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소베이커리 고구마빵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몽소베이커리 고구마빵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몽소베이커리 고구마빵

몽소베이커리 고구마빵

17.1Km    2025-01-20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남부순환로 5

고급스러운 분위기에, 깔끔한 내부 인테리어가 인상적인 몽소베이커리는 자연 친화적으로 발효종을 배양시켜 얻어지는 효모로 만든 천연 발효종 빵을 만드는 곳이다. 이스트를 최소화하고,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자연발효 방법으로 만든 빵은 소화가 잘되고 당지수도 낮아 건강하게 먹을 수 있다. 특히 해남 특산물 고구마로 만든 앙금을 넣어 만든 쫄깃한 찰고구마빵이 유명하다. 그 외 고구마 브리오슈, 자몽 타르트, 먹물 바게트 등 다양한 종류의 빵을 구입할 수 있다. 가게 앞에 주차장이 있어 방문이 편하고, 근처에 우슬 저수지로 가볍게 산책하기도 좋다. 택배 주문도 가능하다. ※ 반려동물 동반 불가

녹동서원(영암)

녹동서원(영암)

17.1Km    2025-03-17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낭산로 10-41

녹동서원은 인조 8년(1630)년에 ‘존양사(存養祠)’라는 이름으로 창건되어, 숙종 39년(1713)에 ‘녹동’이란 사액을 받아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서원에는 창건당시 연촌 최덕지(1384∼1455)만을 모시고 있었으나, 그 뒤 최덕지의 손자인 산당 최충성(1458∼1491), 문곡 김수항(1629∼1689), 농암 김창협(1651∼1708) 등을 차례로 모셨다. 녹동서원에는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영암녹동서원소장목판및고문서류’가 보관되어 있다. 대표적인 고문서로는 원생들의 명단을 적은 「서원청금안」25책, 「서원서재유안」2책, 「심원록」5책, 「합경재보노안」3책 등을 비롯하여 통문, 완의, 노비기증문서 등의 낱장 문서가 있다. 또한 목판으로는 「연촌유사」, 「문곡집」, 「산당집」등 모셔진 인물들의 문집 목판과 인근지역의 인물의 「석천집」 등이 있다. 이 유물들은 녹동서원의 연혁, 조직과 운영, 경제기반, 유생들의 명단 등 종합적이고 다각적인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마루

마루

17.1Km    2021-03-13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남부순환로 13-3
061-533-6436

해남 낙지를 이용한 낙지 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갈낙탕이다.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땅끝에서 즐기는 캠핑여행

땅끝에서 즐기는 캠핑여행

17.2Km    2023-08-11

땅끝마을은 우리나라 최남단으로 그 의미만으로도 꼭 한 번 찾아가봐야 할 곳이다. 해남읍내에서 땅끝마을에 이르는 길에는 고산 윤선도의 유적지인 녹우단을 비롯해 달마산 미황사, 갯벌체험을 할 수 있는 대죽마을 등을 차례로 만나볼 수 있다. 송호리해변의 아름다운 송림에는 땅끝 오토캠핑장이 있어 캠핑을 즐기기에도 제격이다.

낭산김준연선생기념관

낭산김준연선생기념관

17.2Km    2025-07-02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영암로 1498

낭산 김준연선생 기념관은 전남 영암군에 위치한 곳으로 영암 출신의 독립운동가이자 우리나라 초대 국회의원을 지낸 낭산 김준연(1895~1971) 선생의 업적을 기리기 위한 기념관이다. 낭산 김준연선생은 영암의 대표적인 위인으로 항일운동에 힘쓰시고, 대한민국 헌법 제정과정에도 기여하셨다고 한다. 기념관은 기념관 건물과 사당, 묘비석, 생가, 공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에는 김준연 선생의 업적과 투쟁 과정들을 전시한 것을 볼 수 있다. 이곳은 지역민의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데 큰 영향을 주고 관광객들에게는 산책코스 및 숲 속 공원 휴식처를 제공한다.

고산 윤선도 유적지

17.2Km    2024-07-10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녹우당길 135

조선조의 문신(文臣)이자, 국문학의 비조로 일컬어지는 고산 윤선도(1587-1671) 선생의 유적지로 사랑채인 녹우당이 있다. 600년 전통을 이어온 해남 윤씨 어초은파의 종가 고택인 녹우당은 덕음산을 뒤로 우리나라 최고의 명당자리 중의 하나로도 알려진 곳이다. 현재 고산유적지에는 오랜 역사와 전통을 말해주는 은행나무와 비자림, 사랑채인 녹우당, 안채, 행랑채, 헛간, 안사당, 고산사당, 어초은사당 ,추원당, 고산유물전시관등이 있어 조선시대 양반가 중 가장 많은 유물 (5,000여 점)을 보관해 온 집안으로 잘 알려진 곳이다.

해남 땅끝에서 1박 2일 코스

해남 땅끝에서 1박 2일 코스

17.2Km    2023-08-09

해남 땅끝의 문화와 자연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코스다. 고산 윤선도의 유적지에서 그의 시에 그린 풍광를 바라보자. 땅끝은 풍류와 의미가 그대로 살아있는 곳이다. 땅 끝에 갔으니 땅끝 관광지는 빠질 수 없으며, 철새도래와 공룡 화석 유적지는 아이들에게 즐거운 체험 여행지가 될 것이다.

끝은 또 다른 시작 해남發 희망버스!

끝은 또 다른 시작 해남發 희망버스!

17.2Km    2023-08-10

한반도 남쪽 끝자락 해남. 끝은 또 다른 시작이라고 했던가. 덕분에 사람들은 끝과 시작이라는 상징성을 쫓아 해남땅 끝을 찾아든다. 그러나 해남은 땅 끝만 보고 가기에는 볼거리며 먹을거리가 넘쳐나는 곳이다. 이왕 찾은김에 구석구석 누벼보자.

해남향교

17.2Km    2024-06-19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향교길 20

해남향교는 고려 충렬왕 때 창건한 것으로 추정된다. 태조 7년(1398)에 현유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하였으며 성종 13년(1482)에 현재의 위치로 이건 하였다. 명종 4년(1549)에 중수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소진되었다가 광해군 2년(1610)에 중건하였다. 그 후로도 몇 차례 더 중수하였다. 해남향교는 경사 지형에 지어져 전학후묘의 배치 모습을 하고 있으며, 일직선상에 대성전과 내삼문, 명륜당을 배치하고 있다. 내삼문과 담장으로 둘러진 대성전을 중심으로 동재와 서재가 있고 정면에 누대형의 명륜당이 있고 고직사가 1동 있다. 해남향교는 현재 해남 유림들의 활동 근거지로 매년 봄, 가을에 석전제를 봉행하고 청소년들에게는 충효교실, 선비체험 및 인성교육 등을 열어 교육적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유락횟집

유락횟집

17.2Km    2021-03-13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남부순환로 25
061-534-1449

세련된 인테리어의 전통 일식 회 전문점이다.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참치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