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락보리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희락보리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희락보리

희락보리

13.8Km    2024-07-05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로234번길 10

희락보리는 용인시 처인구에 있는 보리밥집으로 에버랜드 근처에 있는 식당이다. 메뉴는 3가지로 희락보리밥은 보리밥만 있는 메뉴이고 희락고등어는 희락보리에 고등어구이를 추가한 것이고, 희략양념게장은 희락보리밥에 양념게장을 추가한 것이다. 모든 메뉴에 공통인 희락보리는 보리밥, 청국장, 수육이 기본이고 보리밥을 비벼 먹을 수 있게 개인별 접시에 담겨 제공한다. 대부분의 보리밥집이 2인분씩을 내어 주는 것에 비해 정성스럽게 느껴지는 차림이다. 음식이 빨리 나오는 편이고, 정갈한 상차림이 만족스러운 식당이다. 주차장은 가게 옆쪽에 별도로 있어 사용하기 편리하고 앞쪽에도 몇 대를 댈 수 있게 되어 있다. 어르신을 모시고 오는 가족 고객이 많고 어린이를 위한 의자도 구비되어 있다.

이마트 용인

이마트 용인

13.8Km    2024-04-23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명지로 53

-

회암저수지

회암저수지

13.8Km    2025-01-08

경기도 안성시 삼죽면 내강리 521

경기도 안성시 삼죽면에 위치한 저수지이다. 면적이 약 7,000 m²인 아담한 소류지 크기로, 수심이 2~4m이다. 계곡수를 사용하여 물이 깨끗하다. 사면이 산으로 둘러싸여 아늑하며, 봄이면 저수지 주변에 피어난 벚꽃이 저수지와 잘 어울린다.

두드림수타짬뽕

두드림수타짬뽕

13.8Km    2024-07-08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로246번길 3

두드림수타짬뽕은 용인 에버랜드 근처에 있는 소문난 중국집이다. 특히 짬뽕은 갑오징어, 낙지 등을 통으로 넣어 유명해진 곳으로 다른 중국집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요리와 자장, 짬뽕, 볶음밥 등 식사 메뉴도 있어 포장이나 배달도 가능하다. 에버랜드나 캐리비안베이에서 온종일 즐긴 후 배고픔을 달래기 위해 많이 방문하는 곳으로 면은 수타로 뽑아 통통하고 쫄깃하며, 음식의 주재료와 고명, 소스는 좋은 재료를 아끼지 않고 사용해 신선함과 아삭함이 그대로 살아있다. 중국 요리의 핵심인 불맛이 살아있는 중식당으로 주차는 매장 앞에 편하게 할 수 있다.

죽산향교

죽산향교

13.9Km    2024-04-30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죽산향교길 54-45

안성시 죽산고등학교 옆에 자리한 죽산향교는 중종 28년(1533)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됐으며 임진왜란 때 불탄 뒤 지금의 자리로 옮겨졌다. 외삼문 밖으로 하마비와 홍살문이 있고 경사지 대지 아래쪽에는 교육 공간인 동·서재가 생략된 명륜당과 내삼문이 구성되어 있으며, 위쪽에는 제사 공간인 대성전과 동·서무를 두는 전학후묘의 형식을 갖추고 있다. 대성전은 앞면 3칸, 옆면 2칸의 규모이며, 현재 5성(五聖), 10철(十哲), 송조 6현(宋朝六賢), 우리나라 18 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지붕은 맞배지붕으로 되어있다. 동무와 서무는 각각 앞면 3칸, 옆면 1칸 규모로 지붕은 맞배지붕으로 되어있다. 강당인 명륜당은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를 갖추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와 책 등을 지원받아 교관 1명이 정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과 가을에 석전을 봉행하며 초하루와 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다. 경기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어 있으며, 향교의 운영은 전교 1명과 장의 여러 명이 담당하고 있다.

신창리삼층석탑

신창리삼층석탑

13.9Km    2025-03-15

경기도 안성시 고삼면 신창리

신창리삼층석탑은 봉국사[奉國寺]로 추정되는 절터에 흩어져 있던 석탑 부재를 모아 1991년에 복원한 고려 후기의 석탑이다. 약 2.18m 높이의 석탑은 2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부를 올린 형식으로, 하층기단은 일부 부재만 남아 있는데, 면석 모서리와 중앙부에 측면 기둥인 우주와 가운데 기둥인 탱주를 모각했다. 상층기단은 넓은 판석으로 면석을 구성하고 탱주 없이 모서리에 우주를 조각했다. 탑신에는 우주를 조각했는데, 석탑 복원공사 당시 탑신의 1층 몸돌의 윗면에서 사리를 봉안했던 원형 사리공이 발견되었다. 옥개석은 밑면에 통일 신라 석탑과 달리 층급 받침이 4단으로 줄어들어 옥개석 두께가 얇아지고 낙수면의 경사가 완만하다. 처마선을 따라 전각 부에는 매우 낮게 반전을 표현했다. 상륜부는 남아 있지 않다. 고려시대는 석탑 건립이 증가하면서 단층 기단이 유행했는데, 신창리삼층석탑이 이중 기단으로 건립된 점은 경기도 지역 고려 석탑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기단부 석재의 치석 기법과 옥개석 표현의 위축 등을 통해 고려 후기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올리브영 용인포곡

올리브영 용인포곡

13.9Km    2024-03-23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포곡로 121

-

이경순 소리박물관

이경순 소리박물관

13.9Km    2024-09-03

경기도 안성시 삼죽면 동아예대길 47

한국영화의 산증인으로 영화녹음 분야에 있어 최고의 권위를 가진 이경순 선생이 소장하고 계시던 영화관련 자료 2,000여 점을 전시하고 있는 영화자료 박물관이다. 60여 년 전의 영상기와 이승만 대통령 취임식 때 사용된 동시녹음장비, 70년된 축음기 등 모두 약 500여 점의 음향장비가 전시되어 있다. 영화녹음 관련 각종 기자재와 영화대본, 상장 등을 볼 수 있다.
이경순선생은 1950년부터 1990년까지 40년동안 한국영화 3천여 작품을 녹음하신 분으로 그 분야의 개척자로 알려져 있으며, 소장자료를 동아방송예술대학에 기증하였다.

동아방송예술대학교 DIMA아트센터

동아방송예술대학교 DIMA아트센터

13.9Km    2025-03-19

경기도 안성시 삼죽면 동아예대길 47

동아방송예술대학교 엔터테인먼트관 내에 있는 DIMA아트센터는 2013년 개관 이래 수준 높은 기획 전시와 문화 예술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안성 지역 유일의 등록 미술관으로서 앞으로도 지역사회와 활발히 소통하고 문화예술 체험기회를 확대하여 지역을 대표하는 복합문화예술공간으로서 성장하고자 한다.

창리낚시터

창리낚시터

14.0Km    2024-06-03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창리 377-7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창리저수지에 위치한 아담한 낚시터이다. 서울에서 1시간 거리에 위치한 수도권 낚시터로 용인시에서 10분 거리이다. 수상 방갈로는 여성이 이용하여도 불편함이 없도록 청결함을 유지하여 가족이나 동호회 모임에 불편함이 없다. 캠핑과 낚시를 할 수 있다. 수상 방갈로마다 예비 수상 좌대를 추가로 설치하여 더욱 넉넉하게 이용할 수 있다. 손맛터이지만 살림망을 사용하여 직접 낚은 고기를 보관해 두었다가 다음 날 아침 기념사진으로 남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