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집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순천집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순천집

순천집

10.0 Km    2     2023-02-13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로 80

서울 동작구 노량진에 위치한 순천집은 전국 각지에서 공수한 신선한 해산물로 남도 요리를 선보이는 식당이다. 대표 메뉴는 벌교에서 올라온 통통하게 살이 오른 참꼬막을 부드럽고 쫄깃하게 쪄 내 짙은 바다의 풍미를 느낄 수 있는 '벌교 참꼬막'이다. 신선한 참꼬막 회와 무침을 잘한다고 입소문이 나 있지만, 키조개 샤부샤부 및 9가지 해산물을 코스로 맛볼 수 있는 남도 코스요리도 인기 있는 메뉴이다. 그 외 주꾸미와 낙지, 홍어로 만드는 요리도 판매한다. 기본 밑반찬도 다양하고 푸짐하며 마지막에 나오는 매생이 죽까지 만족할만한 남도 음식을 맛볼 수 있는 곳으로 이름나 있다. SBS <생방송 투데이> 2,785회 (2021.03.22)에 '참꼬막 데침'으로 소개되면서 웨이팅이 더욱더 많아졌으므로 사전에 예약하고 방문해야 편하게 음식을 즐길 수 있다.

진이네떡볶이

진이네떡볶이

10.1 Km    2     2021-03-15

서울특별시 강동구 동남로71길 19
02-481-2585

한국의 대표 길거리 음식인 떡볶이를 즐길 수 있다. 대표메뉴는 떡볶이다. 서울특별시 강동구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33Acre

33Acre

10.1 Km    0     2024-01-15

서울특별시 강동구 아리수로61길 33

33에이커(33Acre)는 카페가 아닌 컨템포러리 레스토랑으로, 신선하고 건강한 음식 제공을 위해 그날 쓸 재료들을 소량만 입고하여 사용한다. 인테리어는 심플한 가구와 식탁으로 모던한 디자인으로 되어있다. 대표메뉴는 치아바타, 모짜렐라치즈, 구운 파프리카, 구운 가지, 바질페스토, 햄으로 이루어진 샌드위치인 33에이커 Feature 샌드위치세트가 있으며, 이외에도 부라타치즈의 고소함과 토마토(피클링)의 단맛과 새콤함이 느껴지는 부라타치즈&피클토마토, 엄선한 쌀과 대구생선살, 2가지 치즈로 만든 크로켓인 아란치니 등이 있다. 33에이커의 이용시간은 3시간으로, 3시간 이상 이용을 원할 경우 미리 이야기를 해야 하며, 디너 서비스는 사전 예약제로 운영하고 있다.

호밀밭

호밀밭

10.1 Km    3990     2023-02-23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역로 43
02-392-5345

한국인의 여름 대표메뉴 팥빙수를 맛볼 수 있다.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있는 카페다. 대표메뉴는 팥빙수이다.

성북구립 최만린미술관

10.1 Km    2     2023-12-28

서울특별시 성북구 솔샘로7길 23 (정릉동)

성북구립 최만린미술관은 한국의 대표적인 조각가 최만린이 30년간 거주했던 정릉 자택을 성북구에서 매입하여 성북구립미술관의 분관으로 조성한 곳이다. 이 공간은 1988년부터 2018년까지 작가의 삶의 터전이자 작품 세계를 만들어 온 작업실이기도 하다. 공공 미술관으로 새롭게 태어났지만 기존 건물의 외관, 기본 골격, 이 집의 특징인 나무 계단 및 나무 천장 등을 최대한 살려 작가의 흔적을 보존하면서도 미술관으로서의 기능을 최대한 고려하여 30년간의 작가 개인의 역사와 흔적이 켜켜이 쌓여있다. 1층에는 전시실과 수장고, 미팅룸이 있고 야외 정원에는 조각들이 전시되어 있다. 2층에는 자료실과 연구실, 학예실이 있다. 전시실에는 시대별 주요 작품 및 관련 자료 컬렉션을 중심으로 전시되어 있다.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주민에게 가까이 다가가는 미술관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수도권 지하철 우이신설선 북한산보국문역 2번 출구에서 도보 6분 거리에 있다.

생생국가유산 중랑구 체험학습 (생생문화재)

10.1 Km    1     2024-05-07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로91길 2
010-8465-1945

본 프로그램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인 서동일, 오재영, 서광조 선생님과 독립운동을 소재로 구성되었다. 망우역사문화공원, 봉수대공원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독립군 암호 쓰기와 해석 등 미션활동, 퀴즈활동이 진행된다. 프로그램의 대상은 ‘초등학생 또는 유아를 동반한 가족’이다. 최대 30명 참여 가능하다. 망우역사문화공원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은 총 2종이다. 비밀결사 조직하기 등, 독립운동가가 실제 활동하였던 방식으로 미션을 수행한다. 독립운동가 묘역도 답사한다. 봉수대공원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은 총 2종이다. 여러가지 연락 방법에 대한 체험, 독립운동에서도 사용된 봉수대에 대해서 배운다.

올리브영 신촌대로

올리브영 신촌대로

10.1 Km    0     2024-03-24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로 121 (창천동)

-

디아프바인

디아프바인

1.0 Km    65292     2023-11-02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172길 15
02-544-2793

2002년 가을에 디자이너 김승래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당시 스트리트 씬의 미개척지였던 국내에서 최초로 론칭된 브랜드이다. 현재에 이르기까지 미국, 유럽, 일본에서 생산되는 품질 좋은 원단 및 각종 부자재등을 과감히 도입하며 품질향상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도전 정신과 퀄리티로 인정받으며 국내신을 리드해 가고 있다. 특히 국내 레더재킷 장르에서는 전문성과 다양성으로 타의 추종을 불허하며, 월드와이드 전개를 목표로 다가오는 또 다른 10년을 위해 나아가고 있다.

청운문학도서관

10.1 Km    10     2023-07-27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36길 40

서울 종로구와 서대문구에 걸쳐 있는 인왕산은 조선시대 수도 한양을 둘러싼 4개의 산 중 하나로, 조선의 대표적인 화가 겸재 정선(1676~1759)의 진경산수화에도 자주 등장하는 아름다운 산이다. 그래서인지 옛 한양도성의 성곽을 따라 조성된 성곽길 구간 중에서도 인왕산 구간은 특히 인기가 많다. 인왕산 구간의 한쪽 시작점인 창의문을 출발하여 성곽길을 걷다 보면 얼마 지나지 않아 인왕산 자락에 들어서 있는 한옥의 기와지붕이 눈에 들어오는데, 바로 한 장 한 장 장인의 손으로 구워 만든 청운문학도서관의 기와지붕이다. 청운문학도서관은 인왕산의 경사 지형과 자연 경관을 고려하여 설계된 공공 도서관이다. 도서관은 지하층과 지상층 총 2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콘크리트 구조로 만든 지하층을 기초로 삼아 지상층에 한옥을 지어 올리고 넓은 마당을 조성하였다. 주변의 경사 지형을 거스르지 않고 건물을 앉힌 덕분에 지하층의 남쪽 입면이 겉으로 드러나 있는데, 이 입면에 만든 창을 통해 내부 공간으로 햇빛이 풍부하게 유입되며, 그 입면 전체를 모두 전 벽돌로 마감하여 외부에서 볼 때 지상층의 한옥과 조화를 이룬다. 콘크리트 구조의 지하층 위에 올려진 한옥은 지하층에서 대여한 책을 읽을 수 있는 열람실 역할을 하는데, 한옥의 대청마루, 누마루, 툇마루에 앉아 남쪽으로 탁 트인 경관을 바라보면, 한옥의 안마당과 인왕산 자락의 푸른 숲, 저 멀리 도심의 빌딩 숲이 한눈에 담겨 자신이 잠시 도시의 복잡한 삶에서 벗어나 자연 속에 묻힌 공간에서 쉼을 얻고 있음을 깨달으며 여유를 느끼게 된다. 한옥 본채 곁에 있는 작은 연못 위에 지어진 아담한 크기의 정자에서는 옛 선비들이 즐기던 풍류를 떠올려 볼 수 있다. 작은 물길을 따라 흘러내리는 맑은 물 소리, 주변을 둘러싼 나무에서 들려오는 새소리, 연못 위로 반짝이는 햇살이 어우러진 정자에 들어앉아 책을 읽노라면 어느새 시간의 흐름을 잊고 독서에 몰두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구리시민한강공원(코스모스공원)

구리시민한강공원(코스모스공원)

10.1 Km    50119     2023-11-22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

구리시민한강공원은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 한강 둔치에 있는 시민 공원이다. 원래 이곳은 1980년대까지 10여 가구가 살던 토막 나루라는 작은 마을이었으나 잦은 수해와 홍수로 주민들을 이주시킨 후, 소먹이 작물 재배지로 활용되었으나 소를 키우는 농가가 사라지면서 IMF 시절 공공 근로사업을 통해 유채꽃과 코스모스 등의 꽃을 심고 야구장과 축구장을 만들었다. 그리고 2005~2007년에 걸친 공사 끝에 지금의 한강시민공원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한강시민공원은 야구장, 인라인스케이트장 등의 체육시설과 매점을 갖추고 있다. 더불어 각종 대형 행사를 치르기 좋은 넓은 잔디 광장을 조성하였다. 특히 넓은 땅에 유채꽃과 코스모스를 심어 봄과 가을이면 광활한 꽃단지를 이룬다. 이로 인해 매년 5월 구리 유채꽃 축제와 가을에는 코스모스 축제가 이 공원에서 열린다. 두 축제는 모두 수십만 명이 다녀갈 정도로 지역 명소 축제로 자리 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