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평죽암리고분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함평죽암리고분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함평죽암리고분

함평죽암리고분

14.2 Km    17968     2023-12-05

전라남도 함평군 손불면 죽암리

1994년 1월 31일 전라남도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이 고분은 함평군 함평읍과 손불면, 신광면이 교차하는 떼등이라 불리는 낮은 구릉의 말단부에 자리 잡고 있다. 현재는 넓은 농경지가 바라다 보이지만 바다 쪽에 제방을 쌓기 전에는 바닷물이 이 고분 앞까지 들어왔다고 한다. 고분의 형태는 북동쪽이 타원형상의 원형부이고 남서쪽의 앞이 팔자형으로 벌어져 방형부(方形部)를 이루는 전형적인 장고형(長鼓形)이다. 규모는 전체길이가 70m이며 원형부 지름 36~39m, 높이 8m이고 방형부 최대 너비 37m, 높이 7m, 허리 부분 너비 24m, 높이 5m이다. * 죽암리 고분군의 형태와 의의 * 구릉의 장축방향을 따라 축조되었으며 원부(圓部)는 구릉 위쪽에 해당하고 방부(方部)는 구릉 아래쪽에 해당한다. 분구 정상부에는 예비군 참호가 있으며 민묘도 있다. 죽암리고분과 같은 장고분(長鼓墳)은 영산강 유역에서 영광 월계고분, 함평 신덕(新德) 고분, 광주 명화동(明花洞) 고분과 월계동(月桂洞) 고분, 영암 자라봉고분, 해남 용두리(龍頭里) 고분과 장고산(長鼓山) 고분 등 10여 기가 발견되었으며 그 가운데서도 죽암리고분이 해남 장고산 고분과 함께 70m급의 규모로 가장 큰 편이다. 이러한 장고분들은 당시 영산강유역에서 성행하였던 고분과는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일본에서 유행하고 있던 전방후원분(前方後圓墳)과 동일한 유형이다. 때문에 그 피장자가 누구이며 일본에서 유행하던 고분이 왜 영산강유역에 축조되었는가 하는 문제가 영산강유역의 고대사를 구명(究明)하는데 중요한 관건이 될 것이다. 또한 지금까지 확인된 10여 기의 장고분들이 당시 영산강유역의 핵심지역인 나주 일대에서는 찾아볼 수 없고 외곽지역에만 발견되며, 군집된 것은 없고 1~2기씩 산재되어 있을 뿐이라는 사실에서 이는 그 피장자들이 여러 세대에 걸쳐 하나의 세력권을 형성한 것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문화재 정보] 지정종목 : 시도기념물 지정연도 : 1994년 1월 31일 시대 : 삼국시대 종류 : 고분 크기 : 전체 길이 70m, 원형부 지름 36~39m, 높이 8m

함평 기각리 붉가시나무 자생북한지

14.3 Km    19000     2024-06-17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기각리

함평 기각리 붉가시나무 자생북한지는 우리나라 난대성 식물 중 붉가시나무의 자생북한계지대로 알려져 있다. 이곳에 자생하는 붉가시나무는 1962년 12월 7일에 천연기념물 제110호로 지정되었다. 현재 차지하는 면적은 33㎡이며, 부락 집 뒤에 울타리와 같이 자라고 있으며 높이는 8m, 수관의 너비가 5m 정도이다. 목재의 빛깔이 붉다는 뜻에서 붉가시나무라 불리게 되었으며, 재질이 단단하고 잘 쪼개지지 않아 가구나 선박 등을 만드는데 이용된다. 붉가시나무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난대성 늘푸른 넓은 잎나무의 난대성식물로 추위에 약해서 주로 산기슭과 계곡의 양지에서 자란다. 제주도와 남쪽 해안지방에 주로 분포하지만, 육지에서는 전라남도 함평군 대동면이 붉가시나무가 자라는 북쪽 한계선이 되기 때문에 식물분포학상 보존가치가 커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평림댐 장미공원

평림댐 장미공원

14.3 Km    3     2023-04-04

전라남도 장성군 삼계면 수연로 620

한국수자원공사가 장성에 평림댐을 건설하면서 명품 장미공원을 조성, 인근 주민과 관광객들을 위한 관광 명소가 되었다. 평림댐 장미공원에는 벽천폭포, 체육시설, 파고라, 전망대 등도 갖춰져 있으며, 옐로우 시티를 내세운 장성답게 특색 있는 노란장미도 볼 수 있다. 장미공원에는 체리 메이딜란트 장미, 하이브리드 티 장미, 랜드스케이프 장미, 플로리분다 장미, 덩굴장미, 멘티크 터치 장미, 미니어처 장미 등 총 130종 13,780주의 장미가 장관을 이룬다. 아름다운 장미를 보면서 힐링하는 장소가 되어준다.

대흥식당

대흥식당

14.5 Km    22442     2024-06-04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시장길 112
061-322-3953

대흥식당은 남도 음식점으로 지정받은 곳으로 30여년 동안 2대에 걸쳐 운영되고 있는 한우 전문점이다. 쇠고기는 함평 우시장의 한우 박살만 쓴다. 박살은 기름이 거의 없는 엉덩이 부위의 살코기로 육질이 부드럽고 비린내가 전혀 나지 않는다. 육회비빔밥에는 돼지비계가 함께 나오는데, 이것을 넣고 비벼야 제맛이다.

화랑식당

화랑식당

14.5 Km    2     2023-01-31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시장길 96

한우로 유명한 함평에 위치한 화랑식당은 신선한 한우의 허벅지나 엉덩이 살 등 기름기 없는 살코기 부위를 사용한 육회가 유명한 곳이다. 고소한 참기름을 얹은 육회와 예전 함평에서 먹던 방식대로 돼지비계 한·두 젓가락을 넣어 적당량의 고추장과 취향에 따라 무생채, 겉절이를 넣어 비벼 먹는 육회비빔밥이 제공된다. 기본으로 나오는 맑은 선짓국도 맛이 뛰어나다. 그 외에도 생고기, 구이류, 낙지비빔밥, 산낙지 등 신선한 재료의 맛으로 소문난 식당이다. 주변에 함평 터미널과 함평오일장이 열리는 함평천지전통시장이 있어 교통도 편리하고, 볼거리도 가득하다.

목포식당

목포식당

14.6 Km    16909     2023-12-01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시장길 32
061-322-2764

함평 장터 골목에 위치한 목포식당은 생고기·육회비빔밥 전문점이다. 생고기, 육회, 육회비빔밥, 육회돌솥비빔밥 등을 메뉴로 하고 있으며, 차량 이용 시 장터 내 주차장을 이용하면 된다.

함평장 (2, 7일)

함평장 (2, 7일)

14.6 Km    15681     2023-07-04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시장길 49-1
061-324-0026

전남 함평장은 예로부터 유명한 장터이다. 함평장을 가리켜 ‘함평 큰 소장’이라고도 부르는데, 이것은 함평의 우시장이 크기 때문에 붙여진 별명이다. 그만큼 함평 소시장은 소의 거래가 많다. 함평 우시장에서 장날에 사고 팔리는 소의 숫자는 평균 700여 마리나 된다고 한다. 그래서 ‘함평 큰 소장이 전남의 소값을 좌우한다’는 말까지 있을 정도이다. 예전의 함평의 장터는 인근의 여러 고을에서 몰려온 장꾼, 거간꾼, 구경꾼 등으로 성시를 이루었던 장터였다. 그러나 지금은 우시장을 비롯해서 몇 가지를 제외하곤 예전의 상품들은 현대화의 물결에 밀려나고 대부분 개량된 상품이 주종을 이루고 옛날의 모습은 사라졌다.

다보사(나주)

다보사(나주)

14.6 Km    19953     2023-10-31

전라남도 나주시 금성산길 83

* 아담하지만 문화재가 많은 천년 고찰, 다보사 *

다보사(多寶寺)는 금성산 남쪽 기슭의 깊숙한 골짜기에 자리 잡고 있다. 마치 산의 일부인 양 자연과 융화된 모습으로 찾는 이를 맞아준다. 아담하지만 여러 전각을 두루 갖추고 있는 천년고찰로, 좁은 골짜기의 지형 속에 적절히 배치된 건물의 단정한 모습이 매우 인상적인 사찰이다.다보사는 661년(신라 태종무열왕 8)에 원효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금성산에서 초옥을 짓고 수행하던 스님이 땅에서 솟아난 칠보로 장식된 큰 탑 속에서 다보여래(多寶如來)가 출현하는 꿈을 꾼 뒤 사찰을 창건했다 하여 사명을 다보사(多寶寺)라 했다는 전설이 내려온다.1184년(고려 명종 14) 보조국사 지눌이 중건했고, 1568년(선조 1) 서산대사가 중창했다고 한다. 1879~1881년에 대웅전·명부전·영산전·칠성각 등이 중수되었는데 이 무렵에 현재의 모습으로 정비된 것으로 여겨진다. 사찰에 남아 있는 여러 유물 중에도 19세기 말을 전후로 하여 조성되거나 다른 곳에서 옮겨 온 것들이 많다. 구한말에서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우리나라 선불교의 법맥을 잇는 선방(禪房)으로 널리 알려졌고, 광복 후 구암·금오·도원스님 등이 주석하며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 다보사의 숨어있는 문화재 *

다보사는 대웅전·명부전·영산전·천불보전·칠성각·요사 및 선원·범종각·금강문 등의 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대웅전은 정면 3칸·측면 2칸의 겹처마 맞배지붕 건물로 '다보사 대웅전'이라는 명칭으로 전라남도문화재자료로 지정되어 있다. 내부에는 석가여래불을 주불로 하여 약사여래불과 아미타여래불이 협시되어 있는 목조삼존불이 모셔져 있고, 1901년에 제작된 아미타후불탱과 신중탱 등이 걸려 있다.지장보살과 무독귀왕·도명존자·시왕상 등을 모시고 있는 명부전은 정면 3칸·측면 3칸의 맞배지붕 건물이며, 3층의 콘크리트 건물 위에 자리 잡은 천불보전은 정면 5칸·측면 3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천불을 봉안한다. 대웅전 앞으로는 석등·부도·5층석탑·우화당대선사비·진상화상창적비 등이 세워져 있다. 보물로 지정된 '다보사 괘불탱'은 현재 나주시 향토문화회관으로 옮겨져 있다.

호텔팰리스

호텔팰리스

14.6 Km    19190     2023-09-12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함평천우길 32
061-323-1200

언제나 고객들의 만족을 위해 노력하는 호텔팰리스는 성실함과 정직함으로 고객들의 마음에 보답하고 있다. 고객의 요구에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호텔팰리스가 되기 위해 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선유명가

14.6 Km    0     2024-01-05

전라남도 함평군 중앙길 54-13

선유명가는 전남 함평군에 위치한 한식 전문점이다. 좋은 재료와 손맛으로 푸짐하고 정갈한 음식을 낸다. 보리굴비정식과 생고기 비빔밥, 함평 소갈비탕 등을 맛볼 수 있다. 100석 가까이 되는 넓은 규모에 개별룸도 완비하고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에 손색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