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경지(능제저수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만경지(능제저수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만경지(능제저수지)

16.4 Km    19627     2024-06-04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만경읍 장산리
063-540-3601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사무소에서 익산 방향으로 300여 미터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는 김제평야의 농업 관개용 중심 저수지로 능제저수지라고도 부른다. 만경지는 동국여지승람의 만경현조에도 능제라고 기록되어 있는 오래된 저수지이다. 본래는 주변 구릉지의 물을 가두는 재래지였으나, 1930년 확장 공사를 시작하고 그해 12월에 준공되어 운암호의 물을 받아 저장하는 저수지가 되었다. 현재 능제저수지는 한국농어촌공사 동진지사가 관리하고 있으며 화려한 연꽃이 아름다운 곳이며 낚시터로도 이름을 얻고 있다.

파노파니

16.4 Km    0     2024-01-23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무왕로 (861)

파노파니는 익산 원광대 부근 위치한 레스토랑이다. 넓고 쾌적한 공간에서 분위기 있는 식사가 가능한 곳이다. 고급스러운 인테리어로 단체 모임을 갖기에 좋은 곳이다. 가게 앞에 주차 가능하며, 주차장 건물 뒷편에도 주차가 가능하다.

남산서원(김제)

16.4 Km    1105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성덕면 만경로 600-92

서원은 훌륭한 유학자의 제사를 지내고 지역민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한 조선시대 지방의 사립 교육기관이다. 남산서원은 1574년(선조 7)에 창건, 1870년(고종 7) 서원 철폐령에 의해 훼철되었다가 1970년 이 지역 유림들에 의해 복원되었다. 병자호란 당시 척화파였던 유지화(1599~1680)를 중심으로 동강 남궁제를 제향하고 있다. 유지화는 1633년(인조 11) 효행으로 천거되어 창릉참봉에 제수되었으며, 선공감봉사, 상의원주부 등을 역임하였다. 1636년 근친하는 일로 귀향하였다가 병자호란을 당하자 위험을 무릅쓰고 남한산성에 호종하고 척화론을 주장하였다. 경내의 건물로는 3칸 사우인 경의사, 산문인 경의문 등이 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경의사 중앙에는 유지화와 남궁제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현재 사당에서는 매년 정기적으로 유지화와 남궁제를 기리고 그들을 추모하기 위해 제향이 모셔진다.

익산 구 익옥수리조합 사무실 및 창고

16.4 Km    17971     2024-06-12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평동로1길 28-4

익산 구 익옥수리조합 사무실 및 창고는 1930년에 지어져 1996년까지 전북농지개량조합의 청사로 사용된 건물로서 현재 익산문화관광재단 익산문화도시지원센터 사무실로 이용되고 있다. 일본인 농장 지주들이 미곡의 생산량을 늘리고자 1930년에 지은 익옥수리조합의 사무소이다. 토지 개량과 수리 사업을 명분으로 설립되어 과다한 공사비와 수세(水稅)를 부담시켜 지역 농민을 몰락시키는 등 일제에 의한 우리나라 근대 농업 수탈의 역사를 증언하고 있다. 건물의 사무동은 연면적 237.3㎡, 창고는 건축면적 59.5㎡이다. 정면 중앙의 출입구와 그 위쪽 창호 부분은 테두리에 꽃잎 무늬 형상의 인조석으로 치장하여 붉은 벽돌과 대비를 이루며 맨사드 지붕의 목조 트러스 가구법에서 독특한 건축 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익산아트센터

익산아트센터

16.4 Km    1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중앙로 12-39

전북 익산시 원도심 내 위치한 익산아트센터는 익산문화예술의 거리 거점시설 공간으로 [고백]을 테마로 한 트릭아트 및 포토존, 전시관을 운영하고 있다. 1층 공간은 다양한 분위기로 포토존을 꾸며 놓았는데 인생샷을 남길 수 있을 만한 러블리한 포토존이 많아서 연인 가족들과 함께 방문하면 좋은 추억을 쌓을 수 있다. 2층은 휴식을 테마로 포토존과 함께 놀이공간과 1층에서 찍은 사진을 인화할 수 있는 인생사진 인화소도 있다. 익산아트센터 인생사진관에는 익산을 방문한 관광객들의 편의를 위해 캐리어 보관 서비스 및 피크닉 용품 렌탈서비스도 있어서 신분증을 맡기면 즉시 이용할 수 있으며, 이용객들에게는 익산 관광 캐릭터 [마룡]으로 제작된 네임텍도 증정된다.

익산그랜드팰리스호텔

익산그랜드팰리스호텔

16.4 Km    2319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목천로1길 9
063-843-2200

고귀한 천년고도 백제 역사를 품고 있는 유네스코 세계유산도시 익산 평화동에 위치한 그랜드 팰리스 관광호텔이다. 익산터미널 바로 옆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좋고, 주요 관광지들을 여행하기에도 좋다. 호텔 내에는 다양한 부대시설과 넓은 주차공간을 보유하고 있다. 수준 높은 비즈니스 활동이 가능한 대연회장과 소연회장이 마련되어 있으며, 전 객실 트윈배드와 금연 객실로 기업, 학교, 골프 등 단체 고객들이 이용할 수 있는 호텔이다.

익산 중앙동 구 삼산의원 (익산근대역사관)

16.4 Km    18272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중앙로 12-151

익산근대역사관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의사인 김병수가 1922년 삼산의원으로 개원했던 건물이다. 연면적 289.26㎡의 2층 건물로 당시로서는 규모가 큰 건물이었다. 건축 벽면에 수평의 띠 모양을 돌출시킨 코스코 장식을 두르고 건물 입구의 포치는 아치형을 이룬다. 8·15 광복 뒤에는 한국무진회사와 국민은행의 건물로 사용되었다. 현재는 익산근대역사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1층 전시실의 왼쪽 벽면에 남아 있는 금고와 창문틀은 당시 사용했던 실제 금고와 당시의 창문 모습을 그대로 전시되어 있다. 근대역사관은 1층 상설 전시 [이리, 익산의 근대, 호남의 관문을 열다] 라는 주제로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 이리, 역사의 근대역사를 설명하고 있으며, 2층은 기획전시실과 교육실로 구성되어 있다.

산정호수가든

16.4 Km    15871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웅포면 백제로 476-6
063-862-6915

산정호수 가든에는 민물매운탕, 메기 찜, 송어회, 닭볶음탕 등 영양식이 가득하다. 음식뿐 아니라 휴양 겸 리조트로 낚시도 할 수 있고 식당 바로 옆에 송천 호수가 있어 경치가 좋다. 주변 관광지로는 웅포 곰개나루, 웅포대교, 웅포 베어리버, 웅포 문화 체육센터, 붕새 언덕 마을, 입점리 고분전시관, 숭림사 보광전 등이 자리하고 있다.

원광대학교 박물관

원광대학교 박물관

16.4 Km    23383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익산대로 460

* 대학교 내 있는 종합박물관, 원광대학교 박물관 1968년 1월 도서관 4층에 20평 규모의 작은 전시공간과 274점의 소장 유물로 처음 문을 연 원광대학교 박물관은 이후 계속적인 성장을 거듭하여 1987년 6월에 지하 1층, 지상 4층, 연건축면적 6,065㎡ 규모의 전용 박물관이 건립됨으로써 명실공히 종합 박물관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지금까지 우리 박물관은 본교 재학생은 물론 지역주민에게 전통문화에 대한 산교육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왔는데, 현재 박물관의 고유한 기능과 함께 더욱 다양해진 문화적 욕구를 충족 시켜 주기 위해서 기획 전시 및 역사·문화에 대한 정기강좌와 유적 답사, 영상 자료의 활용 등을 통하여 문화기관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사회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원광대학교 박물관에 이렇게 많은 소장품이?? 원광대학교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유물자료는 고고 미술자료·불교미술자료 · 생활민속자료 ·무속 자료, 서화 및 탁본 자료, 고문서 ·한수 등 총 18,000여 점에 이르고 있다. 고미술 자료는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석제품, 도자제품, 금속 제품 등으로 시대의 흐름에 따라 기술의 발달 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와 우리 학교에서 발굴한 유물들이며, 불교미술자료는 삼국시대의 불상을 비롯한 불상류와 불교공예품, 그리고 조선시대의 불화가 주를 이루고 있다. 생활민속자료는 실생활에 쓰였던 농기구 및 각종 연모와 생활용품 등 선인들의 손때가 묻은 유물들을 고루 소장하고 있으며 서화, 탁본 자료는 조선시대 명사들의 서화와 전국 각지에 산재한 금석문의 탁본 자료이다. 무속 자료는 무속화·무신상·무신기·무복 등으로 무속 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자료들이라 할 수 있으며, 고문서는 교지·호구단자·간찰·분재기 등으로 조선시대 사회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자료이고, 한수는 민간신앙에서 모셔진 신상을 중심으로 전통자수 기법으로 수놓은 작품들이다.

익산 중앙시장

익산 중앙시장

16.4 Km    1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중앙로3길 27

중앙시장은 1947년 4월에 개장한 상설시장으로 긴 세월 익산시민과 함께하며 만남과 소통의 장으로서 그 역할을 다해왔다. 1층 의류, 한복, 액세서리, 농수산물을 판매하고, 2층은 한약재, 떡, 반찬류, 식육, 음식점 등의 상가들이 형성되어 있다.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몇 해 전 새 단장을 한 중앙시장은 비올 때를 대비한 천장, 특색 있는 테마거리를 갖추고 믿을 수 있는 다양한 지역상품과 먹거리를 제공하는 21세기형 고객 맞춤 시장으로 발돋움하고 변화했다. 또 기존 시장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시장 간판이 있어 전통시장을 찾는 고객들을 위한 노력과 배려를 느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