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저스포츠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레저스포츠 정보를 소개합니다.

오천 안면도

오천 안면도

2025-04-23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오천해안로
041-932-4050

오천 안면도 앞바다는 충남 보령시 북서부 천수만 해상으로 안면도의 남단과 원산도 등으로 이어진다. 이 해역은 작은 섬 등이 광범위하게 분포하여 어패류의 좋은 서식처가 된다. 평균 수심이 20m 내외로 극히 얕은 편이어서, 산란을 끝낸 대형 우럭은 이내 깊은 바다로 빠지므로 20cm 정도의 작은 씨알을 낚을 수 있는 정도이다. 즉, 성어가 되기 직전의 우럭의 요람이라고 할 수 있다. 우럭낚시는 제철인 7월 말까지 출조가 바람직하다. 주변에는 보령 충청수영성, 오천시장 외에 보령방조제, 천북항, 갈매못 순교성지, 보령에너지월드 등이 있다.

차귀도 바다낚시

차귀도 바다낚시

2025-04-21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고락로 200-52
064-740-6001

차귀도는 제주의 여러 섬 중에서 빼어난 절경을 자랑하는 섬이다.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자구내포구에서 뱃길로 10분 거리에 있다. 차귀도 주변 바다는 수심이 깊고 참돔, 돌돔, 흑돔, 벤자리, 자바리 등의 다양한 어종이 잡힌다. 특히 1~3월 사이 낚시꾼이 많이 몰린다. 차귀도 주위를 한 바퀴 돌아볼 수 있는 쾌속정이 수시로 운항하며, 낚시할 도구가 없을 경우에도 낚시도구가 갖추어진 소형어선을 빌려 배낚시가 가능하다. 어족이 풍부하여 낚시 경험이 없는 초보자도 고기가 잘 잡힌다. 배에는 약 15명 내외 인원이 탑승이 가능하기 때문에 함께 온 친구나 연인, 가족들과 함께 낚시를 즐길 수 있다. 워낙 입질이 잦기 때문에 낚싯줄을 던지자마자 물고기가 잡히는 경우도 있다.

제주항 서부두방파제

제주항 서부두방파제

2025-03-2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서부두길 22
064-758-8877

연안낚시터로서 계절과 시간을 가리지 않고 조황이 좋아 늘 꾼들이 붐빈다. 테트러포스에서 던질낚시를 하면 스릴있는 손맛을 즐길 수 있다. 인근에 연안낚시터로 감성돔과 농어, 참돔이 많이 올라오는 용두암 일대를 들 수 있다. 최근 8월~10월 사이에 농어 밤낚시로 자리가 없을 때가 많다. 또한, 이곳에서는 매년 '전국바다낚시대회'가 개최되어 많은 관광객들이 참여한다.

추자군도

추자군도

2024-11-12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추자면 추자로
064-710-3250

목포에서 직선거리 93km, 제주에서는 53km 북쪽에 위치한 이 섬은 추자도라 부르기 보다는 추자군도로 부름이 타당할만큼 49개에 이르는 대소 부속 도서들을 거느리고 있는 갯바위 일급지역이다. 이 추자도는 본섬인 상. 하추자도가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추자도는 수심이 깊고, 먼 바다에 떨어져 앉은 원도에 해당하므로 바람이 조금만 불어도 심한 파도로 배낚시는 거의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갯바위낚시가 기본이 된다. 추자도의 낚시 포인트는 전 섬 모두에 해당된다. 그만큼 크고 작은 각 섬마다 포인트가 형성되어 있고 낚시가 시도되지 않은 곳이 없을만큼 거의 전 지역이 낚시터로 개발되어 있다. 따라서 낚시터 선정에 있어서는 물때만 맞춘다면 각자 개개인의 경험과 판단에 따라 어느 곳에서의 낚시든 무난하다.

보길도일대(바다낚시)

보길도일대(바다낚시)

2025-03-27

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
061-550-5151

전라남도 완도군에 위치하여 보길도를 비롯하여 소안도, 노화도 등 여러 섬으로 구성된다. 보길도는 고산 윤선도의 혼이 살아 숨 쉬는 유서 깊은 가사문학의 산 교육의 장이다. 깨끗하고 오염되지 않은 해수욕장과 다도해 청정지역에서 전복, 톳, 다시마 등이 생산되는 수산물 고장이다. 동쪽에 위치한 소안도의 동쪽 해안에서 해수욕을 겸하여 배낚시를 할 수 있다.

평일도일대

평일도일대

2025-03-25

전라남도 완도군 금일읍 금일로
061-550-5130

평일도, 금당도, 생일도 일대에서 감성돔과 참돔(여름철)이 많이 낚인다. 주로 배낚시가 이루어지지만 갯바위에서의 던질낚시로도 보리멸, 도다리, 노래미, 농어, 능성어 등을 낚을 수 있다. 많은 이들이 짜릿한 손맛을 보기 위해 평일도 일대에 방문하고 있다. 바다낚시뿐만 아니라 여러 섬들마다 멋진 풍경이 펼쳐져 관광지로도 좋은 명소이다.

비응도

2025-08-21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외항로 1391

비응도는 지형이 매가 나는 형국이라 하여 이름 붙여진 곳으로, 현재 국내 최초의 해양업무도시 기능을 갖춘 다기능 관광복합어항으로 조성되고 있다. 이곳은 서해안 시대를 이끄는 어업 전진기지로서 어항 기능을 넘어 해양관광, 수산물 가공 및 유통, 휴양과 생활문화 공간 등을 두루 갖출 예정이다. 전망대에서는 서해의 아름다운 일몰을 감상할 수 있어 관광 명소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복합 기능이 어우러진 비응도는 지역 경제와 관광 산업을 동시에 견인할 핵심 거점으로 성장하고 있다.

병풍도

2025-03-17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 병풍리

병풍도는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에 딸린 섬으로 목포에서 서북쪽으로 26㎞ 떨어진 해상에 위치해 있다. 구릉지를 제외하면 대부분 평지다. 해안에는 간석지가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일부 지역은 방조제를 쌓아 농경지와 염전으로 이용하고 있다. 병풍도의 가장 큰 특징은 보기섬과 신추도가 방조제로 연결되어 하나의 섬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썰물 때에는 대기점도, 소기점도, 소악도와 노두(露頭)로 연결된다는 것이다.

이 섬의 지명 유래는 마을 서북쪽의 산이 병풍처럼 보인다 하여 병암이라고 부르다가, 섬 북쪽 끝 해안선 절벽(병풍바위)이 병풍과 유사하다 하여 병풍도라고 섬의 이름을 바꾸었다. 병풍바위가 어찌나 아름다운지 신선이 이곳에 내려와 살게 되었으며, 그 신선이 병풍도라는 이름을 하사 하였다고 전해 오고 있다. 병풍도 최대의 재산은 갯벌이다. 오염되지 않는 갯벌에서 낙지, 게, 고둥, 조개 등이 서식하고 있으며 지금은 광활한 갯벌이 유네스코 생물 보존 지역으로 지정되어 보존의 가치가 더욱 높아진 곳이다. 섬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농토가 부족한 병풍도는 일제 강점기부터 풍요로운 삶의 터전을 만들기 위하여 인근에 위치한 작은 섬들을 방조제로 연결하여 만들어진 간척지를 염전과 농경지로 이용하고 있다.

신지도.고금도.약산도(바다낚시)

2024-05-28

전라남도 완도군 신지면
061-550-5152

[신지도] 유명한 명사십리해수욕장이 있는 섬으로 배낚시, 갯바위 낚시를 동시에 갖추고 있는 완도 근해의 대표적 낚시터이다. 신지도는 전형적인 가을 감성돔 낚시터로 송곡마을부터 섬의 맨 끝에 있는 동고리 마을까지 감성돔이 잡히며, 신지도 부근의 작은 섬인 갈마도, 혈도를 비롯한 수많은 부속 섬은 가을이 되면 전국에서 많은 낚시꾼이 몰려든다. 신지도는 육지와 가까워 바다낚시를 즐기기 좋으며 조류가 빠른 곳부터 수심이 얕은 곳, 바위나 절벽 등 포인트 여건이 좋은 낚시터가 즐비하다. [고금도, 약산도] 신지도 북쪽에 위치한 섬으로 참돔, 감성돔이 낚인다. 고금도는 섬 주변이 모두 해태, 미역 양식장이 있어 어느 특정 지역이 좋은 곳이라고 지칭하기 어렵다. 고금도의 경우 타지역 포인트보다 낚시하기는 쉬우나 만조와 간조의 차가 심하여 갯바위 낚시를 할 때 항상 유의해야 한다.

완도(바다낚시)

2024-12-04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해변공원로 137

완도는 섬 어디든 낚싯대만 드리우면 되는 바다낚시의 천국이다. 주요 낚시터로는 완도권, 신지권, 여서도, 소인권 등으로 나뉘며 6월~11월에는 완도권과 신지권에서 감성돔, 볼락, 참돔, 돌돔의 손맛을 느낄 수 있고, 11월에서 다음해 10월까지는 황제도와 장도, 초도, 덕우도에서 농어, 감성돔뿐만 아니라 대형돌돔의 손맛을 느낄 수 있다. 또한, 6월에서 다음해 5월은 여서도에서 방어, 볼락, 돌돔, 감성돔, 농어, 참돔이, 3월에서 5월은 농어, 감성돔, 볼락, 대형벵에돔이 많이 잡히고 소인권에서는 3월에서 12월 동안 감성돔, 참돔, 볼락, 농어, 돌돔 등이 주로 잡혀, 완도의 바다 어느 곳이든 다양한 어종을 잡을 수 있다. 특히, 보길도에서 즐기는 바다낚시는 남해안의 아름다운 다도해의 바다로 배를 타고 나가 보길도의 청정해역에서 싱싱한 고기를 잡을 수 있는 짜릿한 손맛과 선상에서 갓 잡아 올린 횟감을 맛볼 수 있는 즐거움이 있다.