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Km 2025-03-25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민주로 61
광주학생교육문화회관은 광주광역시 서구에 위치한 문화시설이다. 이곳은 학생 중심의 공연 · 전시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한 문화공간 제공, 시민 여러분의 정보 습득과 자기 계발을 위한 도서관 기능 제공 및 청소년과 성인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학생들이 스스로 자기 미래를 설계하고, 꿈의 날개를 활짝 펼 수 있도록 창의적 놀이·체험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공연 및 체육시설, 식당, 수영장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19.4Km 2025-03-20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민주로 61 (쌍촌동)
5·18 기념공원은 1980년 광주 5·18 민주화운동을 기념하기 위해 조성한 공원이다. 5·18 민주화운동이 전개될 당시 군사시설이었던 상무대가 이전하자 정부가 공원 부지를 제공하였다. 이에 따라 1998년 광주광역시는 5·18 민주화운동의 명예회복과 값진 교훈을 올바르게 계승 발전시키기 위하여 208,000㎡ 규모로 5·18 기념공원을 조성하였다. 5·18 기념공원에는 자료실과 공연 및 행사시설을 갖춘 5·18 기념문화센터, 시민군조각상, 추모공간 등으로 구성된 5·18 현황조각 및 추모승화공간, 5·18 정신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원형 분수공간을 갖춘 대동광장, 5·18 민주화운동학생기념탑이 있다. 5·18 기념공원이 조성된 여의산 자락에는 광주학생교육문화회관이 있고, 산 둘레로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다. 정상에는 전망대 역할을 하는 누각인 오월대가 있다. 현재 5·18 기념공원은 광주시민들에게 5·18 민주화운동의 추모와 기념 공간일 뿐만 아니라 도심 속의 쾌적한 휴식 공간으로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전체면적의 약 45%인 92,099㎡가 녹지로 조성되어 전통 연못과 다양한 수목들이 자리하고 있어 아이들의 자연학습장으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기도 하다.
19.4Km 2025-03-27
전라남도 나주시 산포면 다도로 7
전라남도 산림연구원은 아름다운 숲길을 걸을 수 있는 나주의 힐링 여행지로 손꼽히는 곳이다. 산림체험과 교육을 운영하며, 현대인의 심신 치유와 삶의 질 향상을 돕고 산림생태계나 임업에 관련된 연구를 하는 도립 연구소이다. 하늘을 뒤덮을 정도로 울창하게 뻗은 메타세쿼이아 숲길은 가을이 무르익으면 많은 사람들이 찾는 명소다.
19.4Km 2024-12-12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평화로 137
062-374-8760
[중소벤처기업부 2018년도 ‘백년가게’로 선정] 살이 꽉 찬 간장게장과 달달하면서도 끝 맛이 매콤한 양념게장이 인기 있는 곳이다. 흰밥에 게장을 올려 김에 싸 먹기 시작하면 밥 두 공기는 거뜬하게 먹게 된다. 좋은 식재료가 음식의 질과 맛을 결정한다는 철학을 가지고 요리를 만든다. 넓은 매장과 체계적인 서비스로 가족 단위나 모임에도 적합한 곳이다.
19.4Km 2023-08-11
광주유니버시아드 주경기장이 있는 광주 서구에는 여덟가지의 풍경이 있다. 자연풍광과 문화유산이 어우러져 다양한 볼거리를 가지고 있는 광주 서구의 8경, 그 중 제 1경 만귀정과 6경 양동시장, 7경 운천사마애여래좌상, 8경 5·18 기념공원을 찾아 떠나보자!
19.4Km 2024-05-22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천태로 91-44
운주사 주변의 돌들은 중생대 백악기에 화산에서 분출된 화산재와 돌덩이가 켜켜이 쌓이면서 만들어진 응회암이다. 이곳의 석불과 석탑은 보통의 화강암으로 만든 것과는 달리 비교적 납작하고 형태가 뚜렷치 않다. 그것은 이 석불과 석탑이 운주사 주변에서 쉽게 채취할 수 있는 응회암층을 그대로 떼어내 만들었기 때문이다. 옛 선조들은 층의 형태로 잘 깨지고 부스러지기 쉬운 이 응회암의 암석학적 특징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석탑과 석불을 제작했던 것이다. 이와 같이 운주사의 석불과 석탑에는 주변 암석의 지질학적 특성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어 이곳을 무등산권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명소로 지정하였다.
19.4Km 2025-03-31
광주광역시 북구 북문대로 60
광주예술의전당은 1991년에 개관하였다. 전당에는 총 8개 예술 단체 300여 명의 단원이 소속되어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전통 음악과 교향악, 창극부터 발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수준 높은 공연을 시민들에게 선보여 문화예술의 저변확대와 지역 인재양성에 기여하고 있다. 대극장은 음악회, 연극, 영화, 오페라, 발레, 뮤지컬 등 다양한 장르의 공연을 목적으로 설계된 2층 발코니형 프로시니엄(PROSCENIUM) 스테이지 공간이다. 대극장 600평의 로비(LOBBY)는 1층에서 상부층까지 개방시킨 톱라이트에 의한 채광으로 주 공간의 극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19.4Km 2025-03-21
광주광역시 서구 동하길 10 (세하동)
서구 세하동 동하 마을에 있는 정자이다. 효우공(孝友公) 장창우(張昌羽)가 후학을 가르치며 만년을 보내기 위해 창건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원래의 건물은 세월이 지나면서 무너져 없어졌고, 후손들에 의한 1934년의 중건과 1945년의 중수를 거쳐 오늘에 이른다. 장창우는 이곳에 동족마을을 이루며 살아온 흥성 장 씨(興城 張氏)의 낙남 선조(落南先祖)인데, 그 창건 시기는 밝혀져 있지 않다. 건물은 사방 두 칸의 규모로 되어 있는데, 골기와를 얹은 팔작지붕에, 바닥에는 우물마루를 깔았고, 동ㆍ서ㆍ남의 세 방향에 난간을 돌렸다. 만귀정은 큰 연못 가운데 세워진 수중(水中) 정자인데, 그 옆에는 습향각(襲香閣)과 묵암 정사라는 이름의 또 다른 정자가 다리를 사이에 두고 나란히 늘어서 있다. 두 정자 모두 만귀정 중건 이후에 건립되었다. * 만귀정 내 다양한 시문과 현판 * 만귀정에는 많은 시문이 현판으로 걸려 있는데, 그중 중건기는 1934년 고광선(高光善)이 썼으며, 중건 상량문은 같은 해에 이병수(李炳壽)가 썼고, 중수기는 1945년에 후손인 묵암 장안섭이 썼다. 또한 경내에는 1939년에 송광세(宋光世)가 쓴 ‘만귀정시사창립기념비(晩歸亭詩社創立記念碑)’가 세워져 있어, 이곳을 무대로 결성된 ‘만귀정시사’의 한시(漢詩) 활동이 한때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4Km 2024-11-13
광주광역시 서구 운천로 230
광주광역시 서구 여의산에 자리 잡은 무각사는 도심 속의 수행 사찰이자 문화의 공간으로 광주뿐만 아니라 호남불교를 이끌어 나가는 여의정토이다. 무각사는 1971년 당시 송광사의 구산 큰스님께서 지역 불자들의 힘을 모아 창건하였으며, 상무대(전투병과 교육사령부)장병들의 호국정신과 불교신행의 정신적인 귀의처로 큰 역할을 해왔다. 1990년대 초반까지 장병들의 훈련공간이었던 상무대가 장성지역으로 이전하면서 무각사는 도심 속의 수행 사찰로 주목받게 되었고, 2007년 청학스님이 부임한 이래 본격적인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무각사는 당일형 템플스테이와 체험형 템플스테이도 운영을 하고 있어 시민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19.5Km 2024-12-12
광주광역시 서구 시청로20번길 10
062-374-0015
광주에 처음으로 정통 서울식 설렁탕을 선보인 설렁탕 전문음식점으로 모든 음식은 100% 순수 사골로만 조리한다. 광주 서구 치평동에 위치해 있으며 대표메뉴로는 설렁탕, 꼬리곰탕, 도가니탕, 꼬리찜, 모듬수육전골 등 다양한 메뉴를 맛볼 수 있는 전문 한식당이다. 사골, 사태, 도가니, 우족, 등을 넣어 오랜시간 동안 가마솥에서 직접 육수를 매일 끓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