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두산개발 별고을테마파크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주)두산개발 별고을테마파크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주)두산개발 별고을테마파크

(주)두산개발 별고을테마파크

10.9 Km    1     2023-02-14

경상북도 성주군 선남면 도성3길 22-27

(주)두산개발 별고을 테마파크는 경상북도 성주군 선남면 백천 인근에 자리했다. 자가용을 이용하는 방문객은 내비게이션에 ‘별고을 테마파크’를 입력 후 도착 300m 전 선노로길 방면으로 오면 정문으로 올 수 있다. 5인 이상 단체 예약 시 성주 내 픽업 서비스가 가능하다. 캠핑장에 들어서면 풀빌라, 카라반, 방갈로 등 여러 형태의 숙박 시설이 완비되어 있다. 약 26,000㎡의 부지에는 30면의 일반야영장 사이트와 20면의 개인 카라반 사이트, 카라반 3대, 방갈로 16개가 있다. 각 사이트에는 전기시설과 무선인터넷, 소화기가 구비되어 있으며, 남녀 화장실 각 7개소, 남녀 샤워실 각 3개소, 개수대 3개소가 있다. 성인과 어린이 수영장이 각각 자리하고 있으며 만 13세 미만 어린이 방문객을 위한 키즈존도 있다. 반려견 동반 캠핑장답게 반려견 수영장, 반려견 카페, 반려견 샤워실 등 반려견을 위한 시설도 잘 마련되어 있다. 자체 문화 행사로 통기타 버스킹이 있고, 피자 체험 프로그램 또한 운영하고 있다. 캠핑장은 사계절 이용이 가능하다. 캠핑장 주변에는 회연서원, 한개마을 등이 있어 연계 관광이 쉽다.

백운호텔

백운호텔

11.4 Km    1916     2024-02-21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성주가야산로 795-6
054-933-4882 054-931-6101

백운호텔은 가야산의 수려한 경치와 역사를 지닌 성주군 수륜면에 자리잡고 있으며, 객실은 원적외선 음이온이 방출되는 친환경 스톤타일로 구성되어 각종 유해물질이나 아토피, 피부염 및 환경질환을 방지하며 신진대사 촉진에 도움을 준다. 최신 주방시설이 완비되어있는 콘도형 객실, 일반형 객실로 되어있으며 인근에는 가야산국립공원 최고의 능선이라 불리는 가야산 만물상 코스와 물소리, 새소리, 바람소리, 마음의 소리를 들을 수 있는 힐링 탐방로인 해인사 소리길이 있으며 독용산성이 둘러싼 성주호 등 아름다운 자연여행 코스가 있다.

독용산성

독용산성

11.5 Km    22148     2024-06-17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금봉리

성주군 가천면 금봉리에 위치한 독용산성은 소백산맥의 주봉인 수도산의 줄기인 해발 955m의 독용산 정상에 있다. 산성의 둘레는 7.7km(높이 2.5m, 폭 1.5m)에 이르며, 산성 내 수원이 풍부하고 활용 공간이 넓어 장기 전투에 대비하여 만들어진 포곡식 산성이다. 성의 축조 연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1,500년전 성산가야 때 쌓은 것으로 추측되며, 임진왜란을 피하던 중 발견되었다고 한다. 조선 숙종 원년(1675년) 관찰사 정중휘가 개축하여, 동서남북 7개 포루, 아치형의 동문, 수구문, 남소문 등이 있었으며, 동서군량고가 있어 성주, 합천, 거창의 군량미도 보관하였다. 일제 강점기에 발굴된 군기고에서 쇠도끼, 쇠창, 쇠화살, 삼지창, 말안장, 갑옷 등이 출토되었다. 성주군에서는 1997년부터 성곽을 복원할 계획을 세워 훼손된 성곽의 일부와 아치만이 남아 있던 동문을 보수하여 원형으로 복원하였으며, 성내에 관아터와 사지가 여기저기 흩어져 있다. 독용산성에 대한 역사적 기록은 이원정이 1677년에 편찬한 경산지를 통해 나타난다. 그 책에 따르면 합천과 거창의 군사가 배치되었고, 성안에는 3개의 계곡, 객사, 군기고 등이 있었다는 기록으로 보아 정중휘가 개축할 당시의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태실문화관

태실문화관

11.6 Km    0     2023-10-11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세종대왕자태실로 616-12

태실 문화관에는 생명존중 정신이 깃들어 있는 태실의 고장 성주를 소개하고, 장태의 역사, 조선 왕실의 출산 의례, 태실의 조성, 태실의 구조 등 태실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생명문화공원은 조선시대 태실 미니어처가 설치되어 공원 산책을 즐기며 전국에 산재된 태실을 일목요연하게 살펴볼 수 있도록 조성되어 있다.

선석사(경북)

11.8 Km    16860     2024-02-02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세종대왕자태실로 616-33

대한불교 조계종 제9 교구 본사 동화사의 말사인 선석사는 성주군 서진산 중턱에 위치했으며 성주군에서는 가장 커다란 사찰이다. 경북 지역의 다른 사찰들과 마찬가지로 임진왜란 때 모두 불타 버려 창건 연대, 창건 인물 등은 정확히 알 길이 없으나, 단지 692년(효소왕 1) 의상대사가 신광사라는 이름으로 창건하였다고 전하고 있으며, 창건 당시는 지금보다 서쪽이었고 고려 말 나옹 스님이 지금의 자리로 옮기려 터를 닦다가 큰 바위가 나와 지금의 선석사라 명하였다. 이후 1592년(선조 25)임진왜란 때 전소된 뒤 1684년(숙종 10) 혜묵, 나헌 스님 등이 중창하고 1725년(영조 1) 서쪽의 옛터로 옮겼다가 1804년(순조 4) 서윤 스님이 지금의 자리로 옮기고 대웅전, 명부전, 칠성각, 산왕각, 어필각, 정법료를 지었으나 그 뒤 화재로 어필각은 소실되었고 최근 대웅전 뒤 대나무 숲 아래 야외 미륵부처님을 조성하였다. 특히 조선 시대에 태실을 수호하는 사찰로 지정되었다. 절에서 약 200m가량 떨어진 곳에 세종의 왕자 태실이 있는 태봉이 있으며 이는 태실 수호 도량으로 영조로부터 어필을 하사받기도 하고 왕조의 권력 투쟁으로 인한 태실의 변화를 지켜보아야 했다. 숱한 역사의 굴곡을 함께 하여온 선석사는 이제 성주 고장 사람들을 위한 도량으로 거듭나고 있다. 봄마다 아름다운 도량에서 열리는 산사 음악회를 비롯해서 문화 공간, 수행 공간, 교육 공간으로 지역주민들과 더불어 살아가고 있다.

한개마을에서 즐기는 고즈넉한 시간

한개마을에서 즐기는 고즈넉한 시간

11.9 Km    1901     2023-08-10

성주 한개마을은 영남 제일의 길지에 자리 잡은 성산 이씨의 집성촌으로 마을 전체가 중요민속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7개 마을 가운데 하나다. 조선시대 때 지어진 북비고택, 한주종택, 교리댁, 하회댁 등 전통고가가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되어 있고, 마을을 잇는 옛 담장은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어 전통문화를 체험하기 좋은 곳이다.

성주 세종대왕자 태실

성주 세종대왕자 태실

12.1 Km    29631     2023-06-10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세종대왕자태실로 639-18

조선조 세종대왕 왕자들의 태실로서 전열은 11기, 후열은 8기로 되어있다. 태실 앞에는 각각 왕자의 태실비가 세워져 있는데, 대부분 세종 20년(1438)에서부터 세종 24년 사이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중에는 비석이 닳아 판독하기 어려운 것들이 많으며, 판독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것은 평원대군, 영응대군, 의창군 등의 태실비이다. 그러나 1977년 12월, 이곳을 보수, 정비하면서 금성대군, 화의군, 단종 등의 태실로 추정되는 자리에서 토기, 태호, 분청인화문 대접, 분청상감 연화문 뚜껑 1식과, 명기가 있는 지석2점 등이 출토되어 현재 국립대구박물관, 경주박물관, 경북대학교 박물관 등에 보관되어 있다. 한편 가까이엔 이곳 태실을 수호하는 사찰이었던 선석사가 있다. * 태실과 지석의 구조에 대하여 * 태실은 왕실에서 자손을 출산하면 그 태를 봉안하는 곳을 말한다. 예로부터 태는 태아의 생명력을 부여한 것이라고 인정하여 태아가 출산된 뒤에도 함부로 버리지 않고 소중하게 다루었다. 민간에서는 땅에 묻는 경우도 있었으나 많은 경우 출산 후 마당을 깨끗이 한 뒤 왕겨에 태를 묻어 몽긋몽긋하에 태운 뒤에 재를 강물에 띄워 보내는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그러나 왕족의 경우에는 국운과 직접 관련이 있다고 여겨 태를 항아리에 담아 전국의 명당에 안치시키는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이때 이를 주관하는 관상감에서 길지로 선정된 명산에 일정한 의식과 절차를 밟아 묻었는데, 이 의식과 절차를 거쳐 완성한 시설을 태실이라 불렀다. 또한 태봉은 태실 가운데 그 태의 주인이 왕으로 즉위할 경우에 격에 맞는 석물을 갖추고 가봉비를 세운 것으로 임금의 태실을 말한다. 19기의 태실은 화강암으로 깎은 조선태실 의궤(儀軌) 형식으로 지하에 석실을 만들고 그 안에 백자로 된 태호(胎壺)를 넣는 형태이다. 태호 속에는 태항(胎缸)과 태주(胎主)의 이름 및 생년월일을 음각한 지석(誌石)을 두었다. 지상에는 기단, 간석, 옥개의 형식을 갖춘 석조물을 안치하는 한편 각 왕자의 태실을 가리키는 표석을 세웠다. 태실의 옥개 높이는 25㎝, 지름 1.6m, 둘레 3.2m이며 신석은 높이 60㎝, 지름 1.2m, 둘레 2.4m이다. 기단은 높이 45㎝, 지름 2.2m, 둘레 8.8m이고 태비의 높이는 90㎝, 너비는 35㎝이다. * 태실 수호사찰 선석사 * - 신라 효소왕 1년(692) 의상대사에 의해 창건 - 조선초기 세종대왕 수호사찰 - 소장 문화재 : 성주선석사영산회괘불탱(보물) / 선석사대웅전(경상북도 문화재자료) - 태장전 : 현대인의 아기 태를 봉안하는 시설이 있으며, 태 봉안인의 무병/장수를 기도하는 도량 [문화재 정보] * 조성연대 : 1438년(세종 20)~1442(세종 24) * 재질 : 화강암 * 크기 : 면적 5,950㎡ * 태실수 : 19기 - 세종대왕의 적서 18왕자 중 장자 문종을 제외한 17왕자 태실 18기 - 세종대왕의 손자 단종이 태어났을 떄 조성한 태실 1기 ※ 단종의 태실은 세자로 책봉된 후 성주 법림산에 새롭게 이전 조성함 * 문화재적 가치 - 태실이 군집을 이룬 전국 최대의 태실 문화유산 - 조선초기 태실문화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최선의 문화유산 - 태실 조성방식의 시대적 변천을 확인 할 수 있는 최고의 문화유산

한옥스테이 봄날

한옥스테이 봄날

12.1 Km    0     2024-03-29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각산3길 61
0507-1448-8338

경상북도 칠곡에 위치한 한옥스테이 봄날은 황토, 압축볏집, 편백나무 등으로 건축한 독채 한옥이다. 숙소는 넓은 마당과 본채, 별채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채는 시몬스 침대방과 목화솜 침굴가 있는 구들장 온돌방, 누각, 거실, 현대식 화장실과 주방으로 구성되어 있고, 별채에는 온돌방 2개가 있다.솥뚜껑 바베큐를 할 수 있고, 카페와 노래방 기기도 이용 가능하다. 숙소 뒤편 산책로를 올라가면 천년 된 은행나무를 만나볼 수 있다.

소암서당

12.3 Km    1242     2023-12-13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지산로 807-11

소암서당은 투암 채몽연(1561~1638), 백포 채무(1588~1670), 극명당 장내범(1563~1640)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서원이다. 1703년(숙종 29) 유학자인 장벽, 장세휘, 박정석 등 20여 명이 소암동 팜암바위 뒷산에 사당과 강당을 지어 소암사라 하고 같은 해, 1712년(숙종 38)에 투암, 백포 부자를 봉안하였다. 1803년(순조 3)에 서원으로 승격하고 1847년(헌종 13)에는 극명당을 배향하였으나 1871년, 서원 철폐령에 의하여 모두 훼철되었다. 이후 1932년, 강당을 복원하고 이를 소암서당이라 하여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강당 대청 상부에는 기문 등이 남아 있다.

미루밸리캠핑장

미루밸리캠핑장

12.4 Km    0     2023-10-27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법전1길 137

미루밸리 캠핑장은 대구에서 30여 분 거리에 있는 경북 성주군 가야산 포천계곡에 위치해 있다. 낙엽송이 병풍처럼 둘러싸여 피톤치드 산림욕을 즐길 수 있고 계곡과 폭포를 품에 안은 청정지역으로 여름 휴가지로 안성맞춤이다. 마루밸리 캠핑장은 연인 및 가족을 위한 패밀리형 캠핑장으로 1 사이트 1 주차를 원칙으로 하며, 기준 외 주차 시 추가요금이 있다. 캠핑장은 연중무휴로 운영하며, 예약은 홈페이지 온라인 실시간으로 받는다. 23개의 사이트를 운영 중이다. 사이트 크기는 가로 8m 세로 8m이다. 각 사이트에서 개별 화로대와 전기를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