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인천대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인천대교

인천대교

18.2Km    2025-03-18

인천광역시 중구 인천대교고속도로 3

인천대교는 총연장 21.38㎞, 왕복 6차선 도로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길고 세계적으로도 다섯 번째로 긴 사장교이다. 바다로부터 솟은 인천대교 주탑은 238.5m로, 63빌딩 높이와 맞먹는 높이다. 다리를 받치고 있는 교각은 10만톤의 충격과 규모 7.0의 지진, 초속 72m의 강풍에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튼튼하다. 영국 건설 전문지 컨스트럭션 뉴스는 ‘세계 10대 경이로운 건설 프로젝트’로 인천대교 건설을 꼽았다. 국내외 토목전문가들은 세계의 3대 아름다운 다리로 주저 없이 인천대교를 꼽는다. 야경이 특히 매혹적이며 인근에 인천대교 프로젝트의 시작부터 완공까지의 건설 과정, 국내 교량 건설의 기술력 등 자세히 전시한 인천대교기념관이 있다.

김포향교

18.2Km    2024-06-12

경기도 김포시 북변중로25번길 38

김포향교는 경기도 김포시에 있는 향교로 1983년 경기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설립된 고려·조선시대의 국립 교육기관이다. 김포향교는 고려 1127년에 처음 지었다고 전하나 확실하지 않으며, 1960년대 이래 여러 차례에 걸쳐 보수하였다. 건물 배치는 전학후묘의 형태로 앞쪽에 교육 공간인 명륜당을, 뒤쪽에 제사 공간인 대성전을 배치하였다. 그 외에 재실과 출입구 구실을 하는 외삼문과 내삼문이 있다. 대성전은 앞면 3칸, 옆면 3칸의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 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새 부리 모양으로 짜 맞춘 익공 양식으로 꾸몄으며 옆면과 뒷면에는 방화벽을 설치하였다. 안쪽에는 공자를 비롯하여 중국과 우리나라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강당인 명륜당은 앞면 5칸, 옆면 2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 자 모양인 화려한 팔작지붕을 올렸다. 체험 프로그램으로는 김포향교를 쉽고 재미있게 알아볼 수 있는 ‘낯선 향교, 아는 향교’가 있다. 이 체험을 통해 김포향교의 역사적 의미와 가치에 대해 배우고 유생복을 입고 직접 향교 유생이 돼 선비 일상을 체험해 보고, 향교 주변을 돌며 인근 문화유산을 직접 촬영해 홍보영상을 만드는 활동 등을 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명륜대학’을 운영하여 인문, 서예, 한자 등을 교육한다.

김포한강오토캠핑장

김포한강오토캠핑장

18.2Km    2025-05-08

경기도 김포시 하성면 월하로912번길 64

김포한강 오토캠핑장은 전류리 포구를 거쳐 한강의 물줄기를 따라 조성된 환경친화적 오토캠핑장이다. 캠핑 초보자도 쉽게 캠핑을 즐길 수 있도록 풀세트 텐트, 카라반 등을 설치 운영하고 있다. 2,644m²(800평) 규모의 수영장과 산책로, 그 외 여러 가지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수도권에 위치해 접근성이 좋은 캠핑장이다. 주변 관광지로 태산 패밀리파크, 블루메 미술관, 헤이리 예술마을, 스토리 미니어처 뮤지엄 등이 있다.

강화문학관

강화문학관

18.2Km    2024-12-10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관청길 40

강화문학관은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있는 문학관이다. 이곳은 강화 출신의 수필가 故 조경희 선생의 유지에 의해 건립되었다. 조경희 선생이 강화군에 기증한 소장품 8,000여 점이 보관되어 있다. 강화문학관은 1층의 전시실과 2층의 조경희 수필 문학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1층 전시실에는 한국 문학사에 이름을 남긴 이규보, 정철, 정제두 등 강화도와 관련이 있는 옛 문인들의 작품들을 소개하고 있으며, 2층 수필 문학관에는 조경희 선생의 육필원고와 생전에 사용하던 책상, 안경 등과 미술품 40여 점의 유품을 전시하고 있다. 강화문학관은 다양한 문학 교실과 문학 강좌를 개설·운용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문예 창작 교육의 장으로 지역 문학의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대한성공회 강화성당

18.2Km    2025-03-14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관청길27번길 10

강화성당은 고요한 (Charies Jone Corfe) 초대주교가 1900년에 축성한 건물로 성베드로와 바우로 성당으로 명명되었다. 당시 건축공사는 궁궐 도편수가 주도하였고 이후 몇 차례 보수가 있었으나 처음 모습이 그대로 보존되고 있다. 성당터는 세상을 구원하는 방주로서의 의미를 분명히 하기 위해 배의 형상을 따랐다. 성당 건물은 장방형(넓이 4칸, 길이 10칸) 중층구조로 전체적인 건축양식은 한국전통양식을 따르고 있으며, 배치와 내부구조는 서양식 바실리카 건축양식을 응용하여 조화의 아름다움과 토착정신을 드러나게 하였다. 성공회 강화성당은 1981년 경기도 지방유형문화유산으로 처음 지정된 이래 강화군이 인천광역시로 편입되면서 인천지방유형 문화유산으로 변경되었다가 2001년 1월에 국가사적으로 변경 지정되었다.

심도 역사 문화길을 따라 걷다

심도 역사 문화길을 따라 걷다

18.2Km    2023-08-09

강화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여 강화읍내 주요 문화유적지를 돌아보는 코스로 초반에 충분한 시간을 갖고 탐색해야 한다. 오읍 약수터에서 약수 한 모금을 마시며 잠시 휴식을 갖고 연미정까지 산책하듯 가벼운 마음으로 걷는다. 코스 중간에 식사할 수 있는 곳은 연미정이고 갑곶성에서는 조용히 둘러보길 권한다.

해미집

해미집

18.2Km    2024-07-01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독배로492번길 38

해미집은 수인분당선 숭의역 4번 출구 숭의로터리 숭의2동 행정복지센터 인근에 있는 식당이다. 매장 앞에 주차가 가능하나 별도 전용 주차 공간은 없어 자동차보다는 대중교통이나 도보로 방문하는 것이 좋다. 이곳은 동네에서 스지탕의 정석으로 불리는 집이다. 매장 내부는 인원별 다양한 테이블 구성이 가능해 단체 행사나 각종 모임에도 적당하다. 메인 메뉴로는 스지탕, 모둠전, 고추전, 동그랑땡, 비빔국수 등이 있다. 스지탕은 동일한 가격으로 스지무침으로 변경하여 식사가 가능하다. 식당 인근에는 수봉공원, 인천축구전용경기장, 물텀벙특화음식거리 등이 있어 연계 관광을 할 수 있다.

국화지낚시터

국화지낚시터

18.2Km    2025-03-14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국화길 51
010-3448-6783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국화리에 위치한 낚시터로 상수원 보호 지역으로 낚시가 금지되었다가 99년 봄부터 관리형으로 변경되었다. 수질이 매우 양호하며, 연안 좌대를 설치해 낚시를 즐기기에 편하다. 강화읍에서 가까이 위치해 있어 많은 낚시 관광객들이 찾는 곳이다. 주변에 매점, 식당 및 숙박 등 편의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고 아늑한 분위기 속에 가족 나들이 장소로 손색이 없다. 인근 관광지로 석수문, 강화향교, 소창체험관 등이 있다.

원적산공원 은행나무숲

원적산공원 은행나무숲

18.2Km    2025-03-17

인천광역시 부평구 산곡1동 80-22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산곡동에 위치한 원적산공원 은행나무숲은 자연과 휴식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아름다운 공간이다. 이곳은 원적산의 일부분으로, 특히 가을에 은행나무가 황금빛으로 물들어 많은 사람들에게 아름다운 풍경을 선사한다. 은행나무숲은 산책로와 쉼터가 잘 조성되어 있어, 방문객들이 편안하게 산책하며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곳이다. 또한, 숲 속의 청량한 공기와 고요한 분위기는 도시 속에서 벗어나 평온한 시간을 보내기에 이상적인 장소이다. 원적산공원 은행나무숲은 자연과 함께하는 힐링 공간으로, 지역 주민들과 관광객들에게 큰 사랑을 받고 있는 명소이다.

진천토종순대

진천토종순대

18.2Km    2024-01-09

인천광역시 서구 신진말로 37 현신빌딩

진천토종순대는 인천지하철 2호선 인천가좌역 1번 출구 인근 신진말로 건지공원 옆에 있는 순댓국 맛집이다. 테이블은 좌식이 아닌 입식으로 되어있다. 이곳의 시그니처메뉴는 순대국밥이다. 매운맛을 취향대로 조절해서 먹을 수 있다. 함께 같이 나오는 반찬은 김치, 깍두기, 청양고추다. 김치는 약간 단 맛이 나는데 순댓국과 잘 어울린다. 이 외에도 모둠전골, 곱창전골, 순대곱창볶음 등을 맛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