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남진 장흥 물축제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정남진 장흥 물축제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정남진 장흥 물축제

정남진 장흥 물축제

13.4 Km    232445     2024-06-11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건산리
061-860-5771~3

*하기 대표 먹거리 정보는 전년도(2023년) 축제 내용으로, 2024년도 먹거리 정보는 업데이트 중에 있습니다.*

대한민국 대표 여름축제인 정남진 장흥 물축제는 2024 ~ 2025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최우수 축제다. 탐진강의 맑은 물과 장흥댐 호수 등 청정 수자원을 기반으로 모든 프로그램을 "물”이라는 하나의 테마로 연결시켰다. 물싸움과 다양한 수상 프로그램, 워터樂 풀파티 등 주ㆍ야간 계속되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누구나 함께 즐길 수 있다. 즐거움과 낭만, 힐링이 가득한 정남진 장흥 물축제는 바쁜 일상에 지친 현대인들에게 그 동안 쌓인 피로감을 날려줄 것이고, 아이들에게는 최고의 놀이터가 된다.

탐진강 생태습지원

13.4 Km    15494     2024-06-11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건산리

탐진강 생태습지공원은 자연형 하천으로 조성한 곳으로 2004년 착공하여 2008년 7월 완공되었다. 장흥읍 평화교에서 부산교까지 4.92㎞ 구간으로 장흥 중심을 흐르는 1급수 탐진강 둔치에 조성된 4천여 평(13.130㎡)의 넓은 자연형 하천 생태습지원이다. 자연형 연꽃 방죽과 지압로, 목재데크, 꽃창포를 비롯한 수생식물과 생태관찰로, 산책로, 분수 등이 있다. 군민들이 휴식과 운동을 위해 찾는 친환경적 공간으로서 해마다 여름이면 물 축제가 열리는 장소이기도 하다. 탐진강을 따라 제방에 벚꽃 가로수길과 수변 산책길 곳곳에 핑크뮬리, 연꽃 등 꽃밭과 자전거길이 조성되어 있다. 강을 건널 수 있는 징검다리도 설치되어 있다. 물 축제가 펼쳐지는 장흥 토요시장 건너편 탐진강 강변 둔치를 거슬러 올라가면 장흥천변 체육광장과 정남진물과학관이 있다.

용산장  (1, 6일)

용산장 (1, 6일)

13.5 Km    12390     2023-12-05

전라남도 장흥군 용산면 용인길 4
061-860-0704

매월 1, 6일 등 5일 간격으로 장이 서고 있으며 주로 전남 장흥군 용산면 지역주민이 이용한다. 평일장에는 30~40명의 상인이 장을 펴고 장사를 하며 명절 때는 배 이상의 상인이 몰려 성황을 이루고 있다. 신선한 지역의 농산물과 특산물, 먹거리 및 각종 생활 잡화 등을 구매할 수 있다.

용산장(전남 장흥)(1, 6일)

13.5 Km    43     2024-04-24

전라남도 장흥군 용산면
061-860-0704

매월 1,6일 등 5일 간격으로 장이 서고 있으며 주로 용산면 지역주민이 이용하고 있고, 평일장 에는 30 ~ 40명의 상인이 전을 펴고 장사를 하며 명절때는 배 이상 의 상인이 몰려 성황을 이루고 있다.

3대곰탕

13.6 Km    4339     2023-03-16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토요시장3길 16-2
061-863-3113

전남 장흥군 장흥읍에 위치하고 있는 3대곰탕은 드라마에도 출연됐던 장소로 곰탕맛이 아주 좋은 곰탕 전문점이다. 깨끗하고 아담한 실내와 시골장터의 멋이 느껴지는 차림표가 있다. 곰탕을 비롯하여, 수육도 함께 판매하고 있다.

정남진 장흥 토요시장 / 장흥 오일장(2, 7일)

13.6 Km    18110     2023-12-07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토요시장3길 15
061-860-0353

정남진 장흥 토요시장은 농산물과 해산물을 모두 구입할 수 있는 장터이다. 원래 장흥 오일장이 끝자리가 2, 7일에 장이 섰었다. 하지만 2005년부터 오일장에 토요일을 더해 관광형 전통시장인 정남진 장흥 토요시장이 열린다. 먼저 장흥 오일장의 경우, 남해안 연안에서 잡아 올린 각종 어류와 패류, 탐진강변의 기름진 농토에서 생산되는 각종 농산물을 골고루 구입할 수 있다. 철 따라 생산되는 자연산 딸기, 오이, 미나리, 은어, 생표고 버섯 등을 구입할 수 있다. 정남진 장흥 토요시장은 토속적인 분위기의 공연이 이어져 즐겁게 놀고, 맛있게 먹고 좋은 것을 사는 장터 여행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한우 판매 거리와 장흥 특산품인 표고, 낙지, 헛개 등을 파는 특산물 판매장이 있으며, 더불어 할머니들이 직접 키운 신선한 채소를 구입할 수 있다.

정남진 장흥토요시장

정남진 장흥토요시장

13.6 Km    34588     2024-06-03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토요시장3길 15
061-864-7002

정남진 장흥토요시장은 전국 최초 주말시장으로 텃밭에서 일구어낸 농수산물과 저렴한 한우, 깨끗한 바다에서 생산되는 해산물, 기타 공산품 등 품질 좋은 상품들을 만날 수 있다. 또한 상설무대에서 다양한 공연도 펼쳐져 살거리, 볼거리, 먹거리가 풍부한 관광형 전통시장이다.

정남진우리한우

정남진우리한우

13.6 Km    1     2023-02-10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토요시장2길 2

정남진장흥토요시장 골목으로 들어가면 수많은 장흥한우삼합집이 즐비하다. 그 중 정남진우리한우는 정육점과 함께 운영하는 식당으로 장흥삼합에 들어가는 한우와 표고버섯, 키조개 등을 구매해 먹을 수 있다. 정육식당인 만큼 신선한 한우를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해서 꽃등심, 부챗살, 육회, 등심 등 다양한 부위의 한우를 입맛대로 골라 먹을 수 있다. 이곳의 한우는 1+A 등급으로 육회도 직접 썰어주어 신선한 한우육회를 맛볼 수 있다. 저렴한 가격으로 품질 좋은 한우를 구매하여 장흥삼합을 즐길 수 있는 식당이다.

삼우당충선공강성군부민후 문익점 부조묘

13.6 Km    17216     2024-06-18

전라남도 보성군 미력면 도개2길 21

고려 말에 목화씨를 들여와 우리나라에 보급한 문익점을 모신 사당으로 문익점 부조묘라고도 한다. 부조묘란 나라에 큰 공훈이 있는 사람의 신주를 영구히 제사 지내기 위하여 세운 사당이다. 문익점은 고려 말 원나라 사신으로 갔다가 돌아오면서 목화씨를 가져와 국가 경제에 크게 이바지하였고, 성리학을 크게 일으켜 백성들을 교화하였다. 문익점의 부조묘는 태조 7년(1398)에 경상도 단천에 세웠었다. 문익점의 사손이 끊겨 외손인 합천 이씨가 관리해 왔는데 1592년 임진왜란에 불타버리고 말았다. 그 후 철종 5년 (1854)에 남평 문씨 후손들과 유림들의 노력으로 현재의 위치에 옮겨 세워 제사를 지내게 하였고, 현재에도 2월 8일이 되면 후손들이 모여 제사를 지낸다. 이곳에는 문익점 부조묘와 관련된 조선 후기(18세기 말∼19세기 말)의 각종 증명서 15점이 보존되어 있는데, 모두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현재의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골기와 건물인 사당과 내삼문을 갖추고 있다. 사당에는[부인후묘]라는 현판이, 내삼문에는[충신문]이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장흥한우삼합구이

장흥한우삼합구이

13.6 Km    3     2022-11-14

전라남도 장흥군 토요시장2길 9-2

장흥은 한우, 키조개, 표고버섯을 같이 먹는 장흥 한우삼합 구이가 유명한 곳이다. 정남진 장흥 토요시장에 위치한 장흥 한우삼합 구이는 신선한 한우를 현지에서 맛볼 수 있는 곳이다. 1층에 있는 한우직판장에서 구입한 고기를 2층 식당으로 올라가서 먹는다. 상차림비를 내면 기본적인 반찬과 장류, 마늘, 불판 등이 차려지고, 키조개와 표고버섯을 주문해 한우와 같이 먹으면 장흥삼합이 완성된다. 한우를 구워 먹는 것 외에도 매생이 떡국, 물냉면, 육회비빔밥, 누룽지 등의 식사도 주문이 가능하다. 장흥에서 생산되는 친환경 농산물과 청정해역 득량만에서 나오는 수산물을 파는 정남진 장흥 토요시장도 방문할 수 있어, 일석이조이다. ※ 반려동물 동반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