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주성 천년여행길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홍주성 천년여행길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홍주성 천년여행길

홍주성 천년여행길

13.4 Km    1     2023-12-14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아문길 27

홍주성 천년여행길은 지금까지 천년을 한결같이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의 중심을 지켜오며 그 찬란한 천년 역사를 품에 안고 있는 내포의 큰 고을 홍주를 돌아보는 길이다. 홍주성 천년여행길은 희망찬 홍성을 상징하는 고암길과 서민경제의 심장과 같은 장터길, 도심속 답답한 몸과 마음을 치유할 수 있는 힐링 공간인 매봉재길,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홍주사람들의 삶과 애환을 고스란히 간직한 홍주성길, 근 · 현대를 넘어드는 추억의 골목길로 이루어져 있다.

1코스(전코스) 약8km, 약 3시간 소요
2코스(역사&힐링코스) 약5km, 약 1시간10분 소요

홍주아문

13.5 Km    17529     2023-12-14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아문길 27

홍성군청앞에 있는 홍주아문은 조선시대 홍주의 지방관이 근무하던 건물인 안회당의 바깥문으로, 조양문의 문루를 설치할 때 함께 세운 것이다. 안회당과 함께 홍성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조선시대 목조건물이다. 홍주아문의 글씨는 대원군이 사액하였으나 6·25를 전후해 없어졌다. 홍주아문은 우리나라 아문 중에서도 가장 크고 특이한 형태를 지니고 있어, 조선 시대 관청 출입문의 구조와 형태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홍주아문 안에는 내삼문과 남과 북으로 행랑을 이어서 지어 담장을 대신했던 큰 건물이 있었는데, 3·1 운동 당시 홍성의 만세 사건을 진압하기 위해 진주한 일본군이 홍성군청을 병영으로 삼고 군수를 추방하는 한편 내삼문을 헐어버렸다. 그 이후 행랑은 보수하지 못해 스스로 무너져 버렸고 오직 외삼문인 홍주아문만 보존된 것이다. 이 역시 홍성군수 조영호가 문화재 관리국의 지원을 얻어 현재와 같이 보수하고, 종전에 이 문을 군청 정문으로 활용하던 것을 막고, 그 옆으로 현재의 정문을 세워 활용케 하여 홍주아문을 오늘과 같이 보존하게 되었다. 홍성아문 인근에 홍주성역사공원, 홍주성역사관이 있어 연계해서 둘러보는 것도 좋다.

글로벌바베큐페스티벌 in 홍성

글로벌바베큐페스티벌 in 홍성

13.5 Km    1     2024-05-03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아문길 27
041-630-9238

예부터 홍성은 한우, 한돈, 닭을 많이 키워 전국에서 제일가는 축산도시이다. 축제기간 홍성군의 다양한 축산물을 저렴하게 맛보고 구매할 수 있고, 바베큐라는 재미도 함께 즐길 수 있는 축제이다. 바베큐를 통한 다양한 먹거리도 즐기고 바베큐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알찬 바베큐 축제이다.
홍성의 우수한 품질의 한우, 한돈과 다양한 특산물을 글로벌바베큐페스티벌in 홍성에 놀러와서 배부르게 즐길 수 있다.

한국고건축박물관

13.5 Km    26835     2024-01-24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홍덕서로 543

한국고건축박물관은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려는 목적으로 설립된 박물관이다. 1998년에 개관하였으며 우리나라 곳곳에 있는 각종 궁궐, 사찰, 탑 등 국보, 보물로 지정된 고건축물을 1/10, 1/5로 축소한 모형을 전시하였다. 정밀한 모형을 통해 그 형태나 특징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제작한 것이 특징이다. 그 외에도 고건축 제작에 사용되었던 연장(공구) 등이 전시되어 있다. 시설은 제1전시관, 제2전시관, 사진전시실, 연구동, 팔각정 등 10여 채의 한옥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고건축박물관은 한국건축 발달사를 한자리에서 견학, 연구, 계승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선조들의 정신문화를 계승하고 후학들을 위해 우리 건축문화교육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주변에는 덕숭산, 수덕사 외에 용봉산, 용봉산자연휴양림, 홍성 홍주읍성 등이 있어 연계하여 관광할 수 있다.

내당한우

내당한우

13.6 Km    2     2023-01-09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아문길52번길 6

내당한우는 채널 Olive 예능 프로그램 <신동엽, 성시경은 오늘 뭐 먹지?>, 채널 IHQ 예능 프로그램 <맛있는 녀석들>에 출연한 맛집이다. 대표 메뉴는 '오늘뭐먹지'로 한우 모둠 세트다. 이 밖에 안창살, 새우살, 살치살, 특수부위, 꽃등심, 육회, 육사시미 등 단품 메뉴도 맛볼 수 있다. 음식점과 가까운 거리에 남당항, 오서산 등이 있어 연계 관광이 수월하다.

지구에서 너뿐

13.6 Km    0     2024-01-04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역재3길 40

지구에서 너뿐은 드립커피와 과일 타르트가 유명한 카페이다. 매일 신선하고 다양한 과일로 타르트를 만든다. 맛도 좋지만 비주얼이 예뻐 데이트코스로도 많이 찾는다.

[백년가게]동해루

[백년가게]동해루

13.6 Km    1     2023-11-14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아문길29번길 48
041-632-2172

※ 영업시간 11:00 ~ 21:00 (전화문의) 내 식구를 위한 음식을 만드는 마음으로 정성스럽게 요리하는 중화요리 전문점. 단가가 비싼 오룡해삼의 대중화를 위해 새우살 속에 해삼을 토막 쳐서 넣는 방법으로 조리법을 바꾸었다. 이 방법으로 단가를 낮춰 오룡해삼을 더 많은 손님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조양문

조양문

13.7 Km    34804     2023-06-10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아문길 27

조양문은 홍주성의 동문이며 홍성군의 관문으로 고종조에 목사 한응필이 홍주성을 석성으로 개축하고 동서남북의 문루도 다시 세웠다. 동문은 조양문 서문은 경의문 북문은 망화문이라 하는데, 대원군이 친필로 하사하였으며 남문은 문루가 없는 홍예문이었다. 북문은 역대 목사들이 문루에서 사형수의 처형을 감시하기도 하였는데, 동학운동(1894) 때는 수백 명의 동학군이 여기에서 처형되었다. 고종 광무 10년(1906) 항일의병이 일어나 일본군과 홍주성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는데 그때의 흔적이 조양문 곳곳에 보인다. 일본인들에 의하여 서문과 북문은 파괴되어 없어지고 조양문 또한 파괴되었으나 부분적인 보수로 퇴락되었던 것을 1975년 문루를 해체 복원하여 옛 모습을 찾게 되었다.

국립 오서산자연휴양림

13.8 Km    92215     2024-01-24

충청남도 보령시 청라면 오서산길 531

국립 오서산자연휴양림은 보령시 오서산(790.7m) 서쪽 자락에 있는 자연휴양림이다. 이 휴양림이 있는 보령시 청라면 일대의 도로는 한적한 시골길이라 휴양림에 도착하기도 전에 도심에서 벗어난다는 해방감을 느끼기에 충분하다. [오서산]이라는 지명은 [까마귀의 보금자리]란 뜻에서 나온 것으로, 예로부터 까마귀와 까치가 많이 살았다고 하나, 아쉽게도 현재는 까마귀를 찾아보기 힘들다고 한다. 이곳은 숲속의집(숙박시설), 야영장, 바비큐장, 족구장 목공예체험장 등을 갖추고 있다. 또한 탐방로를 따라 대나무 숲을 비롯하여 휴양림 주변의 숲을 한 바퀴 돌아볼 수 있고, 오서산 등산로를 따라 정상에 올라 서해 바다와 서해 낙조를 감상하는 것도 좋다. 국립 오서산자연휴양림은 국도 36호선, 지방도 710호선에서 지방도 709호선과 오서산길을 통해 방문할 수 있으며, 서해안고속도로 광천IC, 대천IC와 서천공주고속도로 서공주IC가 가깝다. 주변에는 오서산 외에 보령 장현리 귀학송, 신경섭 가옥, 장현저수지, 명대골계곡 등이 있다.

고북신송지

고북신송지

13.8 Km    20050     2023-02-28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신송리
041-664-2256

6천평 정도의 둠벙 형태 저수지로 양안에 도로가 나있어 교통이 편리하며 제방좌측은 공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