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당산 맨발로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금당산 맨발로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금당산 맨발로

금당산 맨발로

8.4Km    2025-03-21

광주광역시 서구 풍암동

금당산 맨발로는 1구간 벽진서원~인공폭포 700m, 2구간 인공폭포~원광대 한방병원 3,400m로 총 3,470m의 마사토 맨발로이다. 마사토 맨발로는 피부를 자극하여 혈액 순환 개선 및 근육이완, 치매 예방 등에 효과가 있다. 금당산 맨발로는 황토를 좋아하는 관광객을 위한 황토탕, 발을 씻을 수 있는 세족장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유아숲체험원과 연계한 맨발쉼터가 마련되어 있어 숲내음을 즐기며 맨발 힐링이 가능한 곳이다.

물고기 커피 로스터스

물고기 커피 로스터스

8.4Km    2025-03-19

광주광역시 동구 장동로 34 (동명동)

물고기 커피 로스터스는 제 2회 동명동 커피산책 올해의 커피 경연대회 대상을 수상한 핸드드립 커피 명가이다. 일일이 수작업으로 핸드 피킹해서 직접 로스팅한 신선한 원두와 20여종에 달하는 커피 드립백이 커피 애호가들 사이에 명성이 자자한 곳이다. 특히 게이샤 커피와 아프리카, 라틴 커피는 물론 인도, 중국 등 아시아 지역 커피도 맛볼 수 있어 인기있는 곳이다.

유소바

유소바

8.5Km    2025-01-21

광주광역시 남구 천변좌로 468

광주광역시 양림동 유소바는 회색 외관이 마치 깔끔한 냉장고 같아서 외관부터 시원함을 주는 곳이다. 모퉁이에 있는 식당이라 좌석이 많지 않지만 작고 소담스러운 내부는 일본 영화나 드라마의 주인공이 된 기분을 들게 한다. 오픈된 주방이라 주문 후 바로 만드는 요리사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덴푸라 (온/냉) 정식, 냉마구로 정식, 우삼겹 (온/냉) 정식이 메인 메뉴이고 우삼겹덮밥, 빨간 소바 등 단품 메뉴도 있다. 주차는 기독병원에서 학강초 방향으로 내려오다 보면 515카페 지나서 나오는 오른쪽 골목에 주차할 수 있다. 점심시간에는 천변에 주차해도 된다.

손길게스트하우스

8.5Km    2020-03-18

광주광역시 동구 경양로 362-1
062-264-8745

#본 업소는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으로 외국인만 이용이 가능하며 내국인은 이용할 수 없습니다.

아시아문화의전당 1km안에 있는 갤러리와 게스트하우스가 함께 하는 곳 이다.

디바인호텔

디바인호텔

8.5Km    2024-07-31

광주광역시 동구 양림로119번길 5 (학동)
062-250-0700

디바인호텔은 광주광역시 남광주역에서 도보 5분거리, 국립 아시아문화전당에서 10분 거리에 위치한다. 객실은 스탠다드룸부터 스위트룸까지 4개 타입으로, 모든 객실에 공기청정기와 고성능 PC가 구비되어 있고 넷플릭스와 디즈니플러스 시청이 가능하다. 일부 타입에는 스타일러와 비데도 있다. 매일 소독하여 객실을 청결하게 관리한다. 수화물 보관, 토스트, 씨리얼, 라면 등 간단한 조식 및 음료와 아이스크림을 무료 제공한다. 주차장이 넓다.

전남대학교 의학박물관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구 본관)

전남대학교 의학박물관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구 본관)

8.5Km    2025-03-20

광주광역시 동구 백서로 160 (학동)

전남대학교 의학박물관은 2012년 8월 21일에 개관하였다.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구 본관’이었던 의학박물관은 1951년에 준공되어 1952년부터 1957년까지 전남대학교 본부로 사용되었다. 전남대학교에서 현존하는 건물 중 가장 오래된 건축물로서 의학박물관은 건물의 역사,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8년 8월 6일 등록문화재 제728호로 지정되었다. 모더니즘의 세련된 디자인, 조적조 벽체와 철근콘크리트 바닥, 천장과의 매끄러운 연결 등이 건축사적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현재는 전남의대 동문 및 의료인의 사료를 기증받아 제1종 전문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동리단길 카페거리

동리단길 카페거리

8.5Km    2025-06-17

광주광역시 동구 동명동

핫플레이스로 떠오르고 있는 동명동 카페거리는 1970~90년대를 정점으로 고급 주택과 오래된 한옥들이 혼재된 광주의 대표적인 부촌이었다. 한때 원도심 침체에 따라 활기를 잃기도 하였지만, 학원이 동명동에 집중되며 부모들을 위한 카페가 생기기 시작했다. 이 카페들이 점차 개성을 가지고 독특한 인테리어와 음료를 추구하면서 다양한 스타일의 카페들이 들어서며 오늘의 로컬 브랜드로 자리 잡은 동명동 카페거리가 만들어졌다. 독특한 분위기와 다양한 스타일, 테마의 카페들이 모여 있어 방문객들은 자신에게 맞는 분위기와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동리단길은 골목길과 작은 공원이 많이 있어 산책이나 휴식을 즐길 수 있는 좋은 장소이다. 현재는 바닥에 쓰인 글과 이색적인 그림의 벽화도 볼만하고 이색 카페, 예술 작품, 쉼터로 떠오르는 여행 스폿이 되었다. 구도심 골목에 생겨난 카페거리라서 주차가 원활하지 않으나 근처에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부설주차장이 있다.

광주각화농산물도매시장

광주각화농산물도매시장

8.5Km    2025-08-08

광주광역시 북구 동문대로 260

1991년 2월 개장한 각화동 농산물 도매시장은 부지면적 56,206㎡에 건축면적 35,657㎡의 크기로, 호남 최대의 농산물 도매시장이다. 과실류, 과채류, 뿌리채소류, 엽채류 등의 도매가 경매를 진행하는 곳으로 산지 유통인이 출하한 농산물을 광주원협, 광주청과, 중앙청과 등 3곳의 도매시장 법인에서 경매하여 중도매인(도매시장에 상장된 농산물을 매수하여 도매 거래하거나 매매를 중개하는 영업을 하는 자), 매매참가인(농산물을 직접 매수하는 가공업자, 소매업자, 수출업자, 소비자 단체 등 실수요자)에게 매매한다.

[무등산 옛길 3구간] 장원삼거리-환벽당

[무등산 옛길 3구간] 장원삼거리-환벽당

8.5Km    2025-08-07

광주광역시 동구 산수동
062-227-1187

무등산은 ‘광주의 진산이며, 포근하고 후덕한 어머니의 산’이라고 부른다. 도심 배후에서 도시를 감싸 안고 있으며, 동서남북 어디에서 누구나 쉽게 접근이 가능하고 모나지 않아 그렇게 부른다고 한다. 또한 도심 10㎞ 이내에서 해발 1,000m 이상을 자랑하는 세계적인 산이다. 이곳 무등산에 조성된 길이 ‘무등산 옛길’이다. 무등산 옛길은 선인들의 자취를 따라 생각하며 천천히 걷는 마음의 길이자, 무등산이 간직한 수천 년의 역사를 이야기로 녹여내는 길이다. ‘무등산 옛길 3구간’은 나뭇꾼길과 역사길 등 약 12㎞로, 걸어서 탐방하는데 총 5시간이 소요된다. 나무꾼길은 장원삼거리~덕봉~충장사 구간으로 옛날부터 나무꾼들이 주로 이용하던 길이다. 우리 조상들이 나무짐지고 가파른 산을 힘들게 오르내렸던 모습을 생각하며 끈기 있게 오르길 추천한다. 역사길은 충장사~풍암정~환벽당(가사문화권) 구간으로 숲과 계곡과 들판을 지나 풍암정, 김덕령장군의 생가, 환벽당 등을 비롯해서 가사문 화권을 연결하는 길로 역사체험, 정자문화체험, 농촌체험을 겸할 수 있다.

아리따움 광주진월점

아리따움 광주진월점

8.5Km    2024-04-23

광주광역시 남구 진월동25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