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광주과학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국립광주과학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국립광주과학관

14.9Km    2025-03-21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과기로 235

국립광주과학관은 정부의 2003년 과학관 육성계획에 따라 추진 설립되었다. 광주 첨단산업단지에 조성된 광주과학관은 빛과 과학과 예술에 특화된 과학관으로서 우주선 모양의 건물 외형에 미래를 향한 꿈과 희망을 담았으며, 체험 중심 전시물들로 주로 구성되어 관람객들이 오감으로 체험하면서 상상력과 창의력을 키우고 미래지향적 사고를 키우고 과학에 대한 이해와 호기심을 충족할 수 있다.

명가은

명가은

14.9Km    2025-01-13

전라남도 담양군 반석길 48-8

명가은은 소쇄원 인근에 있는 전통찻집으로 내부 곳곳 세월의 흐름을 간직한 고가구와 전통 소품이 놓여 있는 소담스러운 한옥이다. 직접 차를 우려내면서 편안한 휴식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연꽃을 띄운 연꽃차와 함께 곁들여져 나오는 백설기로 허기를 살짝 달랠 수 있다. 아담하고 아늑한 전통찻집 명가은은 다도를 가르치던 대표가 농가를 구입한 1989년부터 손수 가꾸고 꾸민 공간이다. 낡은 농가를 직접 손보면서 찾아온 지인들에게 차를 대접한 데서 시작한 찻집이다. 베푸는 마음만 받던 친지가 오래된 궤짝을 주며 ‘이곳에 담는 마음만큼은 사양하지 말라’는 데서 지금도 찻값을 손님이 궤짝 위에 올려두고 나간다는 일화가 있다.

뜻모아센터

뜻모아센터

14.9Km    2025-04-10

광주광역시 북구 서하로245번길 42 (오치동)

유한회사 뜻모아센터는 탄소중립공예를 주력으로 하는 공예 체험 업체이다. 재활용 가능한 다양한 재료와 공기정화식물인 스칸디아모스를 활용한 공예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해 지역축제에서 다양한 연령층의 관광객을 만나고 있다. 스칸디아모스와 접목한 추억의 못난이 인형, 언제나 싱그러운 스칸디아모스 커피박 화분, 키링 만들기는 유한회사 뜻모아센터의 인기 체험 프로그램이다. 최근 개발한 ‘광주를 담은 한입마카롱’ 체험 프로그램은 광주의 주요 관광자원을 식용물감을 이용해 마카롱에 직접 표현해 보는 프로그램이다.

백년한우

백년한우

14.9Km    2024-02-19

광주광역시 북구 연양로67번길 5

광주광역시 양산동 골목길 안쪽에 위치한 백년한우는 한우전문점이다. 독립된 건물로, 심플하고 세련된 외관으로 손님들을 맞이한다. 내부는 한옥풍으로 꾸며져 있으며 개별 룸뿐만 아니라, 단체 모임을 위한 맞춤 공간까지 다양한 자리가 있다. 최상급 한우만을 사용하는 백년한우의 갈빗살은 근육과 지방이 3층으로 겹쳐져 있어 맛이 뛰어나고 식감이 좋다. 꽃살로 불리는 살치살은 고소함과 풍미가 뛰어나며 한 마리당 1kg 정도만 나온다는 안창살도 맛볼 수 있다. 식사 메뉴로는 생고기와 산낙지 탕탕이, 갈낙탕, 차돌된장전골, 육회 비빔밥, 한우 육개장 등이 있다. 한우고기를 주문하면 서비스로 천엽, 선지 등 특수 부위가 나와 다양한 맛을 즐길 수 있다. 30년 경력의 요리 전문가가 직접 요리하는 식당으로 100명이 넘는 단체 손님도 가능한 곳이다. 주차장이 넓어 주차가 편리하다.

강천산휴양농원

강천산휴양농원

14.9Km    2025-03-18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구림면 강천로 854-23

강천산휴양농원은 전북 순창군 구림면에 위치한 곳으로 1990년부터 터를 닦아 1997년 본격적인 관광농원으로 문을 열었다. 강천사 입구 삼거리에서 정읍 쪽으로 1.5㎞ 거리인 중바위 유원지 안에 자리 잡고 있다. 33,058㎡(1만여 평)에 이르는 산자락에 잔디마당과 산장 형태의 숙박시설, 허브온실을 갖춘 허브전문 관광농원이다. 농원 안에는 숙박시설 외에도 자연 하천을 이용한 물놀이가 가능하며, 강천산 계곡 등 들러 볼 곳이 많다.

귀래정(순창)

15.0Km    2024-05-02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순창읍

귀래정은 전라북도 순창군에 있는 정자이다. 귀래정이란 이름은 신말주의 호를 딴 것이다. 현재 정자에는 귀래정기와 강희맹의 시문 등이 편액에 새겨져 있다. 귀래정은 1457년(세조 2년)에 신말주에 의해 세워졌다고 하는데 현재의 건물은 1974년에 다시 세운 것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되어 있다. 주변 관광지로 강천산군립공원, 국립회문산자연휴양림, 설씨부인신경준선생유지 등이 있다.

광주북구청소년수련관

광주북구청소년수련관

15.0Km    2025-03-26

광주광역시 북구 대천로 86

광주광역시 북구 문흥동 문화공원에 위치하고 있는 광주북구청소년수련관은 조용하고 쾌적한 도심 속의 휴식공간으로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다. 또한 청소년들이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는 운동장과 체육시설, 공연장이 있어 청소년들의 문화생활의 선구자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청소년들이 영화를 만들 수 있는 청소년멀티미디어센터, 최신 뮤직비디오와 영상, 음악 등을 감상할 수 있는 음악감상실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어 청소년들이 바르고 슬기롭게 자랄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과 이벤트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청소년수련관에서는 청소년의 문화의식 함양, 정신수련 등을 위해 청소년 대상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중에 있다. 독서, 보드게임, 미술, 논술, 오카리나, 회화력영어 등의 문화 생활을 위한 사회교육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외에 댄스스포츠, 챠밍디스코, 에어로빅, 요가 등 생활체육 분야의 교육도 진행중이다.

예솔분재원

예솔분재원

15.1Km    2024-05-23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구림면 강천로 952

예솔분재원은 고추장으로 유명한 전라북도 순창군 강천산 자락에 자리 잡고 있으며, 350평의 전시장과 400평의 야외 전시장을 갖추고 있다. 소재 배양관, 작품 전시장, 명품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일반적인 분재 단지 두세 개를 합한 규모이다. 이러한 규모를 바탕으로 시중 가격의 60-70% 정도에 소비자들에게 분재 작품을 공급하고 있다. 1999년부터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인터넷을 통해서 분재를 유통하는 시대를 열었으며, 분재 관련 기술과 관리 방법을 인터넷에 공개하였고, 최초로 전시 상태의 분재 그대로를 택배하면서 분재 유통의 새로운 방법을 선도해 왔다. 분재원이 있는 강천산은 물이 맑고 아름다워 사계절 가족 관광지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25분 거리에 내장산, 10분 거리에 담양댐과 추월산, 가마골 그리고 회문산이 있다.

오페라하우스

오페라하우스

15.1Km    2024-02-28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로 1149

시드니의 오페라하우스를 닮은 전라남도 담양군의 오페라하우스는 패밀리 레스토랑이다. 입구에는 비단잉어가 여유롭게 헤엄치고 있고 봄에는 철쭉이 단아한 자태를 뽐낸다. 황태구이, 누룽지해물탕, 토마토 파스타, 곤드레 돌솥밥, 삼치구이, 삼계탕 등 다양한 메뉴를 취급한다. 메뉴 선택 시 신선한 파프리카, 토마토, 양상추, 단호박 샐러드, 황도 등 샐러드 바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한식, 중식, 양식 취향에 맞게 고를 수 있어서 남녀노소 온 가족의 입맛을 만족시킬 수 있다. 가족 모임이나 특별한 날 즐기기에 제격인 레스토랑이다. 주변에 소쇄원, 독수정, 식영정 등 문화재가 있어 연계 관광을 즐기기 수월하다.

순창향교

15.1Km    2024-05-31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순창읍 교성1길 13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교성리에 있는 향교. 1413년(태종 13)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그 뒤 군수 김수광(金秀光)이 군 북쪽의 옥천동으로 이건 하였으며, 1560년 군수 신련(申璉)이 중수하였다. 1661년에 군수 윤완지(尹完之)가 이건 하였고, 1694년 낙뢰로 파괴된 것을 1713년에 군수 조태기(趙泰期)가 오산 아래로 이전하여 중창하였다. 1950년에 6·25 전쟁으로 소실되었다가 1959년 군수 김인덕(金仁德)이 중수하였으며, 1974년과 1975년에 보수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 향교의 대성전은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어 있으며, 5성(五聖), 10 철(十哲), 송조 6현(宋朝六賢), 우리나라 18현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다. 그러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奉行)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다. 현재 전교(典校) 1명과 장의(掌議) 수명이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