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별장순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전라도별장순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전라도별장순대

전라도별장순대

10.3 Km    17147     2023-05-31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로59길 14
02-883-6103

신림동 순대타운에서는 순대와 각종 야채, 떡살 등이 어울린 맛을 볼 수 있다. 양념의 매콤한 맛과 야채의 신선함, 떡과 면의 쫄깃한 맛이 어울려 있다. 특히 고소한 백순대의 맛은 일품이라 할 수 있다. 전라도별장의 위치는 순대타운 3층에 311호에 자리하고 있으며 한 층에 낮은 칸막이로 식당을 구분하고 있어 공간이 넓어 보인다. 긴 의자에 옹기종기 모여 앉아 가족과, 친구와, 연인과 함께 음식을 즐길 수 있다.

제일콩집

제일콩집

10.3 Km    15679     2023-03-10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174길 37-8
02-972-7016

공릉동에 위치한 제일콩집은 25년의 전통을 자랑하는 전문 콩요리집이다. 강원도 홍천에서 공수해온 국산 콩만을 사용하여 맷돌로 손수 갈아 손님상에 내놓기 때문에 더욱더 고소하고 담백한 맛을 낸다. 또 그날 그날 사용할 만큼의 양만 갈기 때문에 항상 신선한 음식을 대접한다는 것도 최상의 맛을 내는 비결이기도 하다. 손두부, 콩탕, 청국장, 순두부, 두부찌개, 콩국수 등 콩을 사용한 다양한 요리가 준비되어 있다. 특히 여름철에는 고소하고 담백한 콩국수 요리가 단연 인기 메뉴라 할 수 있겠다. 그 옛날 어머니가 만들어준 고향의 맛이 생각나게 하는 토속적이고 가정적인 깔끔한 음식이 인상적이다.

유네스코 지정 문화유산 안을 거닐다

유네스코 지정 문화유산 안을 거닐다

10.3 Km    2756     2023-08-08

고양은 자연․문화유산이 풍요로운 고장이다. 유네스코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한 서오릉과 서삼릉은 고요히 사색에 잠겨 거닐기 좋다. 북한산성이나 행주산성, 일산 호수공원 또한 가벼운 산책을 즐기기에 더없이 좋은 곳이다. 경마교육원은 사진 출사지로 이름 높고, 원당허브랜드에서는 허브 향으로 몸과 마음을 채울 수 있다.

스타쉐프

스타쉐프

10.3 Km    2     2021-03-15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38길 38-6
02-529-8248

동&서양의 퓨전요리를 맛볼 수 있는 곳이다. 대표메뉴는 스테이크다.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중식전문점이다.

상운사(경기)

10.3 Km    23821     2024-01-25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서문길 197-22

상운사는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고양시의 경계를 이루는 북한산 원효봉(元曉峰) 남쪽 중턱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직할사찰이다. [상서로운 구름 속의 사찰]이란 이름의 상운사는 북한산의 대표적인 사찰 가운데 하나로 원효봉, 영취봉, 백운대, 만경대, 노적봉 등 수려한 봉우리들이 병풍처럼 둘러친 곳에 세워져 있다. 전하는 얘기에 의하면 상운사는 신라시대에 원효스님이 당나라 유학을 포기하고 다시 돌아오는 길에 북한산에서 잠시 수행을 할 때 창건할 때 창건되었다고 한다. 상운사의 실질적인 창건은 1722년에 회수 스님에 의해서이며 북한산성을 축성한 이후 산성의 수비와 관리를 위해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현재 상운사는 사찰의 규모는 그다지 큰 편이 아니지만, 한때는 130여 칸에 달하는 건물이 세워져 있었다고 한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 산신각, 요사채 등이 있다. 절 뒤에는 원효대사가 좌선하였다는 바위가 있다.

흥부보쌈

흥부보쌈

10.3 Km    2     2021-03-16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로59길 15-13
02-888-9464

직장인 회식 및 모임을 하기 좋은 곳이다. 서울특별시 관악구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보쌈이다.

레스토랑담

레스토랑담

1.0 Km    2     2021-03-10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길 30-7
02-730-3624

유명작가의 그림을 감상하는 갤러리 분위기의 레스토랑이다. 대표메뉴는 목살 스테이크이다.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양식전문점이다.

봉화산(서울)

봉화산(서울)

10.3 Km    30629     2023-12-10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로21길

봉화산은 서울의 동북부 외곽인 중랑구 상봉동, 중화동, 묵동, 신내동에 접하여 있고 정상까지 높이는 160.1m로 평지에 돌출된 독립 구릉이다. 동쪽에 아차산 주 능선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북쪽으로 불암산, 도봉산과 양주 일대까지 잘 조망되며, 서쪽과 남쪽으로도 높은 산이 없어 남산과 이남 지역도 잘 보이는 지역이다. 봉화산은 일명 봉우재라고 불리는데 1963년 1월 1일 경기도에서 서울시로 편입되었다. 이곳은 북쪽 양주의 한이산에서 연락을 받아 목멱산(남산)으로 전달하는 아차산 봉수대가 있던 곳으로 지난 1994년 11월 7일 봉수대를 복원하였다. 봉화산의 주요 수종은 소나무이며, 기슭에는 먹골배로 유명한 배나무밭이 조성되어 있는데 점차 주변 지역으로 잠식되고 있다. 한편 봉화산 정상에서 약간 남쪽에 봉화산 도당인 산신각이 있으며, 약 400년 전에 주민들이 도당굿과 산신제를 지내던 곳이기도 하다. 현재 산신각은 1992년 여름에 일어난 화재로 소실되어 지금은 붉은 벽돌과 시멘트로 지은 새 건물이 들어서 있다. 해마다 음력 3월 3일에 산 정상 부근에 있는 산신각(도당)에서 서울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봉화산 도당제가 열린다.

몽골 울란바타르 문화진흥원

몽골 울란바타르 문화진흥원

10.3 Km    18976     2023-11-14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로 1

몽골 울란바타르 문화진흥원은 낯설고 멀게만 느껴지는 몽골을 우리 사회에 보다 잘 소개하기 위하여 한국과 몽골 양국의 수도인 서울시와 울란바타르시의 지원하에 2001년 설립된 문화원이다.
2001년 설립된 이 후 매년 재한몽골인들을 위한 나담축제 행사를 개최하고 있으며, 몽골문화한마당, 몽골봉사단, 몽골어학당 등 다양한 문화교류활동을 통하여 한국과 몽골을 잇는 특튼한 가교로서 노력하고 있다.

아차산봉수대터

아차산봉수대터

10.3 Km    19245     2023-10-18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

아차산 봉수대지는 함경도와 강원도 방면에서 남산 제1봉수로 연결되는 제1봉수의 말단으로 양주의 한이산에서 봉수를 받아 목멱산 (남산) 제1봉수로 전달해 주던 곳이다. 봉수는 대개 수십 리의 일정한 거리마다 후방의 요지가 되는 산꼭대기에 봉수대를 설치하고 밤에는 횃불, 낮에는 연기로써 외적이 침입하거나 난리가 일어났을 때에 나라의 위급한 소식을 중앙에 전달하던 제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봉수제가 시행되었던 것으로 추측되나 본격적인 국가제도로 확립된 것은 고려시대로 조선시대까지 이어져 세종 때에 체계적인 봉수제가 확립되어 전국적인 봉수망이 정비되었다. 이후 1894년 봉수제도가 전화통신체제로 바뀌게 되면서 봉수제도는 폐지되었다. 조선 시대의 문헌에 아차산 주봉에서 북쪽으로 벗어난 능선의 서쪽 봉우리에 있다고 표시되어 있어, 이곳이 아차산 봉수대터임이 밝혀졌고 터만 남아있던 것을 서울정도 600년 기념사업의 하나로 1994년 복원하였다. * 면적 - 4,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