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0
인천시 강화군 양도면 중앙로787번길 56-53
강화의 주요 농산물인 인삼, 찹쌀현미, 현미 등을 활용한 건강 간편식 제품. 강화섬 쌀과 아홉 가지 국내산 곡물, 연잎의 영양을 가득 담은 ‘강화섬 연잎건강밥’, 강화 인삼과 곡물로 맛과 식감을 모두 살린 ‘강화섬 인삼 건강밥’, 강화 속노랑 고구마를 넣어 밥맛이 달큰한 ‘강화고구마밥’ 등 다양한 즉석밥으로 구성되었다. 해썹(HACCP) 인증을 받은 시설에서 만들어 더욱 믿고 먹을 수 있으며, 실온 보관 가능하고 유통기한도 12개월로 넉넉하다.
2024-03-20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돌산로 3537
해풍을 맞고 자라 독특한 향과 맛이 있는 돌산갓에 여수 앞바다의 멸치로 직접 만든 멸치젓갈과 생새우, 해물 국물 등으로 감칠맛을 더했다. 고춧가루, 양파, 마늘은 물론 김치에 사용하는 모든 재료는 국내산으로 까다롭게 선별한다. 갓 담근 갓김치는 아삭한 식감과 쌉싸래한 맛이 좋고 숙성될수록 매운맛은 덜하고 깊은 맛이 우러난다.
2024-03-20
제주도 서귀포시 중앙로54번길 42
정상에 눈이 쌓인 듯 한라산 모양 빵 윗부분이 하얗다. 먹음직스러운자태에 절로 손이 간다. 우유 생크림, 바닐라, 우도 땅콩, 유기농 말차등 종류도 가지가지여서 모두 구입해 하나씩 맛보는 즐거움이 매우 크다. 한라산 크림빵은 서귀포매일올레시장의 시그너처 제품 중 하나로, 제주 감성을 느끼기에 모자람이 없다.
2024-03-20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206 부산역
항암 작용과 혈관 질환, 뼈 건강, 모발 건강에도 좋은 기장 미역. 수온 과 조류 등 최적의 어장에서 자라 미역 중 최상품으로 인식되며, 쫄깃 한 식감과 고유의 향이 특징이다. 부산 KTX 역사 내에서 부산 기장 특 산품을 판매해 쉽게 구매할 수 있다.
2024-03-20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반구대로 1305-11
취향에 따라 자신이 좋아하는 맥주를 마실 수 있는 브루어리 펍을 운영하는 트레비어의 맥주는 수제 맥주를 좋아한다면 꼭 마셔봐야 한다.2019년 대한민국 주류대상에서 대상을 받은 ‘처용IPL’, 한국 쌀을 사용한 ‘우리쌀라거’ 등 알고 먹으면 맛의 깊이와 재미가 배가된다. 다양한
2024-03-20
전라북도 임실군 성수면 도인2길 50
한국 최초의 치즈 생산지 임실. 1967년 벨기에 태생의 고 지정환 신부가 임실에서 산양유로 치즈를 만든 것이 시작이었다. 임실 치즈의 대부분은 직접 운영하 는 목장에서 생산한 우유로 만든다. 원료유와 제조 방법, 풍토 등에 따라 종류와 맛이 다양하다. 스모크 치즈나 포션 치즈 등으로 가공해 음식에 사용한다.
2024-03-20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한과마을길 22-39
한국에서 개발한 찰벼 품종인 백옥찰을 20일 이상 자연 발효해 만드는‘선미한과’의 선물 세트다. 1939년에 개업한 최씨방앗간에서 이어진 역사, 50년 된 무쇠 가마솥을 쓰는 등 고집스레 간직해 온 제조 방식이한과에 웅숭깊은 맛을 부여한다. 백년초, 찹쌀, 포도, 통쌀, 치자, 찹쌀과즐 등 여섯 가지 한과가 하나하나 주옥같다.
2024-03-20
인천시 부평구 안남로433번길 14
1990년 업계 최초로 쌀 먹걸리를 출시하고 지금까지 소성주를 만들어오고 있는 인천탁주. 오랜 세월 인천을 대표하는 질 좋은 막걸리를 빚으며 인천 양조업의 명맥을 잇고 있다. 인천탁주를 대표하는 소성주는 다른 지역에서 생산되는 막걸리와 달리 숙성 시간과 담금 횟수를 늘려 부드러우면서도 특유의 감칠맛이 매력적이다.
2024-03-20
대전시 중구 산서로50번길 19
콩은 단백질 함량이 높고 다른 곡물에 비해 당질 함량이 낮아 건강에 매우 좋은 곡물이다. 부각은 해조류나 채소 종류에 찹쌀풀을 발라 말렸다가 기름에 튀긴 한국식 반찬이다.
2024-03-20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조양로 15
김은 K-푸드 중 가장 인기 있는 품목 중 하다. 김은 단백질과 비타민을 풍부하게 함유한 최고의 건강식 품이다. 홍성에는 조미김을 전문적으로 만드는 업체 가 여럿 있다. 질 좋은 원초에 각 업체의 노하우를 더 해 언제 어디서나 먹기 편한 제품을 만든다. 스낵용 김은 명란, 와사비 등 다양한 맛을 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