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 산림박물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전북특별자치도 산림박물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전북특별자치도 산림박물관

전북특별자치도 산림박물관

11.0Km    2024-12-17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복흥면 추령로 1777

산림박물관은 산림과 임업에 관한 역사적 자료를 수집하고, 산림에 대한 국민홍보 및 현장학습, 전시품 수장, 전시, 연구를 목적으로 설립된 ‘휴식과 교양’의 공간이다. 순창군 복흥면 추령고개 정상에 위치한 이곳은 1995년 9월 호남권 산림박물관 유치 확정으로, 전시실이 있는 본관 2층 건물과 야외 체험시설 및 연못, 분수대, 팔각정 등 부대시설을 갖추어 2002년 3월 25일 개관하였다. 입구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숲 속 친구들’이라는 체험공간을 볼 수 있는데, 나무 모양으로 생긴 건물이다. 다양한 동식물 모형들과 아이들이 놀 수 있는 놀이터가 있다. 박물관 본관의 내부에는 옛 목가구들과 전통가옥 모형, 한지 목재 종류 등이 다양한 전시를 볼 수 있고 체험을 할 수 있는 생태학습관이 있다.

애뜨락

11.0Km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운정길 70-20 애뜨락

전라북도 임실군의 옥정호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카페다. 한옥으로 된 건물에 인테리어까지 옥정호의 풍경과 잘 어우러져 연인들의 데이트 코스로 알려져 있다. 반려동물 동반이 가능하여 산책하는 사람들이 즐겨 찾는다. 쌍화탕이 이 집의 시그니처 메뉴로 잔잔한 음악과 함께 즐기는 한 잔의 쌍화차는 힐링 그 자체다. 한복 무료 대여가 가능하며 한복을 입고 카페 내외부에서 사진을 찍으면 그 자체로 인생 사진이 된다. 옥정호와 옥정호 전망대가 근처에 있어 여행 및 관광코스로 함께 즐기기 좋다. ※ 반려동물 동반 가능(목줄, 배변봉투 지참)

정읍사문화제

정읍사문화제

11.1Km    2024-10-16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읍사로 541 (시기동)
063-532-8880

정읍사 여인의 숭고한 사랑과 아름다운 부덕을 기리는 정읍시 축제로 1990년 제1회를 시작으로 올해 35번째 맞이하는 정읍시 대표적인 축제이다.

옥정호산장

옥정호산장

11.1Km    2024-07-08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운암면 운정길 7

옥정호산장은 전북 임실군 운암면에 있다. 매운탕 전문점으로 가게 내부에는 옥정호가 내려다보이는 전망 좋은 멋진 호수 뷰를 즐기며 식사를 즐길 수 있다. 전주 근교에 있어 접근성이 좋고 전용 주차공간이 넓다. 많은 인원을 한 번에 수용할 수 있을 만큼 식당 규모가 커 많은 이들이 찾는 인기 맛집이다. 향어회, 송어회 등의 회 종류와 새우탕, 잡탕, 빠가탕 등의 민물 매운탕, 닭매운탕과 백숙류 등 메뉴도 다양하다. 메뉴를 주문하면 나오는 다양한 종류의 깔끔한 반찬과 후식으로 누룽지가 제공된다. 브레이크 타임이 따로 없어 언제 방문해도 식사가 가능하며, 옥정호산장 외부에는 대기실이 따로 마련되어 있다.

정읍여행의 백미를 담다

정읍여행의 백미를 담다

11.1Km    2024-01-18

내장산국립공원을 품은 도시 정읍. 고려 속요 정읍사의 탄생지이기도 한 정읍은 동학혁명의 선봉에 섰던 녹두장군 전봉준의 생가가 있는 곳이다. 호남제일정이라는 별칭이 붙은 보물 피향정과 신라의 대학자 최치원을 기리는 무성서원, 조선 후기의 가옥양식을 보여주는 김동수 가옥이 이어진다. 구절초가 피어나는 옥정호의 아름다움도 특별하다.

상록수

상록수

11.1Km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운정길 29 상록수

옥정호를 바라보며 식사할 수 있는 풍경 맛집으로 손꼽히는 식당이다. 항상 줄을 서야 할 만큼 많은 사람이 방문하는 맛집으로, 예약은 필수다. 부모님 모시고 방문하는 가족 단위 방문객이 많고, 멀리서 찾아오는 방문객도 많다. 빠가탕, 잡탕, 메기탕 같은 매운탕과 오리주물럭이 대표 메뉴다. 재료 본연의 맛이 살아 있는 매운탕은 시원하면서도 감칠맛이 살아 있다. 함께 제공되는 기본 반찬도 신선하다. 야외 공간은 노키즈존으로 운영하며, 반려견 동반 시 반드시 목줄을 하거나 캐리어를 사용해야 한다. 국사봉전망대, 옥정호, 양요정 등의 관광 명소가 주변에 많다.

내장사(정읍)

11.1Km    2024-12-02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1253

아름다운 내장산국립공원의 품 안에 안겨 있는 내장사는 백제 무왕 37년(636년)에 영은 조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며 한때는 50여 동의 대가람이 들어섰던 때도 있었지만 정유재란과 6.25 때 모두 소실되고 지금의 절은 대부분 그 후에 중건된 것이다. 금산사와 함께 전라북도의 대표적인 절이다. 내장산 산봉우리들이 병풍처럼 둘러싼 가운데에 자리 잡아 주변 경치가 매우 아름다우며, 특히 가을철 단풍이 들 무렵의 절 주변의 아름다움은 이루 말할 수 없다. 백양사, 방장산, 장성호, 담양호 등이 주변에 있고 주요 문화재로는 내장사 이조 등종이 보존되어 있다.
내장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동종으로 고려 후기 동종에서 보이는 일반적 양식을 갖추고 있다. 내장사가 중건된 후 전라남도 보림사(寶林寺)에서 옮겨온 것이다. 일제 말기에는 놋쇠 공출을 피하여 원적암(圓寂庵)에 감추었고, 한국전쟁 중에는 정읍 시내 포교당에 피난시켜 보전을 꾀하였다. 높이 80㎝, 종신 길이 60㎝, 구경 50㎝의 소형이나 명문(銘文)이 확실한 조선 후기 범종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전북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모양은 마치 김칫독을 엎어놓은 것 같은 형태를 취하고 있다. 배 부분[鐘腹]과 견대(肩帶), 구 연대(口緣帶)도 확연하며, 문양대에도 4개의 유곽(乳廓)을 배치하였다. * 배부분에 비천상(飛天像) 대신 보살상을 양각 * 종정(鐘頂)에는 네 발로 천판(天板)을 딛고 용틀임하듯 구부린 용으로 용뉴를 만든 것이나 그 옆으로 음관을 낸 것도 격식 대로이다. 다만 배 부분에 비천상(飛天像) 대신 보살상을 양각한 것이 다를 뿐이다. 견대(肩帶)는 두 줄의 띠로 구분하여, 윗띠에는 당초문(唐草紋)을, 아랫띠에는 윗띠의 돌출 부분을 따라 여의두문(如意頭紋)을 배열하였다. 견대 밑에는 24개의 작은 원 문양을 돌리고, 그 안에 범자(梵字)를 양각하였다. * 영조4년에 주조된 동종 * 유곽은 각각 당초문을 새긴 사각 띠로 둘러싸고, 그 안에 3단 3열의 종유(鐘乳)가 정연히 배열되어 있다. 각 종유 주위는 둥근 연화문(蓮花文)이 받치고 있다. 유곽과 유곽 사이에는 2구의 보살 입상을 배치하고, 그 아래 둥근 모양의 꽃무늬 당좌(撞座)가 2개 있다. 당좌 사이에 ‘乾隆三十三年戊子十月施主趙漢寶全南長興步林寺鑄成(건륭 33년 무자 10월 시주조한보 전남장흥보림사주성) 云云’하는 종기(鍾記)가 있다. 조한보가 부친의 복을 빌기 위하여 조성하였다는 내용이다. 건륭 33년은 조선 영조 4년(1768)으로, 이 종이 주조된 해를 말해 준다.

정읍사예술회관

정읍사예술회관

11.1Km    2024-12-24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기4길 13

클래식과 국악 등 모든 장르의 음악회·뮤지컬·연극·무용 등의 무대예술 공연과 작품전시회, 학술세미나와 각종 행사를 개최하는 정읍시의 대표적인 문화 예술공간이다. 정읍사 국악원, 야외공연장과 함께 정읍사공원 내에 자리하며, 가까운 거리에는 우도농악 전수회관이 있다. 정읍사예술회관에서는 해마다 정읍의 역사와 문화를 소재로 한 창작공연을 제작하여 공연하고, 시립예술단의 정기연주회를 개최하며 각 무대예술 분야의 우수작 기획초청공연을 한다.

정읍시립미술관

정읍시립미술관

11.1Km    2025-01-08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기4길 7

정읍시립미술관은 기존 시립도서관을 리모델링하여 2015년 10월 24일 개관하였다. 지하 1층, 지상 2층 건물에 3개의 전시실, 수장고, 야외 전시 공간, 뮤지엄 교육실, 상상버스 등의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전문성과 대중성을 두루 갖춘 창작의 공간으로, 다양한 기획 전시와 문화예술을 통하여 시민들의 소통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역 문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정읍 예술인들의 창작 의욕을 북돋우며 미술문화를 뿌리내려, 세상을 아름답게 보는 특색을 갖춘 문화예술공간이다.

망부상과 망부사 사우

망부상과 망부사 사우

11.1Km    2024-12-05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읍사로 541

정읍사문화공원은 현존하는 유일한 백제가요 정읍사를 주제로 조성된 공원이다. 이곳에는 행상 나간 남편을 기다린 정읍사 여인의 망부석을 재현한 망부상과 그 여인을 기려 제례를 지내는 사당인 망부사 사우가 있다. * 백제 여인의 망부상 정읍사문화공원에는 정읍의 상징물인 백제 여인 망부상이 있다. 행상 나간 남편이 오랫동안 돌아오지 않아 그 아내가 산에 올라 바라보며 남편이 밤에 오다가 진흙탕물에라도 빠지지 않을까 걱정하면서 기다림 속에 안녕을 기원하는 가요 한편을 지어 불렀다. 이것이 오늘날 현존하는 백제가요 정읍사다. 여인은 남편을 기다리다 그대로 굳어 돌로 변해 망부석이 되었다. 정읍사공원의 맨 위쪽에 자리한 망부상은 허리띠를 두른 백제 여인의 의상을 갖추고 있다. 치마저고리가 하얀 색깔이며 아래까지 단이 있는 반코트를 입고 있다. 망부상은 지금도 남편을 기다리는 간절한 염원을 담은 듯 정읍 시가지를 바라보며 양손을 모은 채 서 있다. * 백제 여인을 기리는 망부사 사우 정읍사문화공원안의 망부상 서편 기슭에 있는 백제 여인을 위한 망부사 사우다. 망부상 사우는 1994년 7월 규모는 38㎡,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건립 하였으며, 행상나간 남편을 오직 사랑하나로 천년을 기다린 정읍사 여인의 영정을 모시고 부덕과 부도 정신을 계승하고 기리는 제사를 가을에 열리는 정읍사문화제 때 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