조실록’ 예종(睿宗) 1년(1469) 수문장제도의 시행 기록을 역사적 근거로 하여 재구성된 이 행사는 당시의 복식 및 무기 등을 복원하여 조선 전기(前期) 군인들의 모습을 생생하게 재현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11.4Km 2023-08-10
이 코스는 걷기에 약간 긴 코스다. 특히 아이들과 함께 한다면 차편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경복궁을 중심으로 자하문 뒤쪽을 관람하는 코스다. 서울에서도 산골 안의 도시가 자리 잡은 이곳에서는 계곡의 시원한 물도 만날 수 있고, 세검정에서 유명한 하림각의 자장면을 맛보는 것도 놓치지 말자.
출처:이야기를 따라 한양 도성을 걷다.
11.4Km 2024-12-05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계천로 61
호스텔 하루는 청계천이 내려다 보이는 멋진 뷰를 가지고 있다. 명동, 인사동, 경복궁, 광화문 광장 등 관광 명소와 인접하다.
11.4Km 2025-07-28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봉로 81
02-725-0179
매일 직접 볶은 원두로 내린 핸드드립 커피와 클래식한 분위기가 휴식하기에 좋은 카페다.
11.4Km 2025-04-22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54 (관철동)
02-6462-7405
[보신각 시민상설 타종행사] 시민과 함께하는 천년의 종소리 ! 매일 정오에 타종하는 보신각 시민상설 타종행사는 시민 및 관광객들과 함께하는 참여형 행사이다. 프로그램 체험을 신청하여 체험 가능하며, 가족, 친구, 연인과 함께 타종의 감동을 느껴볼 수 있다. (※매주 월요일 휴무, 매주 화요일은 외국인 현장 참여 프로그램 실시) [남산 봉수대 봉화의식] 남산봉수대는 조선시대에 전국의 봉화대에서 올라오는 봉화를 최종적으로 집결해 상황을 도성에 알리는 중요한 통신수단이였다. 남산봉수대에서 남산봉수의식을 관람하며 역사 해설 안내를 들어볼 수 있다. [전통문화 공연] 서울 남산타워 팔각정 광장에서 사물놀이 공연 및 전통무예시범을 관람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일일 경점관체험, 일일 봉수꾼 체험과 같은 체험 프로그램도 마련되어있다.
11.4Km 2025-05-02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79길 73-4 (청담동)
잡어향기는 서울시 강남구 영동대교 남단에 위치한 해산물 요리 전문점으로, 싱싱하고 다양한 자연산 잡어를 취급하는 곳이다. 식당 입구에 수족관이 넓게 자리해 있어 각종 신선한 어류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곳은 국내산 제철 해산물과 대게, 물회 등으로 손님들에게 대접하고 있다.
11.4Km 2025-08-21
경기도 하남시 미사동로40번길 29-6
하남어시장는 하남시 미사동, 미사 경정공원 근처에 있는 일식집이다. 주차는 건물 앞 커다란 주차장이 있어 편리하다. 현대적인 단독 건물로 식당 내부는 넓은 홀에 넉넉한 간격으로 테이블이 있다. 인테리어도 깔끔하고 우드톤이 적절히 섞여 있어 부드러운 분위기이다. 모임을 위한 개별 룸도 준비되어 있어 가족모임 등을 하기 좋다.
11.4Km 2024-11-12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계천로 61
02-732-1101
서울의 중심, 종로에 위치한 호스텔 하루는 서울의 곳곳으로 이동이 용이할 뿐 아니라, 명동, 인사동, 창덕궁과 경복궁, 창경궁, 삼청동까지 도보로 이동할 수 있는 서울 관광을 위한 최적의 장소에 위치하고 있다. 덕분에 특별한 계획 없이도 산책하듯 서울 관광을 즐길 수 있다. 번화가에 위치하고 있어 관광이 끝나면 멀리 나가지 않아도 음식점과 까페를 금방 접할 수 있어 민생고 해결에는 더할 나위 없다. 뿐만 아니라 앞으로는 청계천이 흘러 아침 저녁으로 산책을 할 수 있고, 번화가이나 유흥가가 아니기에 밤 늦게 귀가해도 호스텔 까지 오는 길은 안전하다. 객실은 심플하고 모던한 도시적인 디자인으로 호텔과 같이 고급스러우며, 일반 객실은 큰 창문 덕에 환기와 채광이 용이한 방이 대부분, 도미토리는 각 객실마다 분리된 화장실, 샤워실, 파우더룸을 갖추고 있어 바쁜 시간에도 늦지 않게 준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미토리 룸은 침대마다 개별 TV, 콘센트, 선반과 스탠드가 있어 커튼을 치면 작은 방처럼 이용할 수 있다. 매일 룸 클리닝을 실시하여 항상 청결한 시설을 유지하고 있으며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영어가 가능한 스탭들이 상시 거주하고 있어 의사소통에도 문제가 없다.
11.4Km 2025-07-29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54
보신각 터는 도성 안팎에 시간을 알리는 종루 보신각이 있던 곳이다. 보신각은 일명 종각이라고도 하며 조선 고종 32년(1895) 보신각이란 사액을 내린 데서 이름 지었다. 태조 4년(1395) 처음 지어진 후 4번이나 불타 없어지고, 8번에 걸쳐 다시 지었다. 현재의 건물은 1979년 8월 서울시에서 지은 것으로, 동서 5칸, 남북 5칸의 2층 누각으로 되어 있다. 보물 제2호인 보신각종은 조선 세조 14년(1468)에 만들어져 원각사에 있다가, 절이 폐사된 후 광해군 11년(1619)에 현재의 보신각 자리에 옮겨졌다. 보신각종은 오전 4시에 33번, 오후 7시에 28번을 울려 도성의 문을 여닫고 하루의 시각을 알리는 역할을 해왔다. 오랜 세월이 흐르는 동안 몸통에 균열이 생겨 더 이상 종을 칠 수 없게 되자, 국립중앙박물관에 종각을 지어 보관하고 있다. 현재 신각에 걸려 있는 종은 1985년 국민의 성금에 의하여 새로 만들어 그해 광복절에 처음 타종하였다. 해마다 12월 31일이면 보신각 인근은 차량이 통제되고 새해를 맞이하는 타종식을 함께 즐기기 위해 모여든 사람들로 가득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