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5Km 2024-11-27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서부로 845-9
남해 망운산의 블랙이글 패러글라이딩장은 국내에서 가장 높은 곳(해발 786M, 망운산)에 이륙장을 가지고 있으며, 남해의 광활한 바다를 배경으로 일출과 노을 비행을 할 수 있다. 홈페이지에서 인터넷 예약 후 전화 상담이 필수이며, 패러글라이딩 착륙장에서 조인 후 업체의 사륜구동차를 이용하여 망운산 활공장으로 이동하고, 이륙장에 도착하면 안전교육을 받은 후 비행을 하게 된다. 사전 예약을하면 대기없이 비행 가능하고, 기상악화로 비행 불가시 전액 환불된다.
15.5Km 2024-05-13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강진로206번길 54-19
문항어촌체험마을은 전국 어촌체험마을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한 마을로, 대국산 아래 수평선을 바라보며 옹기종기 모여 있는 전형적인 반농반어촌마을이다. 바지락, 굴, 쏙, 우럭조개, 낙지 등 수산물이 풍부한 갯벌을 자랑하는 문항마을은 마을어촌계에서 갯벌체험을 운영하고 있으며, 마을 앞 바다에는 아름다운 상장도와 하장도의 두 개의 섬이 있어 아름다운 다도해 풍경을 연출한다. 2개의 섬은 밀물 때는 어선을 통해 이동해야 하지만 썰물 때는 육지와 연결되어 걸어서 들어갈 수 있는 섬이다. 주요체험으로 조개잡이체험, 쏙잡이체험, 개막이체험(물고기잡는체험)이 있으며, 주변 관광지로는 양모리학교, 남해대교, 충열사가 있다.
15.6Km 2025-04-02
경상남도 사천시 곤명면 다솔사길 417
다솔사는 신라 지증왕 때 범승 연기조사가 창건한 역사 깊은 고찰로,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는데 그로부터 10년이 지난 후인 숙종 12년(1686)에 승려들이 힘을 모아 10년 세월에 걸쳐 중창불사로 크게 중흥했다. 그러나 62년이 지난 후인 영조 24년(1748)에 큰 불로 말미암아 불행히도 큰 재앙을 겪었으며 같은 왕 34년(1758)에 여러 스님이 또 합심하여 명부전과 대양루 그리고 사왕문을 중건했다. 그런데 1914년 12월에 또 화재가 일어나 모든 전각이 불탔으나 다행히도 대양루는 소실되지 않았으며 그 이듬해부터 3년간 중건 끝에 현존하는 것이 이 건물이다.
15.6Km 2023-08-08
유서깊은 사천의 문화유적을 따라가보는 코스다. 다솔사는 신라의 불교가 꽃피던 시절 생긴 고옥한 사찰이라 그 아름답기가 자연과 어우러질 수 있는 최고의 미를 자랑한다. 특히 가을의 절경은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다. 구계서원, 사천읍성 등 오래된 옛 문화의 자취가 남아 있는 문화를 따라가다 보면 누가 알겠는가! 나 자신을 발견하는 순간이 있을지...
15.7Km 2024-01-11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대로 358-10
진주에 있는 오리고기 전문점 화개마을은 주차 공간이 넓고 방문객이 많아 따로 주차요원이 있다. 유명한 오리고기 맛집으로 웨이팅이 필수이다. 밖에는 대기하는 공간이 따로 마련되어 있으며 8인 이상 방문할 때는 예약도 가능하다. 식사 공간은 입구를 중심으로, 신발을 벗고 식사하는 자리와 신발을 신고 식사하는 자리로 나뉜다. 안쪽에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단체 모임이나 가족 모임을 하기 좋다. 고기가 부드럽고 연해서 부모님은 물론 어린이가 먹기에도 좋다. 또한 고기를 먹은 후, 볶음밥과 들깨수제비를 주문할 수 있다.
15.7Km 2023-08-10
가천 다랭이마을은 언덕 위부터 바다까지 절벽을 일궈 만든 명승 제71호로 지정된 다랭이논이 남아있는 마을이다. 3평부터 300평에 이르는 논까지 680여개의 논이 자리를 잡고 있다. 특히 바닥에 내려놓은 삿갓 속에 숨은 아주 작은 논인 삿갓배미 이야기도 전해진다. 마을 중심에 자리잡고 있는 가천암수바위와 해안가 기암절벽에 걸쳐놓은 구름다리까지 꼭 둘러봐야 한다.
15.7Km 2023-08-10
보물섬 남해의 여름은 뜨겁고 풍요롭다. 문항어촌체험마을은 물고기를 맨손으로 잡는 개박이 체험, 조개 캐기, 쏙 잡이 등 바다를 배경으로 한 다양한 활동이 있어 방학이면 전국에서 체험객이 몰려든다. 갯벌 생물을 관찰하거나 바닷물이 빠진 자리에 길이 열리는 자연현상을 보는 것만으로도 유익한 현장학습이 된다.
15.8Km 2025-03-19
경상남도 고성군 하일면 동화리 398-4
경상남도 고성군에는 조선 전기 왜구의 침입을 방비하기 위하여 설치된 소을비포 군진이 있던 소을비포성지가 있다. 조선 전기에 왜구의 침입을 막고자 하는 목적으로 쌓았다. 바닷가로 돌출된 낮은 산의 해안 경사를 따라 타원형으로 쌓아 올린 산성으로 앞쪽이 바다를 향하고 있어서 자연환경을 잘 활용한 방어시설이다. 난중일기와 조선왕조실록 등에도 남해안의 왜구 방비를 목적으로 진이나 보를 설치하였다고 기록이 남아 있는데, 이곳이 그러한 군사시설 중에 하나로 보인다. 현재 남은 성은 규모 200m, 둘레 3m 높이의 성벽과 북쪽 성문의 흔적이 남아 있다. 임진왜란을 전후하여 다시 정비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임진왜란 때 이 성과 가까운 자란도와 가룡포에 임시로 고성현 관아를 옮기면서 군사적으로 매우 중요시되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바로 앞에 사량도가 있어서 태풍의 영향을 받지 않고 파도가 잔잔한 지역이라 요즘도 기상이 좋지 않을 때는 이곳 앞바다로 어선들이 대피하기도 한다. 고성의 해안가를 따라가다 보면 이곳에 도착할 수 있는데, 주차장과 산책로가 잘 갖춰져 있어서 돌로 포장된 계단과 길을 따라 가볍게 언덕 위로 올라가면 금세 탁 트인 넓은 공터가 펼쳐진다. 봄 여름이면 이곳에 초록빛의 잔디로 가득해지고 성벽 너머로 맑고 고요한 바다가 펼쳐져 장관을 이룬다. 이곳에서 바다를 내려다보면 자연환경을 활용한 선조들의 지혜가 느껴진다.
15.9Km 2024-12-10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흥선로 1196
적량해비치마을은 임진왜란과 관련된 국사봉, 적량성터, 굴항 등의 역사문화자원과 인접해 있으며 마을 입구 다랭이 논에는 사시사철 꽃과 허브향기가 가득한 행복한 마을이다. 과거 임진왜란 당시 왜적을 방어하기 위해 설치된 성과 함선을 보호할 수 있는 인공적으로 만든 굴항이 다소 훼손되었지만 원형이 그대로 보전되어 있고, 역사관도 곧 준공을 앞두고 있는 역사의 마을이다. 바다낚시와 어린이 놀이시설도 체험해 볼 수 있다. 또한 카누체험도 가능한데 투명카누와 창경카누는 보트에 앉아서 바다밑을 훤히 볼 수 있게 설계되어 도시민이 체험해보지 못한 색다른 체험이 될 것이다.
15.9Km 2024-11-18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진동리
055-863-8778
남해바래길은 바다를 생명으로 여기고 가족의 생계를 위해 소쿠리와 호미를 들고 갯벌이나 갯바위로 나가 해산물을 채취하던 남해사람들의 강인한 생명력이 묻어 있는 삶의 길이다. 남해바래길 4코스인 고사리밭길은 고사리로 유명한 창선도의 적량성이 있는 적량해비치마을에서 시작되어 창선동대만 휴게소까지 이어지며, 국사봉 자락에 고사리가 많아 고사리밭길로 명명되었다. 해안선을 따라 달리는 길은 없지만 산과 바다, 그리고 갯마을이 어우러져 정겹다. 창선면 가인리 해안은 1억년 전 중생대 백악기 공룡발자국 화석지로 이름이 높다. 오랜 세월 파도에 닳아 반들반들한 암반에는 크고 작은 공룡들의 발자국 100여개가 선명하게 남아 있다. 남해군의 정취를 느끼고, 산과 밭으로 거미줄처럼 이어진 고사리밭길을 통해 아름다운 해안과 갯벌의 바다를 내려다 볼 수 있으며, 선사시대의 공룡발자국화석을 따라 걸으며 시간여행을 할 수 있는 15km 길로서 6시간 30분이 소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